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과 에너지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왜 종이나 나무를 태우면 따뜻해질까?
발열도시락은 어떻게 전자레인지나 불 없이 따뜻해질 수 있는걸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개념 | 설명 | ||||||
---|---|---|---|---|---|---|---|
화학반응과 에너지 출입 | 에너지를 방출하면? -> 주변 온도 상승.
에너지를 흡수하면? -> 주변 온도 하강.
| ||||||
활용 |
화학변화할 때의 에너지 출입을 이용한 발명품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화학변화할 때 에너지를 방출하면 주변 온도는 어떻게 될까?
- 화학변화할 때 에너지를 흡수하면 주변 온도는 어떻게 될까?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없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발열반응과 관련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나무가 탈때 왜 주변이 따뜻해지나요 | 발열반응을 해서요~ |
핫팩은 왜 주머니에 넣어두기만해도 따뜻해지나요? | 흔드는 것만큼은 아니더라도, 주머니에 넣는다고 해서 산소를 차단하지는 못하잖아요? |
손난로에 구리를 넣어도 따듯해지나요?
손난로를 철가루 말고 다른 가루로는 재현할 수 없나요? 열울방출 하는 다른 가루가 있을까요??? |
철만큼은 아니더라도, 산화구리도 산소와 반응하니, 따뜻해지긴 할 거에요~ |
손난로 처럼 흔들면 열이 생기는 다른것이 있나요? | 마찰열로 인해 열을 낼 순 있겠지요.
화학변화해서 열을 방출하는 반응들은 모두 손난로처럼 쓸 수 있을거에요~ 흔드는 건 열을 내기 위함이 아니라, 산소와의 접촉을 늘려서 화학변화를 빠르게 하기 위함입니다~ |
열을 내는것들은 대부분 화학 반응으로 내는 건가요? | 네. 대부분이요. 전열기기가 아니라면. |
집에 화학 반응 되는거 있으신가요 | 나(호흡함) |
몸을 움직일때 온도가 높아지는 이유 | 호흡을 많이 해서요. 영양소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킬 때 열도 함께 발생해요~ |
사람이 에너지를 방출되는 행동을하면 그 주변 온도는 올라가나요? | 네. 주변이 후끈후끈해지잖아요~ |
철구슬 같은 것을 그냥 두면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에 있는 산소와 만나 열을 내나요? | 철구슬 표면이 녹슬면서 열을 내지요~ 아주아주 느리게. |
흡열반응과 관련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광합성하는 것이 화학 반응 인가요? | 네, 태양빛의 에너지를 흡수해서 저장하는 화학반응입니다. |
열을 흡수하면 차가워지는 원리로 아이스팩같은 것을 만들수 있나요? | 네, 당연하죠! 실제로 많이 나와있구요! |
얼음팩 이외에 흡열반응을 이용한 예 | 집에서 간단한 아이스크림을 만들 때~ |
열을 흡수하면 주변 온도가 낮아지는데 온도가 낮은 곳에서 열을 흡수해도 온도가 낮아지나요? | 네, 열의 흡수가 일어나면 무조건이죠. 그런데, 너무 낮은 온도에선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어요. |
오개념을 수정하기 위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보온병도 같은 원리인가요, | 보온병은 열을 내는 게 아니라,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해주는 역할이에요~ |
냉동고도 비슷한원리인가요
냉장고도 화학변화 해서 온도를 떨어트리나요? |
냉장고, 냉동고는 화학반응을 이용한 게 아니라, 상태변화를 이용해 온도를 낮춰요~ |
이렇게 화학반응에서 에너지가 보존되는 경우는 없나요(방출이나 흡수없이)
에너지 출입이 없는 화학반응도 있나요? |
처음 물질과 나중 물질의 화학에너지가 같아야 할텐데, 원자의 배치가 변하니까.. 같은 물질은...없을 것 같은데요? |
화학변화할때 에너지가 방출될때 주위 온도가 낮아질수는 없나요 | 네, 방출된다는 건 주변의 에너지가 높아진다는거잖아요? |
이글루에 물뿌리면 따뜻해지는건 발열반응이라 그런건가요? | 비슷하지만, 물 뿌리는 건 상태변화할 때 나오는 에너지에요~ 화학변화랑은 달라요~ |
핵융합은 발열반응일까요? 흡열반응일까요? | 핵융합은 화학반응이 아니라 발열,흡열반응이라는 용어를 쓰진 않지만, 굳이 말하자면 열을 내뿜죠. |
관련 호기심[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핫팩을 처음 만들때 공장에 산소가 있는데 그러면 그때 변하지 않나요? 아니면 그 비닐 안에 있을때는 안에는 산소가 없는건가요? | 네, 포장하잖아요? |
똑딱이 난로를 때리면 굳나요? 똑딱이 손난로 액체를 밖에서 때리면 굳나요? | 네, 과포화상태의 물질에 충격을 가하면 포화되어 있던 물질이 밖으로 빠져나오죠. 그렇게 나오면서 열을 방출합니다.(물에 녹을 땐 열을 흡수하거든요) |
똑딱이 손난로는 재사용이 가능한데 그럴려면 따뜻한 물에 담구잖아요 그때는 반대로 열을 흡수하나요? | 네, 좋은 추리! |
똑딱이 난로의 액체를 엄청 많이 넣어둔 뒤 충격을 주면 다 변하나요? | 네, 똑딱이로 한 번 튕겨주면 순차적으로 변하듯, 양이 많다 하더라도 변하죠. |
만약 질산 암모늄이랑 산화 칼슘이 손난로 안에서 물이랑 반응하면 미지근해지나요 ? | 네. 에너지를 방출하고 흡수하는 양이 비슷하다면 그렇지 않을까요? |
핫팩에서 철이녹슬어도 열을 방출하나요? | 화학반응이 끝난 다음엔 산화철이 되어버리니, 더 반응하지 못하겠죠~ |
철가루와 산소는 비율 상관없이 만나기만하면 따뜻해지나요 | 비율이 맞지 않으면 반응하지 않아요~ |
핫팩을 던져서 터뜨리고 나오는 가루들은 따뜻해지나요? | 네, 다 녹슬기 전까지 따뜻해지겠죠~ |
핫팩이 무한하게 따뜻하지 않은 이유는 뭔가요? | 방출하는 에너지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물리변화에서 분자간 거리가 줄어들면서 열을 방출하듯 원자간의 거리가 짧아지면서 열을 방출한다고 했죠? 이 거리가 무한하지 않아서요'. |
핫팩을 터트리고 다시 모으면 열이 나나요? | 액체손난로의 경우, 사용하지 않은 액체를 모아서 충격을 가해주면 굳기 시작하면서 열이 나요~ 크기가 얼마든~
철가루 난로라면... 다 쓴 경우엔 소용이 없겠죠;; |
똑딱이 손난로는 다시쓰던데 어케다시쓰나요. | 물중탕 해서 온도를 높여주면 다시 과포화상태가 되요~ |
기타 호기심[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산화철을 구우면 어떻게 되요? | 더 녹슬겠죠. 산소가 없는 공간에서 다른 처리를 한다면 오히려 녹을 뺄 수도 있구요! |
염화 철도 있습니까 | 네 |
일반인은 동의없이 염산 사용못하나요 | 네. 교사나 화학 관계자들만 살 수 있어요~ |
드라이아이스는 어떤 물질이 결합 한건가요 | 탄소와 산소요. 이산화탄소의 고체형이 드라이아이스에요~ |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을 때 연기가 나는것도 관련이 있나요? | 이산화탄소의 경우엔 기화된 이산화탄소라 할지라도 온도가 낮아서, 수증기가 응결하게 만드는 거에요~ |
세포와 입자의 차이점이 있나요? 만약 있다면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 입자는 원자, 분자 같은 알갱이들을 의미하고, 세포들은 이들이 모여 만들어진 거죠. |
백혈구가 일을 하면 이마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이는 백혈구가 일을 하면 열을 방출한다는 뜻인데 물리변화에 의한 발열인가요, 화학변화에 의한 발열인가요?(세포가 물리변화나 화학변화를 하지 않는다면 대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백혈구가 일을 해서 열이 올라가는 게 아니라, 균이나 바이러스를 죽이기 위해 몸에서 열을 올리는거에요. 몸에서 열을 내는 건 영양소를 쓰는 것이니, 화학변화죠. |
컴퓨터나 핸드폰을 하면 기기에 온도가 올라가는데 이건 산화철이 되는 과정도 아닌데 왜 올라가나요?
전자핫팩은 무슨원리인가요? |
이건 화학반응 때문에 올라가는 게 아니라, 전자가 원자들과 부딪혀서 나오는 열이에요~ |
에너지는 어떻게 생기나요? | 어떤 에너지를 말하는거죠? 보통은 태양빛을 광합성으로 저장해서 식물에 저장되는 걸 이용하죠. |
기체상태의 고체가 존재 하나요 | 다른 상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어도, 동시에 두 상태로 존재한다고 말하긴 어려울 듯해요~ |
만두에 구멍을 뚫으면 따뜻해지는게 멈추는데 그걸 과학적으로 설명해줏여 | 열을 가둬두던 막이 뚫리면 열이 빠져나가기 쉬워지잖아요~ |
손난로에 손이 데일 수도 있나요? | 네, 보통 40도 이상 올라가서 저온화상을 입기도 하지요.. |
냉각수의 원리가 무엇인가요?(분자나 만들어진 배경이 궁금합니다.) | 어디에 쓰는 걸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물이죠. 물은 비열이 크니까요. 그리고 100도 이상 올라가지 않으니, 냉각수로 쓰입니다. |
스테이플러같이 생긴 비닐 밀봉하는 제품은 어떤원리로 밀봉하나요? | 열을 가해 비닐을 살짝 녹여서 밀봉하는거에요~ |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과학쌤이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혹은 철학자 | 파인만이요. 개구쟁이 좋아요. |
해결해 주지 못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손날로는 누가 만든건가요??? | 조사해오세요~ |
에너지는 누가 발견한걸까요 | 글쎄요;; 누가 발견했다고 한 사람을 지명하기엔 어려울 것 같아요;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산소와반응하여 에너지를 주변에너지를 흡수하는 것도 있나요? | 음... 모르겠어요. 제가 아는 한 없어요. 조사해 와서 발표해줄래요? 세특에 써줄게요. |
전기는 누가 만들었나요? | 처음 발견한 건 탈레스라고들 하죠.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헛소리[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에너지를 가져오면 제 마음도 따뜻하나요? | 네. |
의자에 방귀뀌면 따뜻해지던데 열방출인가요? | 열 전도라고 봐야겠지요, 혹은 대류. |
핫팩은 왜 계속 안따듯한가요. | 에너지가 무한하지 않으니까요~ |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한제라고 하는 소금과 물의 반응은 흡열반응이라고 하는데요. 물에 소금을 넣어 녹이는 용해 쪽으로 보면 물리 변화가 일어났다고 말하지 않나요??? 어떤 면에서 화학변화로 보고 어떤 면에서는 물리변화로 보나요? |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게이뤼삭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 왜 열이 나고, 왜 열을 흡수하는지 알기 위해선 퍼테셜 에너지에 대해 배워야 하는데, 이건 3단원에서 처음 배워요. 그리고 고등학교에나 가야 그 의미가 이해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함안 낙화놀이. 오래전 조상들도 정확한 원리는 몰랐다지만, 물질의 다양한 성질을 이용해 즐길 줄 알았다.
석간주. 궁궐이나 사찰 기둥에 칠한 붉은 안료. 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적철석을 통해 얻거나, 철을 산화하여 만들기도 한다. 중국 단청에선 찾을 수 없는 우리나라 고유의 책.
답[편집 | 원본 편집]
겨울에 쓰는 손난로는 어떻게 따뜻해지는 걸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철이 산소를만나서
열에너지가 방출되서 |
두 답을 종합하면 완벽하겠네요~ |
흔드는거는 안에 철이 녹슬어서
철과 산소가 결합하면서 열을 방출해서 녹이 슬 때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철가루가 공기와 만나 산화철이되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
굿. |
흔들기 손난로: 공기중에 있는 산소와 철이 둘이 붙어서 열을 낸다.
또따이 손난로: 똑딱이 손난로 안에있는 물질은 충격을 가하면 고체가 되면서 열을 진출한다. |
완벽! |
철이 산화철로 되면서 물과 공기가 서로 만나 열이 방출되는것이다. | 물과 공기가 만난다...? 철과 산소가 만나는 반응이 주 반응이에요~ |
화학변화할 때 에너지를 방출하면 주변 온도는 어떻게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올라감, 따뜻해진다, 높아진다. 주변 온도가 높아진다. | 굿굿. |
화학변화할 때 에너지를 흡수하면 주변 온도는 어떻게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낮아진다, 떨어진다, 낮아짐. 주변 온도가 낮아진다. | 별거 없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