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운동에너지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축구공보다 볼링공으로 맞으면 아프다. 이는 물체의 질량차이 때문이다.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이거 정말 어려움.. 일단 개념만 익히고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선 나중에 배우자~
|
너희들은? | 배울 필요 없을듯 짜피 쓸대도 없고 => 교육은 교육받은 사람만이 그 가치를 알죠..ㅜ
이런한 내용을 통해 향후 사회에 나갔을 때 이러한 직업에 종사할 수도 있어서 기초를 만들기 위해 없다. 근데 중요할거 같아요.ㅠㅠㅠㅠ 여러모로 많이 연결되는 개념이고 특히나 어려워서 꼭 배워야 한다고 생각함 배워야한다고 선생님께서 말씀해주셨다. 매우 중요하다고 하셨기 때문애 배워야 한다 |
도입
학습
운동에너지 유도
영상
수업요약
개념 | 설명 | ||||||
---|---|---|---|---|---|---|---|
운동에너지 |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운동으로 저장된 것.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일을 받아 얻는다. 운동에너지는 으로 표현된다. | ||||||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 외부에서 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은 같다.
위치에너지가 줄어든 만큼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운동에너지가 줄어든 만큼 위치에너지가 증가한다. ex) 100m 높이의 1kg 물체가 가진 위치에너지는 이다. 이 물체가 바닥으로 미끄러 떨어지거나 낙하했을 때 바닥에서 갖는 속력은 으로부터 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바닥면에서의 속력 v는 약 44m/s 임을 알 수 있다. | ||||||
중력이 한 일 | 중력이 낙하하는 물체에 한 일은 mgh.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
자주 하는 실수 |
|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상황 | 설명 |
---|---|
위치 에너지만 있는 경우 | 일정한 높이에 있지만, 운동하지 않는 경우.
고여있는 댐, 번지점프대 위에 서 있는 사람, |
운동 에너지만 있는 경우 |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운동만 하는 경우.
공기의 운동(날개 돌리기, 배 밀기), |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둘다 가진 경우 | 일정한 높이에서 속력을 가진 경우.
중간즈음 내려온 롤러코스터, 날아가는 축구공, 날고 있는 비행기, |
운동에너지는 간단하면서도.. 활용을 잘 못하는 아이들이 많음. 수학과 같아서 문제에 대한 경험이 필요하다.
전개질문
도착질문
- 자동차가 40km/h의 속력으로 달리다가 급 브레이크를 잡았을 때 10m 미끄러져 나아갔다. 만약 80km/h의 속력으로 달렸다면 얼마나 미끄러질까?
- (어려움)100m 높이에서 자유낙하 한 물체가 약 44m/s의 속력을 갖고 있다. 이 물체가 100m 더 자유낙하 한다면 속력은 몇 m/s로 변할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공식좀 알려주세요
너무 어려운데 외우는 꿀팁좀요 |
운동에너지는 |
공식에서 m이 질량인가요 | 네! | |
운동에너지는 누가 만들었나요 | 이것도 굉장히 오랜시간동안 운동량, 힘 따위와 혼용되어 쓰이다가 정립된 개념이라..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나중에 물리시간에 운동에너지가 나오나요? | 네, 물리 뿐 아니라 화학, 지구과학 등 공학이나 운동학 관련된 부분에선 다 쓰여요. 그래서 어려운데도 이렇게 배우는 거에요.. 다른 걸 배우기 위해서. | |
운동 에너지만 있는 경우도 있나요? | 운동에너지만 있다고...하는 경우는 실제로는 없지만, 이론세계에선 다른 에너지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고, 운동에너지만 있다고 말할 수 있죠. | |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함께 있으면 위치가 바뀌면서 일을 하는 건가요? | 네. 운동에너지가 줄어들면서 위치에너지가 증가하거나, 위치에너지가 줄어들면서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거나 해요.
롤러코스터를 생각해보면 쉬워요. 위치가 낮아지면 속도가 빨라지잖아요? | |
도대체 왜 이렇게 어려운걸까요 |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기 때문이죠. 수학 어렵잖아요 아직은 ㅎㅎㅎㅎ 곧 쉬워질거에요~ | |
총알처럼 질량은 작지만 파괴력이 센 물건은 또 뭐가 있을까요 | 물 입자 커팅기. | |
질량과 거리는 비례하나요. | 어떤 상황인지 정확하게 알아야 할 것 같아요~ | |
시험에 많이 나오나요? | 지금은 많이 안나올지라도... 나중에 배울 땐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고 가정하고 가르쳐요. 오늘도 속력을 구할 때 수학에서 배우는 루트를 다시 가르쳐주진 않잖아요? | |
아무것도 이해되지 않으면 어떻게해야 되나요? | 다시 해야죠 저랑 ㅎㅎㅎㅎㅎ | |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많이 풀면 될 것 같긴 하지만) | 운동에너지가 굉장히 오랜 시간을 거쳐 정립되기도 했고, 품고 있는 의미가 많아서... 경험을 많이 해보는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ㅎㅎ | |
속력은 두배가 되는데 왜 운동에나지는 4배가 되나요? | 운동에너지의 유도에 대해선 위 영상에 올려두었어요! | |
호기심 | 우주에서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해 주면 끈임 없이 가속도가 증가하나요? | 아뇨. 빛의 속도까지요. |
총알이 더 빨라지려면 어떻게 해야하죱 | 더 강한 화약을 써야겠지요. 하지만, 그 폭발력을 견디는 물체의 내구성 한계 때문에 일정속도 이상 빠르게 하기가 어려울 텐데, 여기서 더 가속하려면 화약의 폭발을 1번이 아니라, 여러번 일어나게 해서 지속적으로 가속이 되게끔 하면 더 빠르게 할 수 있겠죠.
그래서 물체를 아주 빨리 날리고 싶을 땐 레일건을 쓰죠.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
답
총알은 질량도 작은데 어떻게 그렇게 강한 파괴력을 가질까?(운동량 보존 때문에 팔에 가해진 반동만큼 총알에 힘이 가해진다면 그리 큰 힘은 아닐텐데.)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질량이 작지만 많은 힘이 순간적으로 빠르게 가해져서 | 네, 완벽하진 않지만 의도한 부분을 조금은 파악했어요. 몸이 파괴되는 건 '일'과 관련이 있죠. 그리고 '일'과 연관된 건 에너지구요. |
가속도 즉 속력이 증가 했기 때문이다 | 가속도 = 속력 이라는 느낌이라 아쉬운 답이네요;; |
발사되는 힘이 강해서 | 그 힘은 팔에 가해지는 힘과 같은데, 왜 팔은 멀쩡한데 총알은 다른 사람의 몸을 뚫을 수 있는 걸까요? ㅎㅎㅎ |
총알이 회전해서
총알이 회전하며 일을해서? |
오, 회전해서! 괜찮은 발상이네! |
화약떄문에 | 화약이 몸 안에서 터지는 건 아니잖아요??? 화약은 총알을 날리는 일만 할 뿐, 그런데, 총알은 왜이렇게 강할까요;; |
운동에너지가 증가해서 | 네, 정답이긴 하지만, 무엇 때문에 운동에너지가 증가했는지 말해주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
마찰이 없는 100m 높이의 롤러코스터를 타고 바닥에 내려왔을 때의 속도는 얼마나 될까?(경로가 아무리 복잡해도 바닥에 내려왔을 때의 속도는 같다.)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980j | ???? 속도를 물어봤는데;;;? |
44m/s | 약, 44m/s라는 말로 해주었다면 좋았을 것 같아요; 딱 떨어지진 않잖아요?? |
(14 루트 5)m/s | 오오;;; ㅎㅎㅎㅎㅎ 이런 방식으로 써도 답은 맞아요! |
자동차가 40km/h의 속력으로 달리다가 급 브레이크를 잡았을 때 10m 미끄러져 나아갔다. 만약 80km/h의 속력으로 달렸다면 얼마나 미끄러질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20m | 네;; 이럴 줄 알았지요ㅎㅎㅎㅎ 속력이 2배가 되었으니, 미끄러지는 거리도 2배가 될 것이다... 속력이 2배가 되면 운동에너지는 4배가 되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거리는 4배가 되요! |
40m | |
(어려움)100m 높이에서 자유낙하 한 물체가 약 44m/s의 속력을 갖고 있다. 이 물체가 100m 더 자유낙하 한다면 속력은 몇 m/s로 변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44m/s | 자유낙하하면서 중력 때문에 더 가속될 텐데, 속력이 더 빨라지지 않을까요? |
88m/s | 2배 많이 떨어졌으니, 속력이 2배가 될 것이다? 좋은 발상이긴 한데, 1차원적이에요;; 아쉽아쉽;; |
약62m/s | 네. 단순히 처음부터 200m 떨어졌을 때의 속력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되요. 위와 동일하게 접근하면 됩니다.
200m 높이의 1kg 물체가 가진 위치에너지는 이다. 이 물체가 바닥으로 미끄러 떨어지거나 낙하했을 때 바닥에서 갖는 속력은 으로부터 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바닥면에서의 속력 v는 약 63m/s 임을 알 수 있다. 정도의 크기가 나오니,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해준다면 약 63m/s가 맞을 것 같아요. |
(28 루트 5)m/s | 엌ㅋㅋㅋ 이거 명답이야! 잘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