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은하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우주가 얼마나 넓은지 알기위해
우리가 사는곳 정도는 알아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각종 캐릭터 크기 비교. https://www.youtube.com/watch?v=989MH7DqXxs
노래에 담긴 과학적 오류
- 어떻게 별을 따주냐!?
- 겔럭시가 네 게 아닌데 어떻게 주냐?!
- 겔럭시를 준다는데 왜 제목이 '우주를 줄게'냐!?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핵심개념[편집 | 원본 편집]
은하 : 갤럭시. 銀(은 은)河(강 하). 별들이 모여 마치 빛나는 강 같아 붙은 이름.
우리은하 : 나선 모양의 은하이다. 중심부가 약간 볼록한 모양으로 나선수리검처럼 생겼다. 지름은 약 30000pc이고, 태양계는 중심에서 약 8500pc 떨어진 곳에 있다.(태양도 은하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
은하수 : 지구에서 본 우리은하의 일부. 마치 별의 강. 완벽한 빛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는 빛이 성간물질에 가로막혔기 때문.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없음. '아, 우리는 이런 곳 안에 사는구나'정도만 알아가면 되지요오~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의 중심을 돌듯, 은하가 은하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우주라는게 무한인가요
우주의 끝은 있을까요? |
지금은 커지고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죠~ |
우주를 생각하면 사는것이 허무해지는것 같아요. 선생님은 어떠신가요? | 나는 중학생 때부터 인생이 허무다하고 생각했어...
전도서에 보면 처음 시작이 허무를 말하더라궁... 극공감. | |
우주는 점점 커지는데 그럼 생명체도 외계에 존재하나요?
다른 행성에 외계인이 있을까요 |
외계 생명체의 발견 사례는 아직까지 없어서;;; | |
그러면 태양계가 안돌면 어떻개 돠나요 | 태양으로 추락~범. | |
우리은하에 2천억개의 별들이 있다는건 어떻게 안건가요? | 세보면 되죠. 오타쿠들은 많으니까요~ | |
은하중심은 온도가 뜨겁나요 차갑나요? | 보통 중력으로 인한 핵융합으로 온도가 높을거에요~ | |
은하 중심에는 뭐가있나요? | 질량덩어리. 물질들. | |
우주가 여러개가 있다면 무슨모양이고 그 우주들이 모여있는 공간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 미안, 너무 어려버; | |
은하도 여러개면 그 은하들이 도는 중심엔 또 뭐가 있나요? | 별과 같은 질량덩어리들이 있지 않을까요? 아직 규명되지 않은 질량도 많은데, 이것들은 암흑물질이라고 불러요~ | |
은하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게다가 다른 은하들의 존재들도요. | 너무나도 단순하게... 관찰이죠. | |
우주의 중심은 어디일까 | 우주의 중심은 없다는 것이 정설이에요. 우주 전체에서 팽창이 일어나고, 우주 모든 곳에서 우주복사에너지가 균일하게 퍼져있기 때문에 중심을 찾을 수 없어요. 그저 상대적인 공간만 의미있을 뿐! | |
은하수를 보려면 어느 나라에 잘 나타나나요 ? | 내 친구는 호주에서 유학할 때 봤다고 하더라구요. 엄마는 어릴 적 산에서 봤다고 하시구. 전등이 없는 사막이나 차가운 기온으로 맑은 극지방 부근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어떻게 정했나요 | 빛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가장 멀리서 온 빛이 몇 년 전에 출발했는지 알면 그 시간에 빛의 속도를 곱해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정하죠. | |
엄청나게 크면 우리 눈에 안보인다는게 인식할수 없다는 건가요? | 네, 빛의 속도가 한정되어 있는데, 아주 멀리서 온 빛이 오려면 시간이 한참 걸리겠죠. 우리가 죽은 다음에 도달할 수도 있고... | |
다른 은하나 행성, 별은 영어이름을 쓰면서 왜 이름이 우리은하인가요? 한국인이 발견해서 우리은하인가요? 영어로 하면 our은하 인가요? | 영어로 Galaxy. Our Galaxy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건 고유명사가 아니라 가리키는 that 같은 의미라 번역해서 쓰죠 ㅎㅎ 행성이나 별들은 이미 사람들이 이름붙인 고유 이름이 있어서 그대로 쓰구요. 금성, 수성 이런 건 우리가 오래전부터 사용해왔기에 그대로 쓰고 있죠. | |
은하도 어딘가를 중심으로 돌고 있을까요? | 그러게요. 엄청나게 큰 중력을 가진 중심이 있을지도 모르죠. | |
천문대에 가도 한국에서는 은하수를 볼 수 없나요 | 천문대에서 보는 건 별 하나를 크게 확대해서 보는 정도지요. 은하수는 그게 아니구요. 천문대라면 주변이 어두워서 별이 잘 보이긴 하겠지만.. 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
호기심 | 왜 단위를 pc로 사용하나요? | m단위를 쓰면 너무 숫자가 커지잖아요. |
우주의 끝은 아직 모르나요?
우주의 끝은 언제쯤 발견될까요? |
계속 커지고 있으니까요~ | |
우리은하랑 가장 가까운 은하는 뭔가요? | 대마젤란은하 | |
시간이 가는것처럼 공간 이동이란 것은 없나요 | 시간의 흐름에 기울기가 있듯, 공간의 흐름에도 기울기가 있지요. 공간의 도약은 힘들듯; | |
진짜 인터스텔라처럼블랙홀주변에 빨려들어가도 살아있을수있나요 | 어;; 죽을듯;;? | |
우주는 왜 검은색일까 | 빛의 가치를 알려면 어두움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 |
빅뱅이론이 맞을까요 | 지금까진 정설이죠. | |
우주보다 더 큰 공간이 있을까요? | 물 속에서만 사는 존재는 물 밖의 세상을 상상하기 어렵죠.
불완전성의 원리에 따르면 한 체계 안에서 체계 밖의 것을 증명할 수 없으니... 우린 아직 아무 말도 할 수 없죠. 우주보다 더 큰 공간.. 어쩌면 공간이라는 개념 자체가 우주만이 가진 특별한 성질일지도; | |
우주가 축소할 수도 있냐요? | 네, 오랜 시간이 지나면 중력에 의해 축소될 수도 있어요. 그렇게 되면 다시 한 점에 모여서 빅뱅이 또 일어날지 모르죠. | |
은하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 많은 질량들이 제각기 뭉쳐져서요. | |
진짜 우주 끝을 볼수 있을까요 | 끝.... 그 끝에서 도달한 빛이 도달한다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사실상, 우리는 우주의 끝에서 만들어진 빛에 둘러쌓여 있어요. 우주 복사에 말이죠! | |
평행세계의 존재를 믿으시나요 | 아뇨; 그닥;;; 그 개념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없어요; 가설만 있을 뿐. | |
우주는 얼마나 큰가요? | 400억 광년정도 된다고 하네요. 점점 더 커지겠지. 우주도,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도. | |
pc보다 큰 단위도있나요? | 사람이 만들기 마련이죠. 광년도 파섹보다는 작아요. | |
은하가 하루 회전을 멈추면 무슨일이생기나요 | 일단 우리 다 쥬금. | |
은하가 도는 힘은 어느 정도이고 사람이 감당 할 수 있을 만한 힘인가요? | 은하가 도는 건 중력 외의 힘이 작용해서가 아니라, 관성 때문이죠. 결코 사람이 감당할 만한 크기는 아니지. | |
태양계 같은 다른 그런계와 태양계가 부딪힐수 있나요? | 네. 가능성이 0은 아니죠. 우주가 너무 넓어서 희박할 뿐. | |
기타 | 저한테도 우주를 줄 수 있는 여자친구가 생길까요 | 너는 별로 걱정 안 돼. 다른 친구들이 걱정이지...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너희들 생각은 어떠니? 우주는 왜 있는 걸까? 잘 모르겠다면, 우주가 주는 교훈은 어떤 게 있을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우주는 잠시 왔다가 가는 혜성같다 | 이야; 멋지네. 길고, 짧다는 차이가 있지만, 이는 상대적인 것일 뿐, 결국엔 사라질... |
우주는 테스트를 위해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어떤 테스트? 뭐에 대한 시뮬레이션? |
우주는 우리가 작다는걸 알려주는거 같다
우주에 비해 인간들은 엄청나게 작다는것. 그러므로 인간이 짱이라고 생각하지말기. 세상은 무한하고 넓다 |
그쵸. 넓은 세상에 비해 초라한 인간이 너무 자만하지 않도록...? |
세상은 좁은 식견으로 살피기엔 너무나도 크다. | |
우주는 세상에는 상상할 수 없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는 교훈을 주는거 같다. | |
너가 아는 모든 상식들은 이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중 ㅈ밥에 불과하단다 | 이것 때문에 비속어 써도 되냐고 물어본 거냐? ㅋㅋㅋㅋㅋ 맞다. 정답이다 학생! |
세상에는 무엇이 크고 무엇이 작다는 인식을 없애는 것 같다(?) | 맞아요. 사실, 크다 작다도 인위적인 것이니... 그 구분 자체도 우리가 이겨내야 할 무언가일지도 모르죠. 인종갈등, 종교갈등을 이겨냈듯이! |
교훈 = 내가 아무리 잘나도 나는 우주의 초미세먼지보다 쓸모없다 | 너무 간 거 아니냨ㅋㅋㅋ |
어.. 행성에서 할만한건 다해먹은 고인물들을 위한 엔드컨탠츠?로써,또는 뉴비들을위한 진입장벽으로써 존재하는것이아닐까? | 엌ㅋㅋ 재미난 의견이야. |
인간이 신들에게 도달하기 위한 마지막 관문으로서 신이 만든것이다. | |
우주는 넓듯이 마음도 넓고 생각도 넓고 시각도 넓게 가져라.. | 오, 멋지네. |
우주는 저희가 살아가는 지구를 감싸아주려고 있는것 같습니다. | |
우주가 있기에 우리가 있는게 아닐까요? | 맞죠, ㅎㅎㅎ우린 왜 있을까.. |
"나"를 담아내기 위해선 우주만큼 큰 그릇이 필요해서 | 크으~ 큰그릇. |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의 중심을 돌듯, 은하가 은하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중심의 질량이 커서
은하중심의 질량이커서..? 은하 중심에 별들이 많이 모여 있어 인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
오, 훌륭! |
은하 중심에 엄청난 질량이랑 중력이 있어서 | 네, 질량의 결과가 중력이죠! |
♡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 그 이유가 뭐냐구;; |
중력때문이라고 선생님이 그러셨다 | 선생님의 말을 그대로 듣지 말고, 자신의 언어로 소화해서 먹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