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 과정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비는 왜, 어떻게 내리는 걸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고지식 -> ㅋㅋㅋㅋㅋ
강수에 대한 기본지식이므로 배워야한다 비가 외오는지 단순히 수증기때문에 오는 것이 아니라 얼음알갱이 떠는 작은 물방울들이 무거워서 내린다고 하면 더 정확하고 타인에게 설명해줄때 더 구체적이여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날씨 앱도 있으니 배울 필요가 없는 것같다. -> 참... 맞는 말이긴 해; 근데 교육의 목표는 지식 자체보다는, 다른 매체를 통해 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연습을 위한 거니.. 뉴스기사나 책을 읽을 때의 배경지식으로 쓸 수 있을 것 같아. 얘들아 형이 다른 형들글 읽어 봤는데 날씨앱이 있어서 안배워도 된다고 하더라고 거기에 선생님이 기초지식이 있으면 보는데에서 편하다고 했나? 아무튼 나도 거기 동의해 그리고 니들도 알잖아 이부분이 제일 쉬운거 화이팅해라~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강수[편집 | 원본 편집]
하늘에서 내리는 비, 눈, 우박 등을 통틀어 강수라고 한다.
비가 내리는 방법[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설명 | 조건 |
---|---|---|
빙정설 | 구름 속에서 얼음알갱이에 수증기가 달라붙으며 무거워진다. | 중위도나 고위도.(구름의 상부에서 수증기가 얼 수 있어야 한다.) |
병합설 | 물방울들이 합쳐져 무거워진다. | 저위도.(온도가 높아 얼음이 형성되지 못한다.) |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설명 |
---|---|
빙정설 | 1933년 스웨덴의 기상학자 베르셰론이 처음 주장. |
병합설 | 1950년대 보엔과 랭뮤어가 주장.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빙정설과 병합설의 차이는 무엇인가?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인공강우를 내리게 할 때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뭘까?
- 인공강우를 내리게할 때 아이오딘화 은, 염분 입자를 이용하는 이유는?(3반 황재빈의 문제)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구름이 일정한 무게가 되야만 비로 내리는 건가요? | 네,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져야 하니까요~ |
빙정설에서는 온도가 낮으면 내릴때 눈이온다고
한다. 그러면 우박 같은경우에는 어떤 원리일까? |
얼음 알갱이가 크게 형성된거죠. 상승기류가 강해서 얼음알갱이가 커질 때까지 떨어지지 않는 거죠. | |
그러면 구름이 하나도없다면 비가 절대 오지않나요? | 네, 떨어질 물이 없으니;; | |
녹지 않으면 비가 내리지 않는거죠? | 언 상태에서 내린다면 눈이 내리겠죠~ 우박이나~ | |
물방울의 크기는 제한이 있나요? | 네, 상승기류가 얼음알갱이나 물방울을 들어올리지 못할 만큼. | |
우박이랑 눈은 강수량 측정을 어떻게 하나요? | 일정 범위에 내린 우박, 눈을 녹여요. 그럼 해당 면적에 내린 물의 양을 알 수 있죠. | |
우박은 온도가 얼마나 내려가야 만들어 지나요? | 온도 자체보다는, 상승기류가 얼마나 강한가와 관련이 있어요~ | |
먹구름도 비가 오는 조건중에 하나인가요 ? | 필수조건은 아니지만, 먹구름이 될 정도로 구름이 진하게 끼어야 쉽게 합쳐지겠죠. | |
우박이 떨어지면서 비가 될때가 있나요? | 네, 보통은 그래요. | |
왜 빗방울이 모일때마다 한방울씩 떨어지는게아니고 한꺼번에 다떨어지나요?
빗방울은 왜 모일때마다 한방울씩 떨어지지 않고 한꺼번에 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빗방울 하나가 내리기 시작하면 상승기류들을 풀어헤치잖아요? 그러면 구름을 유지해주던 상승기류가 사라져 우수수~ 하고 내리게 됩니다. | |
저위도의 구름에서는 눈이 내릴 수 없나요? | 네, 애초에 얼음이 생기지 않으면 눈이 내릴 수 없죠 ㅜ
다만, 저위도라 할지라도 고산지대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눈이 오기도 해요! | |
구름이 일정한 무게가 아니여도 비가 내릴 수 있나요? | 비가 내리는 건 상승기류와 깊은 관련이 있지만.. 물방울이 너무 작으면 그냥 안개가 내려오는 것밖에 안될거에요. 구름이 일정 크기 이상 커져야 비가 됩니다. | |
강수가 안내리면 지구 멸망하나용? | 비 안오면 어떻게 될 것 같아요?? ㅎㅎㅎ | |
우박은 어떻게 생성되나요? 단지 평소보다 수증기가 더 많이 달라붙는 건가요? | 네, 얼음알갱이가 커지면 떨어져야 하는데, 상승기류가 강하면 안떨어지고 계속해서 커질 수 있어요. 우박은 기본적으로 상승기류가 강해서 생긴다고 보면 됩니다! | |
우박 얼마나 커질수 있을까요 | 1970년 9월 3일에 미국 캔사스주 어느 커피밭에 떨어진 우박이 최고 사이즈라고하느데요
그 크기가 무려 둘레가 44.5 센티미터 이고 무게가 무려 760 그람 이였다고해요 [출처]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큰 우박|작성자 베리퍼니 | |
우박 맞으면 아프나요
우박은 얼마나 아프나요 큰거에 가정했을때 |
가벼운 데미지를 주는 우박부터.. 한방 맞으면 죽는 우박까지 다양하죠; | |
기온이 낮으면 눈이 내리고, 기온이 높으면 비가 내리는데 우박은 기온이 높아야 내리나요 아니면 낮아야 내리나요? | 온도는 의외로 크게 상관 없이, 상승기류가 강하면 돼요~ | |
구름을 만들때 주변 온도를 낮추는데 반대로 온도를 높히면 어떻게 되나요?
만약 구름이 뜨거워지면 어떻해되나요? 구름이 뜨거워지면 비가오나요? |
구름이 사라져요오~ | |
물방울이 어드정도 무게가 되야 떨어지나요 | 상승기류를 이길 만큼이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 달라져요~ | |
구름은 수증기로만 이루어진건가요? | 불순물이 조금 섞여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수증기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 |
인공강우를 내리게할 때 왜 아이오딘화 은, 염분 입자가 필요한거에요? | 물방울들이 쉽게 뭉치게 하기 위한 핵이라고 보면 되요. 이것들이 있으면 물방울이 맺히기 쉬워요~ | |
구름은 무게가 없나여? | 무게가 있습니다! 공기에도 무게가 있는걸! | |
비가 많이 안온다면 물방울이 모여있지가 않다는 건가요"? | 그쵸. 상승기류를 이겨낼만큼 무겁지 않다는 거죠. | |
비가 내릴때 떨어지는 얼음이 녹아서 떨어지는데 혹시 얼음이 녹지 않고 그대로 떨어질수 있나요? | 그렇게 떨어지면 눈이나 우박이 됩니다~ | |
그럼 바다 위에 내리는 비 아니면 눈은 염도가 높은가요? | 바다에서 물이 증발할 때 소금도 같이 증발하는 건 아니잖아요? ㅎㅎㅎㅎ | |
그냥 구름위에다가 물을 뿌려도 비가 내리지 않나요? 굳이 드라이 아이스를 쓰는 이유 는 무엇인가요? | 그냥 구름위에다 물을 뿌려도 되지만, 여전히 많은 양의 수증기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잖아요? 그것들을 나오게 하는 게 진짜 목적이죠! | |
인공적으로 만드는 비의 양을 정확히 예측하는게 가능한가요? | 음...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 |
호기심 | 빙정설 병합설 말고 앞으로는 어떤 설이 나올까요?
빙정설이나 병합설 말고 다른 가설들을 알고 싶습니다 빙정설과 병합설만고는 없나요?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이 2개가 나왔는데 다른 설도 있나요? |
그러게요, 다른 설은 어떤 게 있는지 조사해서 발표해줄래요? 세특에 써줄게요. |
드라이아이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여? | 이산화탄소의 온도를 낮춰서 고체로 만들면 그게 드라이아이스! | |
구름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 창세기에선 노아의 홍수 이후로 생긴 것 같은데.. 다른 신화에선 어떤지 조사해줄래요? 세특에 써줄게요. | |
구름이 그냥 사라질 때도 있나요 | 네. 그냥 사라질 때도 있죠. 안개가 사라지듯. | |
인공강우를 만드는 다른방법도 있나요?
드라이아이스 말고도 인공강수를 생성하는데 쓰는것이 무엇이 있나요? |
글쎄요, 다른 방법이 뭐가 있는지 조사해 발표해줄래요? 세특에 써줄게. | |
인공적으로 비가 오게 할 수 있다면 인공적으로 비가 그치게 할 수도 있나요? | 네, 인위적으로 물방울이 안맺히게 만들면 돼요! | |
구름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 안개에 들어간 것과 같을거에요~ | |
비가 내리는데 투모로우 같은 빙하기가 오면 눈이 내리나요 | 그정도 빙하기면 우박이 떨어질 것 같은데요;; | |
기상청은 왜 매일 일기예보를 틀리나요..ㅜ 가끔식 맞고 매일 틀려요.. | 유체는 굉장히 복잡하거든요. 너무 넓고.. 아직 스톡스-나비에 방정식을 완벽하게 풀어내지도 못하고.. | |
고위도에서 내린비와 저위도에서 내린 비가 다른점은 없겠죠? | 기본적으로 온도가 다르겠죠?
사회시간에 배우겠지만, 저위도에선 스콜이 내리는 등 비가 내리는 빈도나 양이 다르죠~ | |
층운형은 비가 안 내리나요? | 넓은 지역에 비를 내린다고 지난시간에 이야기했어요~ | |
우박이랑 눈이랑 비랑 같은지역에 동시에 내릴 수 있나요? | 극히 희박한 확률이긴 하겠지만... 가능할지도. 눈비는 쉽게 볼 수 있고.. 여기에 구름의 상층에만 강한 상승기류가 일어나고 있었다면 우박도 같이.. | |
구름을 엄청큰 막으로 감싸면 물과 얼음알갱이를 전부 관찰할 수있나요? | 네, 당연하죠. | |
비가오면 바닷물이 높아지나요 | 미세하겠지만 높아지겠죠? 당연히? | |
구름 자체가 떨어질 수 있나요? | 네, 그럴 수 있죠. 상승기류가 전체적으로 약해져서 함께 내려올 수 있어요. | |
보통 동물이나 공룡은이 짝짓기를 할때는 수컷이 암컷의 위에 올라탑니다. 스테고사우르스라고 등에 골판이있는 공룡이있는데 그럼 이공룡은 등에있는 골판때문에 올라타지 못할텐데 어떻게 짝짓기를 할까요? | 찾아보니.. 옆으로 눕거나, 서로 뒤로 맞대거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 같네요.[1] | |
일기예보는 그날 구름에 양을 보고 결정하나요? | 예보를 할 당시 이후 구름의 움직임을 예상해서 예보를 하는거죠~ | |
드라이아이스가 불을 만나면 어떻게 되나요 물이생기나요 아니면 그냥 사라지나요 | 해보자! 그냥 사라질 것 같은데! | |
비와 그냥 물의 차이는 뭘까요 | 그냥 물이라 하면 증류수를 말하는 걸까요? 비는 이런저런 불순물도 조금 녹아있어 순수한 물은 아니에요~ 하늘에 떠 있는 미세먼지나, 자잘한 먼지들을 포함하고 있죠. | |
기타 | ||
헛소리 | 결혼식때 줌 키실껀가용 | 유튜브 생중개 해준데요.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구름이 생긴다고 해서 비가 내리진 않는다. 비가 내리려면 어떤 조건이 더 필요할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강수량이높아야한다 | 아니아니;; 강수가 생기려면 어떻게 해야하냐구;; |
물방울이 많이 모여야한다 | ㅇㅇ 그렇죠. 무엇을 위해 물방울이 많이 모여야 할까요? 구름이 떠있으니.. 이들을 가라앉히려면 무게가 더 생겨야겠죠! |
물방울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합쳐져 구름이 무거워져야 한다. | 그렇죠, 핵심은 무거워지는 것! |
구름안에 물방울과 얼음일갱이가 많아야한다 | 단순히 많다고 해서 떨어지진 않아요. 뭉쳐져서 밀도가 커져야 해요! |
구름속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의 무게가 무겁지 않아서 이다. 얼음알갱이나 작은 물방울들이 더 모이면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비가 내릴것이다.
빙정설에선 얼음알갱이가 커지면서 떨어지고 병합설은 물방울이 모여 커지면서 떨어진다. 비가내릴려면 구름안에 얼음알갱이가 있어서 물방울이 달라붙거나 물방울이 많이 싸여서 구름이 무거워져야한다. |
훌륭! |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져야 한다 | 그렇죠.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위해 물방울들이 뭉치거나 얼음이 커지는 등의 과정이 필요해요! |
물방울이 많이 모여야 비가 내린다능~ | 좋다능~ |
빙정설과 병합설의 차이는 무엇인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차이가 없다 | 차이가 없다면 이름이 다를 이유도 없겠죠? |
|
훌륭 |
병합설은 물방울들이 위로 거쳐올라가면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현상이고 빙정설은 물방울과 수증기가 붙어 얼어 얼음 알갱이가 되서 무거워져 내린다. | 병합설.. 물방울이 위로 거쳐 올라가면서;;? 조금 언어를 다듬을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빙정설은 온도에 따라 눈이나 얼음으로 내리고 병합설은 물이 모아져서 무거워 지면서 내린다. | 맞게 말했지만, 차이에 대해 바르게 말한 것 같진 않아요~
둘의 형성되는 방식의 차이를 말하거나, 떨어지는 방식의 차이에 대해 말하면 좋을 것 같은데, 섞여있네요~ |
빙정설은 고위도와 중위도에서, 병합설은 저위도 지역에서 비가 내리는 과정이라 추측되는 설이다 | 네, 지역의 차이도 차이라 볼 수 있겠죠. |
빙정설은 얼음이 녹아서 비가 내린다는 설이고 병합설을 물이 뭉쳐 무거워져 내린다는 설이다 | 빙정설의 핵심은 얼음이 녹는 게 아니라, 얼음알갱이가 커져서 무거워지는 거에요! |
얼음알갱이로 변하는지의 차이 | 오, 이런 간단하면서도 핵심을 짚는 대답 좋아요. |
인공강우를 내리게 할 때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뭘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구름의 온도를 낮추어 얼음 알갱이가 잘 성장하게끔 돕는다. | |
드라이아스가필요해서 | 잉;;? |
물을 생기게해서 | 드라이아이스가 어떻게 물이 생기게 하는데? |
물방울들을 증발시켜 구름이 무거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드라이아이스룰 사용하면 기온이 높아지기 때문에 물방울이 모여서 비가 만들어진다(?) |
드라이아이스는 온도를 낮추니 물이 증발하는 게 아니라 물을 응결시키지 않나요? |
같은 기온에서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면 기온이 낮아져서 상대습도가 낮아지고 수증기들이 과포화 상태가 되어서 공기중에 수증기가 나오면 수증기들이 뭉치고 무게가 무거워서 비가 내릴것이다. | 이야, 좋은 추론이에요!
근데, 상대습도가 낮아지는 게 아니라 높아져요! |
구름에 물방울의 응결핵이 될만한 물질을 뿌려야하는데, 드라이아이스가 가장 최적이기 때문에 | 좋은 발상이에요! 응결핵의 영향보다는 전체적인 온도를 낮추는 데 더 큰 목적이 있지만요! |
구름의 온도를 낮게해서 얼음알갱이가 생기가 할려고
드라이아이스로 얼음 알갱이를 만들기 위해서 얼음알갱이를 성장시켜서??? |
네, 핵심은 이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