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권의 층상구조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고지대의 기온은 낮다. 강원도의 기온이 낮아...(고냉지 농업)
아프리카의 산 꼭대기엔 눈이 쌓여 있는 경우도 있다. 높은 지대일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높이와 기온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천문학에 관심이 있거나 지구과학 관련 직업을 생각한다면 필요할 것 같다.
배워야한다 나중에 여행가면 필요할거 같다.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 대해 알아야하기 때문. 잘 기억은 안나지만 이번시간으로 처음배우는게 아니라 복습하는거 같아서 배우기 쉽고 좋은고 같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듯이 알려줄수 있어서 배워야 할 것 같다.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기권의 구조[편집 | 원본 편집]
기권은 왜 4개의 층으로 나누었을까?? 구분할 만한 특성이 있어서.(기온변화에 따른 인위적 구분)
개념 | 설명 |
---|---|
대류권 | 약 11km까지. 공기 대부분이 모인 층.
|
성층권 | 약 50km까지. 오존층이 있는 층.
|
중간권 | 약 80km까지. 유성이 타는 지점.
|
열권 | 80km 이상. 오로라가 나타나는 곳.
|
※ 오존은 성층권에 몰려 있지만(90% 이상), 지표에도 일부 있다.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층은?
- 우리가 살고 있는 층은?
- 오로라가 발생하는 층은?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없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열권 다음에는 층이 없나요? | 외기권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보통 '우주'라고 하죠. |
층을 왜 나눴을 까요?
층은 왜나누고 누가 나눈거죠?? 기권은 왜 나누어 지나요? 누가 층상구조를 성립했나요? |
롤에서 원딜, 정글 등의 역할을 나누듯, 특성이 뚜렷하면 자연스레 나눠지지 않나요? ㅎㅎ 각 층별로 나타나는 현상도 다르고 특징이 뚜렷하니까요.
누가 나눴는지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다른 행성에서도 기권을 4개 층으로 나누나요? | 아뇨, 꼭 그러리란 법은 없죠. 기체의 구성성분이나 상황에 따라 달리 구분합니다. 지구의 경우, 온도변화라는 뚜렷한 특징이 있어서 이렇게 나눈 것일 뿐이죠. 사람이 만든 구분이에요. | |
기권은 총4가지의 층으로만 이루어져있나요??
더 세부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4가지만 있나요?? |
더 세부적으로 나누기 나름이죠. 사람의 필요에 따라 더 세세하게 나누면 돼죠. | |
계면은 무슨 뜻인가용? | 경계면. 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 |
지구 내 가장 높은 층은 무엇인가요?
열권보다 더 높은 층이 존재하나요? 열권보다 높은층이 모에여? |
열권. 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외기권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어요.(인위적인 분류라서, 사람마다 다를 수도 있죠.) | |
열권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어디까지 올라가나요 | 태양활동에 따라 온도차가 크고, 2000도까지도 갈 수 있다고 하네요~ | |
열권에선 왜 뜨거워 지나요
어째서 열권에선 온도가 올라가나요? |
태양으로부터 온 입자, 빛을 처음으로 맞이하는 아이들이잖아요? | |
열권 밖은 우주인가요? | 외기권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어요; 보통 우주라고 보면 될 것 같네요. | |
그럼 우주는 무슨층인가요 | 우주는 지구 밖에니,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 | |
비행기가 대류권에 있으면 수증기가 있으므로 공기의 저항을 받기에 운행이 힘든가요 ? | 공기저항도 공기저항이지만, 바람이 요동치거나 구름이 시야를 가리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없는 곳에서 날면 편하잖아요? | |
대류권,성층권 등 중에 권은 무엇을 뜻하나요. | 圈. 우리 권. 1학년 때 배웠던 지권, 수권, 생물권의 권자와 같아요. 어떤 경계를 나눌 때 사용하는 한자에요. | |
비행기가 11km에서 난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그 이하에서 날면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거나 하는 등의 기상현상때문에 나는 데 불편함이 있어요. 그리고 공기저항 문제도 있구요.(너무 높이 날면 공기가 희박해 날기 어렵구요) | |
대류권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열권은 왜 온도가 올라가나요? | 태양의 영향을 받아서요. 높은 곳에 있을수록 태양빛을 가장 먼저 흡수하게 되잖아요? 그래서 온도가 높아져요. | |
왜 어느 층에선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고 어느층에선 높아지나요? | 대류권에선 바닥에서 멀어질수록 복사에너지가 약해지고,
성층권에선 오존층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고 중간권에선 다시 오존층과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다가, 열권에선 태양 때문에 다시 높아지죠. | |
인간은 맨몸으로 어느 높이까지 올라갈수 있나요? | 글쎄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태양은 무슨 층인가요? | 태양은 지구권 안에 속해있다 보지 않으니, 딱히 명칭은 없죠. 굳이 말하자면 우주권? | |
중간권에는 왜 수증기가 없나요 |
| |
오로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여 | 태양으로부터 날아온 입자가 기체입자와 충돌해서요~ | |
태양으로부터 날아온 입자가 기체와 충돌하면 왜 빛이 발생하나요?(오로라) | 돌과 돌을 부딪히면 빛이 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돼요~ | |
오로라는 무조건 열권 에서만 나타나나요? | 무조건..이라고 할 순 없지만.. 롤에서 타워가 하나도 무너지지 않았는데, 넥서스가 공격받을 수 있을까? 무조건 공격받을 수 없다곤 할 수 없잖아요? 태양에서 온 입자들이나, 자외선 따위는 깊이 들어오기 전에 위에서 대부분 처리되요. | |
성층권은 왜생기나여 | 심오한 질문이에요. 공기분자의 무게에 따라 공기의 분포 밀도가 달라지는데, 성층권에서 산소, 오존의 밀도가 높기 때문이 아닐까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넣어줄게요. | |
대류권에도 오존층이 있나요 | 오존이 있긴 하지만, 오존층이라고 부를 만한 정도는 아니에요~ | |
다른 대기가 존재하는 행성도 지구와 비슷한 층이 있나요? | 우주는 넓으니까 찾아보면 있겠죠?? | |
우주 다음에는 없나요 | 인간이 아직 우주 밖을 관찰해보지 못했으니, 밝혀지진 않았지요. | |
권은 지구 중력이 작용하는 곳까지만인가요? | 아뇨, 보통은 기체가 있다고 생각되는 지점까지요~ | |
호기심 | 산중에 열권까지 가는 산이 있나요? | 아뇨, 산은 높아봐야 8km 정도인데, 열권은 그보다 훨씬 높이 있잖아요~? |
전리층은 무엇인가요? | 기체분자가 이온화되어 전기를 띄고 있는 층이에요~ | |
다른 행성에도 층이있나요? | 있을 법 하지 않나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넣어줄게요~ | |
치악산은 어디쯤 일까요? | 치악산의 높이와 오늘 배운 기층의 높이를 비교해 보면 되겠죠~ | |
오존층이 더 많이 형성되면 어떤 변화가 있나요? | 지구로 들어오는 자외선 양이 줄어들겠죠. 우리가 살고 있는 아랫부분에서의 오존이 줄어 더 건강해질 것 같네요. | |
그렇다면 우주나 다른 행성의 대기도 저희한텐 열권인가요? | 대기가 없거나.. 열권과 비슷한 환경이라 말할 수 있겠지만, 다른 이름으로 붙여도 되겠죠. | |
하늘은 왜 하늘색인가요? | 레일리 산란.(대학 가면 배워요) | |
비행기가 더 낮게 날면 어떻게 되나요 | 연비가 안좋아져요. | |
비행기는 낮게날면 벌금을 무나요? | 음;; 각 나라의 항공법에 대해선 잘 몰라서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아마 안물 것 같은데, 근데, 낮게 날면 연비가 안좋아서 굳이 낮게 날진 않을듯;) | |
비행기가 성층권 위로 더 올라간다면 어떻게 되나요? | 공기가 부족해 떠 있으려면 더 큰 힘이 필요할 것 같아요. 연비가 안좋아질 것 같아요. | |
비행기가 열권에서 비행하면 어떻게 되나요? | 연비가 안좋겠죠. 기압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 비행기 내구성에도 안좋겠고.. | |
현재 있는 모든 항공기 중에서 가장 높이나는 항공기는 무엇인가요 |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넣어줄게요. | |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지역의 특징이 궁금해요 | 극지방. 자력이 강한 곳이라 봐도 되겠네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오존층이 환경오염으로 인해 점점 파괴가 되어가고 있는데 만약 환경오염이 계속해서 지속되어 오존층이 완전이 파괴된다면 어떻게 되나요? |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고 피부에 그대로 맞겠죠. 피부질환이나 피부암의 위험이 높아지겠고, 하늘에서 온 에너지가 그대로 지표면의 공기입자랑 만나니, 우리가 살고 있는 대기에 오존이 생길 수도 있어요. 오존 마시면 안좋아요. | |
오존층이 계속 파괴되고 있다고 들었는데, 오존층이 어떻게 생성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자외선을 받아 산소나 산화물이 분해되었다가 다시 결합하여 오존을 만들곤 합니다. | |
더롱다크라는 게임에서 오로라가 뜨면 근처에 전자기기들이 활성화 돼는데 실제로도 그럴수 있나요? 그럴수 있다면 원리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만약 아니라면 왜 아닌가요? | 전자기기들이... 망가질 수가 있어도 활성화된다는 건 조금 이상하네요;;
나중에 배우겠지만, 전자가 움직이면 전류가 흘러요. 보통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면 전자기기들이 과전류를 받아 망가지곤 해요~ | |
우주선이 발사가 성공적으로 됐다 치면 날아가다가 몸통이 분리가 되는데 어디서 분리가 되죠? | 그건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요오~ 질량을 빠르게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분리를 시키지요오~ 보통은 몸통 내부의 연료를 모두 소진했을 때가 아닐까요? | |
헬기가 나는 층도 비행기가 나는 층과 같나요? | 헬기가 조금 낮게 날아요~ 비행기가 장거리 이동을 위한 거라면, 헬기는 비교적 단거리에, 수직, 이착륙을 주로 하기 때문에 조금은 낮게 날지요오~ | |
비행기가 달리면 왜 공중에 뜨나요 | 달릴 때의 저항력과 함께 양력을 받아요. 커다란 판데기를 거의 바닥과 평행하게 들고 달리는 걸 생각하면 되요. | |
비행기가 엄청 무거우면 날지못하나요 | 충분한 속도와 충분한 공기밀도가 갖춰진다면 무겁더라도 날릴 수는 있을 것 같아요~ | |
만약 사람이 지구 가운데에서 떨어지면 몸이타나요. | 초기 속도가 엄청나게 빨랐다면 타겠지만, 자유낙하라면 몸이 타진 않을거에요~ | |
대류가 무엇인가요? | 위, 아래 유체가 서로 섞이는 것. 위, 아래 유체의 밀도차이 때문에 생깁니다. 밀도차이는 위, 아래 유체의 온도차이 때문에 생깁니다. | |
기타 | 다음해에 3학년 되는 친구들도 배울것같은데 더 쉽게 가르쳐주시면 애들이 좋아할것같아요 | ㅇㅇ 어떻게? |
헛소리 | 프테라노돈은 어느층애 살았었나요? | 맞춤법부터 맞추면 알려드릴게요~ |
최초의 컴퓨터는 누가 만들었나요? | 조사해와요. | |
이것도 기말 범위인가요? | 네 |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비행기는 어느 정도 높이에서 날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대류권~성층권
항공12키로미터 상공 11km 10,700m~12,200m 정도 성층권 초반 국제선의 경우 10,700m~12,200m 정도에서, 국내선의 경우 7,620m~8840m의 고도에서 운항한다. |
넹넹~ 대기현상이 없는 곳에서 날면 편하니까요오~
상공 12km를 말하는 거겠죠;;? ㅎㅎ |
중간권 | 헉;;; 공기가 부족해서 날지도 못할 것 같은데;; |
성층권(10~50km) | 일반적으로 성층권의 아랫부분에서 날아요~ |
기상현상이 없는곳에서
하늘높이 |
그게 어딘데?? |
장애물이 없는 안전한 높이 | ㅇㅇ 그게 어느정도라고 생각하는데?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층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대류권, 중간권 | 정석이네 ㅎ |
성층권 |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
기층 | 기층 안에서도 몇 가지 층으로 나뉘잖아요? ㅎㅎ |
우주랑 지구 사이 | 와우, 너무 넓다; |
중간 | 그게 어느정도인데;;? |
우리가 살고 있는 층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대류권 | ㅇㅇ |
지층 | 오늘 우리 기권에 대해 하고 있잖아요 ㅎㅎㅎ 맥락상... |
오존층 | 네;;? |
땅 바닥층 | 예;;;; |
오로라가 발생하는 층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열권, 열권층 | |
80km이상 | 층 이름을 물어봤으니, 층 이름을 말해줘야 할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