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기단과 전선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토리첼리의 기압실험 | 오래된 영상이긴 하지만, 토리첼리와 같은 실험을 수행한 최근의 영상이 없네요.
|
차가운 공기와 찬 공기가 있을 때 바람의 방향 |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는 모래 쪽으로 바람이 분다. |
수업요약
기압
공기가 단위넓이에 작용하는 힘. 기압 = 힘/면적
'기압'에 '기압이 가해지는 면적'을 곱하면 힘이 된다.
내용 | 설명 |
---|---|
기압의 발견 | 1600년대에도 펌프가 있었는데, 이 펌프는 깊이 11m 이상인 우물에선 물을 직접 퍼올리지 못했다. 토리첼리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탐구를 시작한다.
그는 유리관에 수은을 가득 채우고, 수은이 담긴 그릇에 유리관을 세워, 진공이 빨아들이는 힘이 얼마나 강한가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한다.
수은의 밀도는 약 13.6으로, 수은 76cm는 물로 따지면 약 1033.6cm이다. 탐구의 목적 달성! |
기압의 정의 | 날마다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수은기둥의 높이는 76cm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때문에 다음과 같이 기압을 정의하게 된다.
1기압 = 76cmHg 오늘날엔 파스칼의 원리를 제창한 파스칼을 기려 1기압 = 1013hPa(의 넓이에 100N의 힘이 작용할 때가 1hPa) 로 표현하기도 한다. |
바람
내용 | 설명 |
---|---|
발생원인 |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공기입자들이 힘을 받아 이동하는 것. |
풍향 | 바람이 부는 방향 |
풍속 | 바람의 세기. 단위는 m/s를 사용한다. |
저기압의 형성 | 지표면이 가열되면 공기가 뜨거워져 위로 뜬다. 일기예보에선 파란색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 온도는 더 높은 지역. |
고기압의 형성 | 지표면이 냉각되면 공기가 차가워져 아래로 가라앉는다. 일기예보에선 붉은색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 온도는 더 낮은 지역. |
해륙풍 | 낮에는 땅이 뜨거워져 해풍이 불고, 밤에는 땅이 차가워져 육풍이 분다. 이처럼 하루단위로 바뀌는 바람을 해륙풍이라 한다. |
계절풍 | 여름엔 대륙이 뜨거워져 바다로부터 바람이 오고, 겨울엔 대륙이 차가워져 육지로부터 바람이 온다. 1년 단위로 바뀌는 바람. |
전개질문
- 태양빛을 받아 빠르게 가열된 지역엔 어떤 기압이 형성될까? 그 이유와 함께 써보자.
도착질문
- 없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
호기심 | ||
기타 |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빨대로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이론상 최대높이는 얼마일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태양빛을 받아 빠르게 가열된 지역엔 어떤 기압이 형성될까? 그 이유와 함께 써보자.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없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