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반응 법칙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AgCl은 원소 몇대 몇, 분자 몇대 몇의 비율로 결합할까?
AgCl은 1:1로 결합한다. 그렇다면 은과 염소의 질량비는 어떻게 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뒤에 더 심화된 내용을 배울 때 연결되기 때문이다
고등물리,화학을 위해서 |
도입
https://www.dogdrip.net/313069787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반응물의 비율이 같지 않을 때 | |
수업요약
개념 | 설명 |
---|---|
일정성분비 법칙 | 1799년에 프루스트가 발표.(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원소 사이에는 일정한 질량비가 성립한다.)
질량보존법칙과 함께 물질이 원자로 되어있음을 받아들이는 근거가 되었다. |
일정성분비 법칙에서 한 쪽이 모자랄 때 일어나는 일
예시 | 설명 |
---|---|
불탈 때 | 탈 물질이 없으면 산소가 남고, 탈 물질이 있으나 산소가 없으면 타지 않는다. |
전개질문
- 왜 화학반응은 일정 성분비에 따라 반응할까?
도착질문
- 위 실험에서 질산납은 일정하게 넣어주었는데, 아이오딘화 칼륨은 왜 실린더마다 다르게 넣어주었을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일정성분비 법칙은 누가 알아냈나요? | 1799년에 프루스트가 발표했다고 합니다~ |
1:1로 결합하는 물질들중에 질량비가 같은 경우도 있나요? | 질량이 같다면 같은 원소라고 보면 됩니다~ | |
혼합물도 일정성분비 법칙에 해당되는가? | 아뇨, 혼합물은 그 농도를 상황에 따라 바꿀 수 있잖아요? 일정성분비 법칙은 그 비율이 정해져 있다는 걸 보여주는 거에요~ | |
실생활에 사용 되는 일정 성분비 법칙
이 실험의 내용이 일상생활 어디에 쓰이나요? |
모든 곳에서. 광합성, 광합성의 반대인 호흡에서도, 소화, 요리 등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화학반응에 적용되죠. | |
물분자는 수소:산소:물 =2:1:2로반응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모든물이 이렇게 반응하여 만들어졌다고하면 세상에있는 모든물분자의 개수는 짝수일까요?
(혹시 모든 물분자수가 짝수가 아니게할수있는 반응이 있나요?) |
오, 좋은 질문! 기본적으로 분자는 원자들이 합쳐져서 이루어지잖아요? 모든 산소가 O2 형태를 취하고 있는 건 아니에요. 이온형태로 있을 수도 있고, 오존O3 형태로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물분자가 짝수가 아니라고 할 수도 있어요! | |
비율이 맞게 물질을 계속 넣으면 앙금이 계속 만들어지나요? | 네! 당연하죠~ | |
호기심 | 수소분 10개면 얼마나요 |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적은 양이에요~ |
염산은 닿기만 하면 녹아내리는데 묽은 염산은 왜 녹지 않나요 | 물에 희석시킨거라서요~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프루스트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물분자 2개를 만들기 위해선 수소분자 2개가 필요하다. 물분자 10개를 만들기 위해선 수소분자 몇개가 필요할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수소분자10개 | |
1:1로 결합하는 물질들도 질량비가 다르다. 왜 그럴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물질마다 입자의 질량이달라서
원자의 종류마다 질량이다름 |
네, 원자들의 질량이 다 달라요~ |
왜 화학반응은 일정 성분비에 따라 반응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항상 일정한 개수비로 결합하고 원자는 각각 일정한 징량을 갖고 있어서 | 네, 답하기가 굉장히 애매했죠? 원자들이 일정한 개수비로 결합하기 때문이죠. |
2개의 수소랑 물이 결합하면 h2o가 되는데 산소가 많다고 2ho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 네, 한쪽이 많다고 다른 물질이 되어버리는 건 아니죠. |
위 실험에서 질산납은 일정하게 넣어주었는데, 아이오딘화 칼륨은 왜 실린더마다 다르게 넣어주었을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남는 정도를 보기위해서
아이오딘화 칼륨을 넣은것의 차이의 따라서 남는지 부족한지 보려고 반응하고 물질이 남는다는걸 보여주려고 |
네, 한 쪽이 많거나 적을 때 화학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함이에요~ |
변화을 볼려고요 | 한 쪽이 부족할 때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걸 보기 위함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