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보존법칙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과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나의 지식을 쌓기위해 배워야합니다.
상식이니깐. 배워야 할 것 같아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물질의 질량이 어떻게 되는지는 나중에도 쓰일 것 같아서요.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기체발생 | |
수업요약
개념 | 설명 |
---|---|
질량보존법칙 | 1789년 라부아지에가 '화학개론'이라는 책에서 언급.(주석을 가열할 때 질량이 커지지만, 밀폐된 용기에서 주석을 가열하면 질량이 커지지 않았다.)
앙금생성반응, 기체발생반응 모두에서 성립한다. ∵화학반응을 해도 입자가 사라지지 않으므로.(분자의 종류, 수가 변하지 않는다.) |
기체발생의 예시
예시 | 설명 |
---|---|
나무의 연소 | 연소 후에 가벼워진다.
(나무+산소)의 질량 = (재+이산화탄소+수증기)의 질량 광합성과 반대방향으로의 변화. |
강철솜 연소 | 연소 후에 무거워진다.
(강철솜+산소)의 질량 = 산화철의 질량 |
전개질문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착질문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구리 40g과 산소 10g이 결합하여 산화 구리가 만들어졌을 때 산화 구리의 질량은 몇g일까?(4반 박준수의 문제)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이번 단원을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분자식, 원소기호를 외우는 것은 필수겠죠? | 당근! | |
철처럼 연소하면 질량이 늘어나는거 무엇이 있을까요 | 금속계열은 거의 다 무거워진다고 보면 되요~ | |
모든걸 태우면 가볍나요? | ||
라부아지에가 누구죠 | 과학자 아저씨. | |
반응물과 생성물을 모두 고려하면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되나요? | 넹넹~ | |
호기심 | 왜 철덩어리는 안타나요 | 철덩어리보다 철솜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서 잘 타죠.
철덩어리도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타요! |
처음 문제에서 중력 때문에 빠져나가지 않는건아요 아니면 빠져나가나요? 보존 되는지 떠나가는지 알려주시고 왜 그런지도 알려주세요. | 우리는 공기 안에서 살고 있죠. 공기로 인한 압력을 견디면서. 이 압력은 공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거에요.
중력이 기체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주고 있습니다. | |
수증기와 산소가 합쳐지면 무엇인가요? | 굳이 합친다면... 과산화수소() | |
질량이.0인 물건이 있나요?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어요~ | |
헬륨은 물질인가요? | 네, 물질이죠~ 만질 수 있잖아요? | |
똥을 태우면 질량이 낮아지나요? | 네. 캠핑카 같은 경우에 똥을 태워서 처리하는 방식도 써요! | |
고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않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액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기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없고(정확히는 느낄 수 없고)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물질입니다. 아마 불처럼 보이지 않을까 싶네요~ | |
기타 | 지구의 오존층이 제거될 가능성이 있나요? | ㅇㅇ 오존층이 많이 사라져 문제가 많잖아요~? |
전여친이 제 마음을 태울 때 제 마음에 질량은 어떻게 변하나여 | 마음은 무거워지죠. 왜냐하면 근심과 걱정이 쌓이기 때문이죠. | |
질량이 0인 물건이 있나요? 혹시 선생님 여자친구?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습니다.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라부아지에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불을 사용해오고 최근엔 엄청난 량의 석유와 가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낮아진다, 줄어든다,(산소가 없어져서), | 헬륨이나 수소같은 경우에 지구를 빠져나가기도 해요. 하지만, 이외의 무거운 분자들은 지구에 빠져나가지 않고 머무른답니다~
우주 밖에서 들어오는 운석의 질량을 생각한다면 지구의 질량은 크게 변하지 않아요. |
안변한다 | |
오존층이 존재하는 한 보존된다 | 오존층이 무언가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진 못해요; 단지 오존이 발생하는 지점을 오존층이라고 부를 뿐! |
석유랑 가스를 사용해도 지구 내부에서 다른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것이므로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 훌륭훌륭~ |
그대로 일거 같다 대기권 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 들어왔다 할 수는 있어도, 지구 중력권 밖으로 나가진 못하죠~ ㅎ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원자의배열은달라지더라도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아서 | 오, 훌륭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뚜껑을 안닫아서, 공기중으로 산소와 결합해 날라간 분자 때문에, 공기 중으로 날라가서 | 네, 반응 후에 발생한 기체의 질량까지 고려하면 전체 질량은 변하지 않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