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AgCl 같은 경우엔 분자들이 1:1로 결합한다. 그런데, 물, 이산화탄소같은 경우엔 그렇지가 않다. 이렇게 다른 둘을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
너희들은? | 나중에 배울거랑 연관돼서.
배워야지 고등학교 때 힘들지 않기 때문에 더 깊은 화학과학을 배우기 위해서. 그림으로 그리기 귀찮아서. 일상샹활에서 잘 안 쓸것 같아서 안 배워도 될것 같다. => 요리의 레시피를 보고 재료의 양을 준비하거나 할 때 사용하는 두뇌기능의 연습이라고 보면 되요. 과학시간에 배우는 건 그 지식 자체보단 활용하는 연습에 의미가 있으니까요!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개념 | 설명 |
---|---|
화학반응식 | 복잡한 화학반응을 손쉽게 나타내기 위해 만든 것.
유의사항. 화학반응식에서 '='는 사용하지 않는다. 화살표를 써서 반응의 방향을 보여주어야 한다. |
화학식 | 같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원소기호로 나타낸 것. |
계수 | 화학식 앞에 있는 숫자.(수학에서 방정식의 계수) |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내기[편집 | 원본 편집]
단계 | 예시 |
---|---|
|
|
화학반응식으로 알 수 있는 것[편집 | 원본 편집]
- 어떤 물질들이 화학변화에 관여했는가.(반응물과 생성물의 종류)
- 반응에 관여한 분자의 비율.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화학반응식에서 왜 등호(=)를 쓰면 안될까?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숯의 주성분인 탄소가 연소하는 반응을 화학반응식으로 쓰면 어떻게 될까?
- N2+?H2=>2NH3 ?안에 들어갈 숫자는??(4반 조용욱의 문제)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화학반응식 관련 개념[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화학식을 왜쓰나요 | 나타내기 편하니까요~ |
화학식의 정확한 정의를 잘 모르겠습니다. | 여러 물질들을 나타낼 때 매번 그림으로 그릴 수 없으니, 간단하게 표현하는 도구에요! |
화학반응식은 널리쓰나요? | 네. 이공계로 진학한다면. |
화학반응식을 이용하면 모든 반응을 나타낼 수 있나요? | 네! |
화학반응으로 물질이 사라지기도 하는데 그런건 어떻게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내요? | 물질이 사라지진 않아요. 기체가 되어 날아가 없어지는 것처럼 보일 뿐! |
화학반응식의 계수가 분수가 나올 수 있나요? | 아뇨; 분수로 쓰지 않아요. |
등호를 쓰는경우는 없나요 | 네. 화학반응식은 화학반응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항상 방향성이 있어요. |
아직 모르는 화학식도 있나요 | 반응물과 생성물을 안다면 모든 것을 화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
화학 반응식은 계수가 안맞으면 틀린건가요?
계수가 안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
네. 계수가 맞지 않으면 논리적으로 오류가 있는 겁니다~ |
화학반응식에서 계수를 잘못 맞춰주면 아예 다른 물질이 되나요?
계수가 안맞으면 다른물질이 되나요 |
네, 물과 과산화수소같은 경우엔 산소 계수 하나가 다른 것만으로도 다른 물질이잖아요? |
화학 반응식은 대학교에서도 나오나요? | 네, 이공계라면. |
영어에서도 불규칙 동사가 있듯 화학반응식에서도 불규칙 같은 것이 있나요? | 과학법칙에선 이론이 완벽하게 만들어져 있다면 예외는 없어요; |
화학반응식과 관련한 호기심[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한 화학반응식은 무엇인가요? | 수소와 산소가 만나 물이 만들어지는 과정. |
불로 태우는것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나요? | 네. 해당 물질에 산소가 달라붙는다고 보면 됩니다. |
화학식에 생성물이 여러개일 수 있나요?
있다면 어떻게 여러개일 수 있나요? |
네. 호흡같은 경우, 포도당을 태워서 이산화탄소와 물을 만들죠. |
숯은 뭔가요? |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 탄소덩어리라고 보면 되요~ |
광합성을 하면 물질이 나오는데 광합성을 해서 나오는 것은 화학반응 인가요? | 네, 물과 이산화탄소를 결합해 영양분을 만드는 과정이니, 화학반응이죠. 나중에 화학반응식으로 배울거에요~ |
화학에서 촉매반응을 할때 어떤 촉매반응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수많은 것들이 있지요오~ 구글 검색하면 엄청나게 나와요~ |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화학식을 다 외우지 않아서 그러는데 화학식이 정말 중요한것인가요? | 네, 앞으로 과학 관련해서 계속 나와요. 지구과학에서도, 생물에서도. |
깊게 관련 없는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그냥 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아서 먹지 못한다면 물에 전기가 통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 소금을 타는 등 물 안에서 이온화하는 아이들을 넣어주면 되요. |
∞ ← 이거 만들수 있으세요? | 오, 어캐했냐. |
원소 기호를 쉽게 외울수 있는 방법이있나요? | 흠;; 쉽게...? 글쎄요; 이 책 추천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id8436/10184169453 |
해결하지 못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누가 화학반응식을 처음 사용했나요.
화학반응식은 누가 만들었나요. |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드림! |
헛소리[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군대갔다오셨나요 | . |
과학은 누가 만들었나요 | |
여친 있나요? | 너 남아. |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화학식과 화학반응식의 차이는 뭘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화학식을 이용해서 화학반응식을 만든다.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내는게 화학식이고 화학반응을 화학식으로 나타낸게 화학반응식이다. 화학반응식은 화학식을 이용해서 다양한 화학 반응식을 나타낸것이다. |
네, 화학식은 재료, 화학반응식은 레시피라 보면 되죠. |
계수차이
계수를맞추는것 |
계수 뿐 아니라, +기호와 -> 기호도 쓰이죠~ |
화학반응식에서 왜 등호(=)를 쓰면 안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같다는 뜻이라서
생성물과 반응물이 똑같아져서 |
네, 등호를 쓰면 반응물과 생성물이 같다는 뜻이 되기 때문에, 등호를 쓰지 않고 화살표를 씁니다.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면 방향성이 있으니까요! |
같은게 아닌 바뀐거라서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가 있으면 그건 물이 아니다 반응을 해야 물인데 이 반응을 한다는 의미를 담기위해 ➡️ 쓰기 때문에 = 을 사용하면 안된다 예시를 들어보면 산소와 수소가 같이 있어도 알아서 물로 변화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둘이 완전히 같은 경우가 아니기 때문이다. 반응물을 단순히 같은 곳에 놓는다고 생성물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
네, 반응한다는 것은 같다는 의미와는 다르죠. |
둘이 합쳐서 그게 될순 없어서 | 네, 단순히 왼쪽의 재료들을 같이 둔다고 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진 않습니다. |
숯의 주성분인 탄소가 연소하는 반응을 화학반응식으로 쓰면 어떻게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산소+이산화단소 | 화학식을 이용해 표현해야 해요~ 그리고 계수도 빠졌구요~ |
C+CO2 | 뭔가 이상한데요;;;? CO2는 반응 후에 나오는 물질 아닌가요;;? |
C+O2=CO2 | 등호를 쓰면 안되요오~ |
C+O2=>CO2
|
오 훌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