구름의 생성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구름은 왜 생길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1. 소나기를 내리는 구름과 계속 내리는 비를 만드는 구름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직업적

이유

  • 일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편리를 제공.
  • 기상청 등의 기업에 취직.
  • 대기과학 관련 분야의 기초.
학문적

이유

  • 구름의 발생조건에 대한 기초.
  • 지리와도 관련되는 지식.
너희들은? 배워야한다 구름에 관해 더 알 수 있고 구름의 모양에 따라 무슨비가 내리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구름이 왜 생기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수 있다.

일상 생활 속에서 날씨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에서 또 배우는데 조금은 알고 있어야 해서

안배워도 됌 - 솔직히 쓸곳이 없음; => 그런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쓸 곳이 있는 지식이 어디 있겠어.

하늘을 보면 있는게 구름이다 그만큼 자주보니까

인생 포기하고 알아서 살아 그러기 싫으면 공부하고 => 팩폭이 너무 강한 것 아니오;;?

구름의 모양을 알고 부슨 비가 내릴지 예상할 수 있다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영상
구름발생 실험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내용 설명
단열팽창 주변과 열을 주고받지 않으면서 팽창하는 것.

ex) 주사기의 끝을 막고 피스톤을 갑자기 잡아당길 때.

ex) 입김을 하~ 하고 불 때와 호~ 하고 불 때의 차이.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 공기덩어리가 상승하며 단열팽창 -> 온도가 낮아져 포화수증기량 감소 ->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 생성


기본적으로 공기덩어리가 상승해야 하는데,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로 다음의 경우들이 있다.

  1. 따뜻한 공기와 찬 공기가 만날 때
  2. 지표면의 일부가 빠르게 가열될 때
  3. 공기가 이동하다가 산을 만날 때
구름이 떠 있는 이유 상승기류로 인해 구름이 계속해서 떠 있게 된다.
구름
종류 설명
적운형 누적하다의 적. 공기의 상승운동이 강할 때 생긴다.

-> 좁은지역 소나기.(타겟 순간 데미지)

층운형 한 층, 두 층 할 때 층. 상승운동이 비교적 약할 때 생긴다.

-> 넓은 지역 지속적으로 비.(광역 지속 데미지)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구름의 발생과정을 순서대로 써보세요.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대관령 부근에서 연간 적설량이 가장 크다. 대관령 부근의 적설량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2. 대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눈, 비가 많이 오지 않는다. 이유가 뭘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질문 대답
개념 공기 덩어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비슷한 성질을 갖고 함께 움직이는 것들을 임의로 공기덩어리라고 생각하는거죠. 암세포가 모인 걸 암덩어리라 하듯.
기온에따라 구름생성에 영양을 미치나요?? 네 당연히. 여름에 소나기가 많이 내리잖아요? 지표면이 빠르게 가열되서 적운형 구름이 생기기 좋아요.
응결이 왜 일어나나요? 온도가 낮아지면 같은 입자들끼리 만나 뭉치게 되죠.
평지에서는 층운형이 많나요 적운형이 많나요? 상황에 따라 다른데... 지표면이 갑작스럽게 가열되면 적운형이 생겨요.
적운형구름은 이동속도가 빠른가요? 어떨 것 같아요...? 이동하다가 쌓여 있던 모양이 무너지지 않을까요?
구름이 만들어 질때 따뜻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데 그럼 구름은 따뜻한가요? 아뇨, 구름이 올라가면서 단열팽창하기때문에 차가워집니다.
바다에도 비가 내리나요. 섬이 안보이는 바다 한가운데요. 당연히 내리죠; 가열된 지표면의 공기가 올라가듯, 바다에도 대기와 수분은 넘치잖아요??
구름의 발생을 발견한 사람이 누구인가요? 많은 사람들의 연구가 합쳐져 만들어진 성과가 아닐까 싶네요. 조사해서 발표해준다면 세특에 적어줄게요~
구름에 물을 부으면 어떻게 돼나요? 물이 떨어지면서 구름의 수분을 흡수해 양이 많아질 것 같네요~
지표면의 일부가 뜨거워지면 공기 덩어리가 상승해 구름이 생성된다면 산에 불을 지르면 구름이 생성되나요? 네, 그래서 큰 화재 뒤엔 큰 홍수가 오기도 합니다; 나무가 물을 막아주고, 저장해주는 역할도 하는데, 화재 뒤의 홍수는 막아줄 나무가 없으니.. 산사태와 함께.. 엄청난 일이 벌어지죠;
하얀 구름과 먹구름은 왜 색깔이 다른가요? 밀도의 차이요~ 짙으면 검게!
그럼 비가 내리게 하는 요건이 기압 빼고 무엇이 있나요? 오늘 핵심은 온도였는데;;?
사막에 비가 많이 안오는 이유가 높은 지대가 없어서 인가요? 아뇨, 수증기 자체가...
층운형 구름과 적운형 구름을 동시에 볼 수는 없나요 동시에 볼 수도 있죠. 우리의 시야는 넓으니까요오~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 말고 다른 구름이 있나요? 적운, 층운, 난적운, 고적운 등 다양하게 있지요오~
구름이 생성이 안되면 상승한 공기는 어디로 가나요? 그냥 있어요~
구름을 인위적으로 층운형 또는 적운형 구름으로 바꿀수는 없나요? 네, 구체적인 생성조건을 안다면 그걸 바꿔주면 되겠지요오~
실내에서 구름을 발생시킬수있을까요? 네 가능하죠. 과포화된 공기에 특정한 자극을 주거나.. 이산화탄소로..?
여우비는 무슨구름? 빗방울이 떨어지기 전에 구름이 사라진 경우라고 하네요~
구름이 중간권이나 열권에 생기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수증기가 무거워서요.
층운형 구름과 적운형 구름이 우리 일상생활에 어디에 도움이 되나요? 날씨를 예상할 수 있어요.
비가 많이 오는건 층운형 맞나요? 많이 오는 건 모르겠고, 넓은 지역에 와요.
태양이 구름을 없앨수도 있나요? 네, 온도를 높여서 없앨 수도 있죠.
산이 없으면 구름이 안생기나요 산은 공기 상승의 한 원인일 뿐, 평지에서도 비는 오고, 바다에서도 비는 오잖아요??
팽창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膨脹. 부풀다 팽, 부을 창. 질량은 그대로인데 부피만 커지는 걸 말해요~
구름이 올라갈 요인이 없으면 비가 아예 안오나요? 네!
산지대는 눈이 많이내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공기덩어리가 산을 타고 상승하기 때문이죠!
번개가 치는 이유는?? 아래는 음전하, 위는 양전하를 띄게 됩니다.

얼음 결정이 형성될때 물 분자의 특성상 안쪽은 - 외곽부는 + 전기를 띕니다. 이 얼음 결정들이 서로 충돌하고 깨지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 전기를 띄는 중심부와 으깨져서 작아진, +전기를 띄는 주변부 조각들로 나뉘게 되는데 작은 주변부 조각들은 상승기류를 타고 구름의 상층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구름의 상층은 그로인해 + 전하를, 하층은 -전하를 띄게 됩니다.

호기심 고기압에서도 만들어지는 구름이 있나요? 흠;; 글쎄요? 검색해서 조사해볼래요? 세특에 써줄게요.
구름을 만질수있나요? 안개 만지듯. 비슷한 느낌일거에요~
구름 속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개
안개와 구름에 차이점은? 발생되는 장소?
구름이 먼지에 이슬이 붙어 구름이 생성된다고 하잖아요, 그러면 진짜 구름을 먹을수도 있겠네요?(깨끗하다는 가정하에) 당연하죠!
구름이 대류권을 지나 성층권에도 생길수 있을까요? 음.. 물입자의 무게(밀도) 때문에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사막이나 남극에서도 구름이 만들어지나요? 사막에선 물입자 자체가 많지 않아서..힘들 것 같구.. 남극에선 눈이 오지 않을까요?
눈이 오는건 구름이 생기는 과정은같고 온도만 낮아서 내리는게 맞나요 네. 비가 오는 것도 대부분 처음에는 얼음이에요!
서울에 높은 빌딩이. 많은데 거기에는 구름이 엄첱 많이 생겨야 하지않나요? 빌딩을 타고 상승기류가 만들어진다면 그럴 수 있겠죠~ 하지만 구름의 높이가.. 빌딩의 높이보다 높아요;;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 외에 구름 종류가 궁금합니다 무지 많은데.. 검색해봐요~
비가 안오게 하거나 인워적으로 오게 할수 있나요? 인공강우를 내리려는 시도는 계속 하고 있죠. 일부러 안오게 하려면.. 구름의 생성조건이 안갖춰지도록 구름의 상승을 막거나 단열팽창으로 낮아진 온도를 높게 해주면 되겠죠.
장마는 어떤 구름이 생기는 건가요? 상황에 따라 층운형 적운형 다 생길 수 있어요.
사람이 상승기류타면 계속 하늘을 날수 있나요? 낙하산처럼 넓게 만든다면! 노홍철이 연을 타고 하늘을 날았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에베레스트 산에도 비가 내리나요? 온도가 너무 낮아서 눈이 올거에요~
구름에 불 붙일수 있나요? 네, 물에도 불 붙일 수 있지 않나요?
천둥은 왜치는건가요 물입자들끼리 마찰로 발생한 정전기가 튀는거죠.
구름속에 계속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옷이 젖겠죠?
울산에는 왜 눈이 많이 않내리나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이라고 하네요. 장마전선이 중부지방에 형성되면서 남부엔 고기압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는 거죠.
과냉각 상태(즉 어는점에 도달해도 고체가 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물 말고 또 뭐가 될 수 있을까요? 모든 물질에서 다 됨.
다른 행성에도 구름이 있나요? 네, 다른 행성에도 구름은 있습니다. 다른행성에도 대기가 있잖아요? 대신에 대기가 주로 메테인이나 암모니움이 주성분이라서 구름에서 냄새가 나거나 구름 색이 다를거예요
헛소리 구름빵을 만드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구름빵은 만들수 있을까요?

죽빵으로 반죽해줄까요? 그럼 될듯. 죽빵 반죽해서 냉장고에 넣어.(선휘)
제 마음에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마음이 차갑기 때문이죠.
불닭좋아하세요? 널 좋아해. Realy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편집 | 원본 편집]

소나기를 내리는 구름과 계속 내리는 비를 만드는 구름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만들어지는 과정차이 이런 질문은.. 다른 비를 내리게 되는 원인에 대해 물어본거니, 만들어지는 과정차이는 문맥보다 많이 나아간 것 같아요;
길이와 두께의 차이

구름의 폭

네, 이 차이가 핵심이긴 하죠 ㅎㅎ
계속 비를 내리는 구름은 옆으로 퍼지는 모양이고, 소나기를 내리는 비는 위로 솟는 모양이다.

하나는 위로솟는 구름 , 하나는 옆으로 퍼지는 구름

두꺼운 구름은 소나기를, 얇은 비는 계속 비를 내린다

훌륭하네요.
구름이 만들어질 때 공기가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 위로 솟거나(적운형 구름, 소나기) 옆으로 퍼진다(층운형 구름, 계속 비 내림).

소나기를 만드는 구름은 적운형구름으로 공기가 강하게 상승할때 생긴다. 계속해서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은 층운형 구름으로 공기가 약하게 상승할때 생긴다.

생성과정까지 잘 써주었네요 ㅎㅎ
온도가 차이난다 온도차이;;;? 음... 나지 않는 건 아니지만.. 핵심요인은 아닌 것 같아요;
구름의 발생과정을 순서대로 써보세요.
답변 선생님코멘트
공기덩어리 상승 > 단열 팽창 > 온도하강 > 수증기응결 > 구름생성

공기덩어리 생성 > 단열 팽창, 온도하강 > 수증기 응결 >구름생성

1. 지표면의 온도가 상승한다. 2. 공기 덩어리가 상승한다. 3. 단열팽창이 발생하고 온도가 하강한다. 4. 온도 하강으로 인해 수증기가 응결된다. 5. 구름이 생성된다.

1. 공기덩어리가 상승하며 단열팽창 2. 온도가 낮아져 포화수증기량 감소 3.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 생성

네, 다양한 용어,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죠?
대관령 부근에서 연간 적설량이 가장 크다. 대관령 부근의 적설량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온도가 낮아서 온도가 낮은 것 자체보다 지표에서와의 온도차이가 관련 있어요~!
산지대여서 산지대여서..? 산지대여서 뭐가 달라지는데요?
구름이 산을 타다 올라가서 많이 생기기 때문

산이 많아 구름이 타고 올라가다 많이 생기기 때문에

해발 고도가 높기 때문이다. (공기가 상승해서 모인다)

훌륭!
대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눈, 비가 많이 오지 않는다. 이유가 뭘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산이 많이 없어서 대구를 산이 둘러싸고 있지 않나요;;?
구름생성이 잘 안되서 (온도가 높아서) 아프리카에도 비는 오잖아요?? 그것도 엄청 많이; 온도가 높은 것만으로는 아닌데.
눈이랑 비가 많이 오지 않는다는것은 지역이 평평함으로 구름이 생성되지 않는 것 인것 같다. (하지만 대구의 지표면의 온도가 상승되면 비가 올것 같은 의문이 생긴다.) 대구가 덥기로 유명하죠. ㅎㅎㅎ 대구에도 비가 오긴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선 잘 오지 않아요. 그 이유를 물어본건데, 평평한 곳은 대구 말도고 많잖아요? 근데 왜 대구만 유독 유명할까!?
지형이 파여있기때문에

해발고도가 낮기 때문이다. (공기가 주변 산으로 올라가 대구 위에는 구름이 잘 생기지 않는다..? 예상합니다)

주변을 산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습도가 낮아 비가 적게 온다.

사방이 산으로 가로막혀 뜨거운 공기가 분지안에 갇혀있기 때문이다.

와, 훌륭해요~

그래서 대구의 특산물은??? 사과! 비가 많이 오지 않아서 달고 농도가 진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