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기단과 전선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대류실험 |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일어나는 일.
|
수업요약
기단
온도,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내용 | 설명 | ||||||||||
---|---|---|---|---|---|---|---|---|---|---|---|
기단의 성질 |
| ||||||||||
대한민국 주변의 기단 |
|
전선
성질이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잘 섞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두 유체 사이의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이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 부른다.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날씨가 크게 변한다.
한랭전선과 온난전선
구분 | 한랭전선 | 온난전선 |
---|---|---|
생성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전선의 기울기 | 급하다.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내며 파고드는 형태로, 기울기가 급하다. |
완만하다.
찬 공기 위에서 천천히 밀어내는 형태로 기울기가 완만하다. |
구름의 종류 | 적운형
기울기가 급해 전선 뒤쪽에 적운형구름이 만들어진다. |
층운형
기울기가 완만해 전선 앞쪽에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비의 종류 | 소나기 | 이슬비 |
강수지역 | 좁다(전선 뒤쪽) | 넓다(전선 앞쪽) |
이동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전선 통과 후 변화 | 기온 하강, 기압 상승 | 기온 상승, 기압 하강 |
이미지 | 한랭전선. 전선은 파란색 삼각형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온난전선. 빨강색 반원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표현, 비유 | 한랭전선은 손날로, | 온난전선은 주먹으로 표현하면 좋다. |
폐색전선과 정체전선
구분 | 폐색전선 | 정체전선 |
---|---|---|
생성 | 속도가 빠른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을 따라잡아 겹치는 상태. |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세력이 비슷해 한 곳에 머물게 되는 상태. |
이미지 | ![]() |
![]() |
전개질문
- 없음.
도착질문
-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추운 바람은 어떤 기류를 타고오나요? | 겨울엔 시베리아기단이 큰 영향을 미치죠! |
황사가 먼지인가요? | 주로 모래요. | |
기단과 전선은 누가 발결했나요? | 기단은 발견했다고 할 수 있지만, 전선은 사람이 고안한 개념이죠. 기단과 전선의 역사에 대해 조사해 발표해주면 세특에 써줄게요~ | |
기단은 어떻해 만들어지나여? | 해당 지역에 머무른 공기가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성질이 변하면서요~! | |
호기심 | 우주의 온도는 몇인가요 | 약 -270℃요! 전에 복사에너지를 통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했었죠? 그 방법으로 측정한거에요! |
저위도가 뭔가요 | 게임에서 좌표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 |
기타 |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어떤 기단을 타고 오는 걸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시베리아기단 | 시베리아기단은 주로 겨울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단인데, 황사는 봄에 주로 오지 않나요?? |
기류를타고 | 그니까 어떤;;; |
히말라야기단 | 이건 또 뭔 참신한 답이지;;? |
양쯔강 기단 | 네... 이렇게 정상적인 대답을 듣기 힘들다니;;; |
양쯔강 기단 대륙에서 만들어졌고 온도가 높고 건조하기때문에 | 잘 썼는데.. ㅎㅎ |
바람 | 그니까 뭔 바람... 이 발암들아... |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고위도는 기온이 낮아서
북극처럼 추은지방과 온도가 대체로낮기때문에 고위도는 온도가 낮기때문에 고위도 지역이 차가워서 |
네네. 태양빛을 비스듬하게 받아서 기본적으로 기온이 낮죠~ |
높은곳에 있어서 | 위도가 크다는 게 높이를 말하는 건 아니에요~ |
위에있으면 차가우니까 | 그 위가... 높이 위를 말하는 건 아니지;;? |
대륙에서 만들어져서 | 양쯔강 기단은 대륙에서 만들어졌어도 따뜻하지 않나요~? |
공기가 압축되어 있어서 | 압축...이라기보다 공기가 뭉쳐 있는 게 온도가 낮기 때문인데;; 연관은 있지만,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 같네요;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된다. | 뭘 말하려는 건진 알겠는데, 말이 조금 이상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되는 이유가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서...?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가면, 공기가 따뜻해지잖아요;;;? 학생이 말한 건 차가운 기단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라고 봐야할 것 같아요.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한랭전선이 자나가면 기온이 낮아짐 | 한랭전선을 지나가면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가 차가운 기단 때문이죠.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고위도는 빛을 덜받아서
고위도라 열을 덜 받아서 러시아 등의 추운 기후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갑다.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고위도 지역은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
네, 가장 핵심적인 이유를 짚어준 것 같네요!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음,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음,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함,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함 | 간단하게 대답해줘도 되는데;; 너무 힘 준거 아님?? ㅎㅎㅎ 그리고.. 고위도에서 발생한 건 왜 차갑냐고 물어본건데.... 그 이유에 대한 건 없네요;; |
차가운공기는위로올라가서 | ???? 차가운 공기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서 아래로 가라앉아요! |
차가운기체는 고위도에있어서 | 차가운 기체라서 고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고위도에 있는 기체가 차가워져요;;; |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저위도는 기온이 높아서
기온이높아서 열이 많아서 배트남둥둥 저위도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서 저위도지역이 더워서 저위도 지역이 뜨거워서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저위도 지역은 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
네네. 그러하죠오오~ 따뜻한 곳에서 온 기단은 당연히 따뜻! |
해양에서 만들어져서 | 해양에서 만들어져도 차가운 기단도 있잖아요? 오호츠크해 기단이라든가.. |
공기가 압축되어 있지 않아서 | ??? 압축되지 않아서 뜨겁다;;? 뜨거워서 밀도가 낮아지는 거지.. 인과관계가 정확하진 않네요;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따뜻한 기단이 생성된다.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로 이동하여 영향을 미치는 건 결과고;; 왜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이 따뜻한가.. 문제에 대해 명확히 대답해주진 못했네요;;;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짐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지는 건... 따뜻한 기단의 영향에 들어와서인데,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닌 것 같아요~ |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아서 | 네,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는다기보단, 거의 직각으로 받아서 빛을 강하게 받죠. 그래서 기본적으로 저위도에서의 기온이 높아요. |
뜨거운공기는 저위도에 있어서 | 뜨거운 공기가 저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저위도에 있으면 뜨거워지는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