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멘델의 유전원리2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클릭해보자~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멘델의 법칙이 일상생활에서 우리 모르게 많이 쓰이는 것 이기 때문에 배워두면 좋을 것 같다.
이번단원 핵심개념인거같다 암기과목이라 볼 수도 있지만나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해만하면 그 뒤로는 아주 쉽다 멘델의 법칙은 일상생활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만큼 널리 알려진 상식이기 때문이다. 안 배워도 될 것 같다. 의학이나 생명과학계열에 진학하는 친구들에게 도움이 되고, 그게 아니더라도 상식으로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굳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기 때문. ===> 지식 자체보단 그 지식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의미가 있죠.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멘델의 데이터로 유추해보기[편집 | 원본 편집]
실험 | 결과 |
---|---|
순종 초록, 주름진 완두들끼리 교배 | 초록색 주름진 완두콩만 나온다. |
순종 황색, 둥근 완두들끼리 교배 | 황색 둥근 완두콩만 나온다. |
순종 초록과 순종 황색을 교배(1세대) | 황색과 초록색이 반반 섞인 형태가 아니라 황색, 둥근 완두콩이 나온다. |
위에서 교배한 완두콩끼리 교배(2세대) | 초록색과 황색 완두콩이 1:3 비율로 나온다.
둥근 완두콩과 주름진 완두콩은 3:1 비율로 나온다. |
2세대 완두콩들 중 초록색 주름진 완두콩 끼리만 교배 | 초록색 주름진 완두콩만 나온다. |
2세대 완두콩 중 황색 둥근 완두콩 끼리만 교배 | 초록색과 황색, 둥글고 주름진 완두콩이 함께 나온다. |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핵심개념[편집 | 원본 편집]
개념 | 설명 |
---|---|
독립의 법칙 | 두 쌍 이상의 유전자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각각 분리의 법칙을 따라 유전되는 것.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순종 초록 주름진 콩과 순종 황색 둥근콩을 교배시킬 때 1세대가 항상 황색 둥근콩인 이유를 설명하세요~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대립 유전자 2쌍일 경우엔 4가지 경우의 자손형을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염색체가 23쌍 모두 잡종인 사람 둘이 생식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자손형은 몇 가지나 될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염색체가 23쌍 모두 잡종이면 부모 둘다 rr인가요? | 잡종이란 건 대립 유전자가 섞일 때죠. Rr 일 때가 잡종, rr이나 RR은 순종입니다. |
유전도 결국은 경우의 수 인건가요? | 네, 수학이죠. | |
우성과 열성이 있는데 이 열성의 비율이 아무리 높다 하더라도 우성이 하나라도 있으면 겉모습은 무조건 우성의 형질을 띄나요? | 열성과 우성이 섞이면 그 비율은 1대1밖에 안되지 않나;;? 열성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 방법은 뭐죠;;? | |
아빠와 아들이 너무 안닮으면 무엇인가요? | 아빠 쪽에서 열성 순종의 형질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죠~ | |
유전자를 배울때 예시로 항상 콩만 나오던데 이유가 있나요? 콩이 유전자가 단순해서 알기 쉽다던가...
왜 유전 관련 실험에서 콩을 사용하나요? 왜 굳이 완두콩이죠? 완두콩으로 실험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
우열 형질이 명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죠. 그리고 재배하기 쉬워서 사례가 많기도 하구요. | |
쌍둥이는 유전자가 거의 다 같은건가요? | 일란성이라면 유전정보가 같고, 이란성이라면 랜덤하게 달라지죠. | |
우성 열성의 구분기준 | 순종끼리 섞을 때 나오는 성질이 우성, 안나오는 게 열성. | |
그러면 우열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식물도 있나요? | 식물이라고 하기보단 우열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형질이라고 하는 게 더 맞겠지요.
그런 식물을 찾으려면 우열형질을 갖고 있지 않은 식물을 찾아야 할텐데.. 있을지 모르겠네요;; | |
만약 아빠와 아들이 거의 안 닮으면 무엇이나요?> | 엄마를 닮았나? | |
만약 아빠의 유전을 다 물려받으면 정말 못알아볼정도로 똑같나요? | 나이차가 있으니 알아볼 수는 있지 않을까요? | |
고양이 종도 우열이 있나요 | 많이들 오해하는데, 종에 우열이 있는 게 아니라, 형질에 우열이 있는 거에요~ | |
우성과 열성 중 낳으면 겉모습은 항상 우성을 따른다고 하였는데 겉모습이 열성이 될 수는 없나요 | 우성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가 함께 있는데 열성형질을 보이진 않습니다. | |
사람한테도 비슷하게 적용되나요? | 네, 모든 생물체에! | |
아빠가 황색이면 아들은 무조건 황색인가요 | 아뇨, 황색임에도 초록열성유전자를 품고 있다면 아들이 초록이 될 수도 있죠. | |
유전자가 엄마 아빠둘다 있는것이아닌 나의 몸에 한분의 유전자만이 있을수있나요? | 그럴 순 없어요~ 이후의 난할에서 배웁니다~ | |
잡종은 어떻게해서 만들어 지나요 | 순종끼리 교배해서요~ | |
콩이 아닌 다른 생물도 우성 열성이 적용 되나요 ? | 네, 생물들도 우열형질을 가진 개체들이 있죠. | |
이렇게 우열의 법칙을 이용해서 유전자를 교체할수 있나요? | 우열의 법칙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지, 유전자 교체 기술과는 조금 다르죠. 어떤 부분을 어떻게 교체할지 결정할 때 이 지식이 도움이 되지요. | |
사람에게서 우성과 열성이 적용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사람에게 우성, 열성이 적용되지 않는 형질이 있죠. 키, 손가락 길이 등. 그런 경우엔 중간유전이라 하죠. | |
아빠가 백인이면 아들은 백인인가요? | 피부색은 중간유전을 따라요~ | |
색다른 개들이 교배하면 서로 섞여나오는 경우는어떻게 되지요? | 중간유전이요~ | |
자손의 형질이 결정되는 데에는 무조건 부모의 형질만 고려되나요? 선조의 유전자의 영향은 미치지 않나요? | 부모가 갖고 있지만 발현되지 않았던 유전자가 본인 대에서 나올 수는 있죠. | |
쌍둥이는 유전 정보가 아예 똑같나요? | 일란성이라면 완전 같고, 이란성이라면 달라요. | |
가끔식 유전자 오류로 우성 대신 열성이 유전되기도 하나요? | 오류....?? 부모 양쪽에서 열성을 유전받으면 열성형질이 나오죠. | |
도대체 19세기의 기술력으로 저런걸 어떻게 증명해 냈을까요? | 기술이 필요한 게 아니라 그저 관찰이 필요한 실험 아닌가요? 멘델로 7년이나 들여서 했으니, 여러분도 맘 먹으면 못할 것 없는 발견이라 할 수 있죠. | |
유전자가 변형이 되는데 그순간에 사람의 형체도 바뀌나요 배속에서? | 질문이 너무 모호하다; 유전자가 변형이 된다고;;? 언제? 어디서? | |
유전 관련 실험을 주로 콩으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실제로 최초 연구사례가 콩이기도 하고, 키우기 쉬워서? | |
우성유전자만 있으면 그물체의 형태는 어떠한가요? | 우성형질을 갖게 되죠. | |
기형아면 유전자가 달라짐까? | 유전자 문제가 아니라, 태내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기형으로 발달할 수도 있죠. | |
유전 형질 중 우성과 열성은 항상 같은 결과가 나오나요? 그것을 결정짓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 몰라요. 그런 형질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 뿐. | |
염색체와 체형도 관련이 있나요? | 염색체 안에 유전정보가 담기니, 체형이 유전정보와 관련 있다면 그렇겠죠. | |
우성 열성은 기준이 뭔가요 더 뛰어나고 아닌지를 어떻게 구분짓는건가요 | 우성과 열성은 더 뛰어나고 아닌지의 기준이 아닙니다. 해당되는 유전자가 있을 때 어떤 형질을 발현하느냐와 관련된 거죠. 사회에서 쓰이는 우열개념과는 다릅니다. | |
호기심 | 잡종 2대에서 나온 RR과 rr은 다시 순종인 건가요? | 네. 순종입니다. |
멘델이 왜 완두콩으로 실험을 한건가요 ? 다른 동식물은 안되나요 ?
굳이 완두콩인 이유가..? |
완두콩에서 색과 모양이라는 독립형질과 우열형질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죠.
다른 동식물에선 다른 색의 꽃을 교배하면 중간 색이 나온다든가, 나타난 형질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든가. 그리고 완두콩은 키우기 쉽잖아요. | |
완두콩을 겉으로 봤을때 순종인지, 잡종인지 알수있나요? | 열성 형질을 보여준다면 순종이란 걸 알 수 있지만, 우성형질을 보여준다면 그게 순종인지 잡종인지는 알 수가 없죠 ㅜ | |
남자에서 수술로 여자로 바뀐사람의 염색체도 일반여자의 염색체와 같나요? | 염색체는 바꿀 수 없어요;; 여자로 바꾸는 건 유전자 단위에서 고치는 게 아니라 외과수술과 함께 호르몬 조절을 하는겁니다~ | |
우성과 열성이 구분이 힘든애들은 따로 구분하는 방법이 없는건가요? | 다른 형질을 찾아보든가 해야 하죠. | |
그럼 도착 질문의 중간유전이 있으면 어떻하죠? | 중간유전도 여러 유전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니, 유전자 조합 수만 따져보자는 의미였어요~ | |
기형아면 유전자가 달라지나요 ? |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그렇게 될 수도 있고, 태아 때 감염되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죠. | |
지금까지 나온 모든 문제중에 수하가이랑 연관이 큰데 수학이 먼저 나왔나요 과학이 먼저 나왔나요 | 굳이 구분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요? 과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언어가 수학인데. 복잡성이 늘어나 둘을 구분하게 된 거지, 본랜 하나입니다. | |
멘델은 어디서 태어났나요 | 글쎄요, 검색하면 금방 나올듯. | |
완두콩의 잡종 과 순종 중 어느것이 더 맛있나요 | 종이 같으니, 맛은 비슷하지 않을까요? | |
털 없는것도 유전이예요? | 보통 그렇죠. | |
완두콩의 맛을 결정하는 형질중에 우성과 열성이 있을까요? | 뭔가 있지 않을까요? 완두콩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알지도! | |
체질도 닮을수 있나요? | 네, 체질이라는 것도 결국엔 유전정보 아닌가요? | |
아빠는 잘생겻는데 아들이 못생기면 왜그런가여 | 맛있는 것들끼리 섞어놓아도 이상한 경우가 있잖아요.. 팥빙수랑 떡볶이를 섞는다든가.. | |
정자도 의식이 있나요 | 오, 신박하네. 손톱에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니? | |
엄마가 a형 아빠도 a형일때 아들이 o형이 나올 수 있나요? | 네. 나중에 배우겠지만 가능. | |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정보가 똑같나요? 아니면 비슷한가요? | 똑. | |
왜 알파벳 Rr 인가요 | 오, 생각지 못했다! 열심히 찾아봤는데, 모르겠어;;;ㅜ 일단 RN의 R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
강아지와 고양이를 합치면 무엇이되나요 | 기본적으로 다른 종이라 안섞여요; 굳이 섞는다면 이름붙이기 나름이겠죠 ㅎㅎ | |
몸에 땀이 많이나는건 유전인가여? | 유전도 있지만, 생활습관도 있겠죠. | |
유전정보의 가짓수가 너무 많아서 유전자가 같을 수 없는건가요? | 일란성쌍둥이 외에 유전자가 같으려면 조합의 수가 너무 많아서 같을 수는 없다고 봐요. 같은 부모 아래에서 태어난 형제들도 다 다른걸요~ | |
자식만 혈액형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 | 무슨의미지;;? | |
돌연변이는 어떠한 이유로 유전되나요 | 유전이 잘못 된 경우를 돌연변이가 생겼다고 하죠. 이런 돌연변이가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축적되면 그게 점점 진화로 이어지는거구요. | |
우리가 먹는완두콩은 대부분 무슨색이죠? | 내가 요리를 직접 안해서;;; | |
각각 우성이 많으면 달라지나요 (예:닮은거 장기같은 배탈이 잘 나거나 그런거) | 그렇죠~ | |
기타 | 마지막 문제의 답을 알수있을까요 진짜 궁금해요 | 아래 답들 살펴보면 있어요~ |
혹시 저렇게 어려운 내용도 시험에 나오나요? | 적응하면 어렵지 않구요, 나오죠. | |
이번 거 너무 어려운데 시험 수준은 비슷하게 나오나요? | 객관식이니 좀 쉽겠죠 ㅎㅎ | |
헛소리 | 고양이 VS 강아지 ( 딱히 질문 할게 없어요 ) | 강아지다 개새 |
선생님은 아버지를 닮았나요 아님 어머니를 닮으셨나요? | 어렸을 땐 아빠, 커선 엄마. | |
부먹vs찍먹 | 널 찍어버리고 싶다.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난할 중에 수정란이 갈라지면 일란성쌍둥이가 된다. 이란성쌍둥이는 난자가 2개 배출되었을 때.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은행나무의 암수구별은 우리나라에서 국제특허를 낸 거라고 해요; 오오;;[1]
답[편집 | 원본 편집]
아버지와 아들이 좀 너무너무 닮은 경우라면... 어떻게 된거지?!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친아들 친아버지라서? | 엄마 입장에선 친아들인데 엄마랑 안닮았어 ㅜㅜ |
아버지의 유전자가 우성이여서(?)
아버지가 우성이고 어머니가 열성이라면 겉모습은 무조건 우성 유전자를 따르기 때문에 아버지와 아들이 닮은 것이다 외모와 관련된 유전형질이 아버지쪽이 우성이기 때문이다. |
우성 유전자를 많이 갖고 있어서 서로 닮아보인다는 사실도 맞죠! |
외모에 관한 유전자를 거의 아빠에게 물려 받은 경우
아빠쪽의 유전자가 많이 반영됨 아버지의 유전자가 많이 반영되면 그럴수 있다 |
그쵸, 외모와 관련된 형질 중 아빠쪽이 우성인 경우라 볼 수 있겠죠. |
아빠의 정자가 너무 쌔서? | 엥;; 정자가 쎈 거랑 유전정보랑은 관련이 없지 않을까;;? |
아버지의 유전자를 물려받아서 | 그럼 엄마는...? |
아빠 유전자가 더 많아서
아버지의 유전자를 많이 받았다 아버지 유전자가 엄마보다 더 많아서? 아버지의 유전을 많이받은것 엄마의 유전정보보다 아빠의 유전정보를 더 많이 받아서 엄마보다 아빠쪽의 유전자가 더 많아서? |
더 많다는 건 염색체가 더 많다는 건가;;??? 그럴리가;; |
유전정보가 많이일치한다 | 네, 그래서 아버지와 아들은 닮기 마련인데... 김동현네 같은 경우는 너무 닮았잖아요? 왜 그럴까요? |
아버지가 장어를 많이드셔서 | .;; |
순종 초록 주름진 콩과 순종 황색 둥근콩을 교배시킬 때 1세대가 항상 황색 둥근콩인 이유를 설명하세요~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황색 둥근 콩의 형질이 우성이여서
우성이 하나라도 섞이면 겉모습은 무조건 우성의 형질을 띄기 때문이다 열성형질과 우성형질이 교배하면 언제나 우성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
간결하고 정확한 대답입니다! |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교과서 표현을 빌리자면)RrYy밖에 없기 때문이다 | 이론적인 이유까지 잘 설명했네요! |
황색이 우성이여서 | 모양에 대한 이야기는 없네요 ㅎ |
대립 유전자 2쌍일 경우엔 4가지 경우의 자손형을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염색체가 23쌍 모두 잡종인 사람 둘이 생식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자손형은 몇 가지나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23*23
529가지 |
좋은 발상인데 아쉽다; 이거밖에 안될까? |
(a+b+c+d+....+w)(a+b+c+d+....+w)라 한다면 계산하였을 때 항의 개수는 23의 제곱, 즉 529가지가 된다. | 오, 식까지 생각해서~ 근데, 이건 한 형질에 대하여 유전자형의 종류가 23개 일 때의 이야기고, 제가 물어본 것과는 조금 다르네요; 우열형질이라면 23개의 형질이 관여하게 되겠죠?? |
1가지? | 그럴리가요;; |
영상봣는데도 모르겟어요ㅜㅜ | ㅎㅎ 이건 어려울 수 있죠. 수학이 필요해요. |
29의 29제곱 ..... | 29라는 수는 어디에서 나온거지;;? |
23^2 | 아, 아쉽다;; 비슷한데; |
600 | 이 숫자가 나온 근거가 궁금해요! |
46쌍 | 고작;;? |
23^3 | 어떻게??? |
2^23 ? | 네, 엄마, 아빠 2가지 경우의 수가 23개니, 총 조합은 2^23이 되겠죠. |
23! (팩토리얼) | 벌써 이상한 걸 배워와가지곤ㅋㅋㅋ |
각주[편집 | 원본 편집]
- ↑ 뉴턴 2020.01호 p.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