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물리:충돌과 추진: 두 판 사이의 차이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8번째 줄: 98번째 줄:
(입자2 기준)
(입자2 기준)
|입자 2가 멈춰있고, 입자 1이 다가오는 상황.
|입자 2가 멈춰있고, 입자 1이 다가오는 상황.
운동량 보존식 <math>m_1\overrightarrow{v_{1i}} = m_1\overrightarrow{v_{1f}}+m_2 \overrightarrow{v_{2f}} </math> 각 변을 내적.
운동량 보존식 <math>m_1\overrightarrow{v_{1i}} = m_1\overrightarrow{v_{1f}}+m_2 \overrightarrow{v_{2f}} </math> 각 변을 내적. <math>m_1^2 v_{1i}^2 = m_1^2 v_{1f}^2+ m_2^2 v_{2f}^2 +2m_1m_2 \overrightarrow{v_1f}\cdot\overrightarrow{v_2f} </math>


에너지 보존식 <math>\frac{1}{2} m_1v_{1i}^2 =\frac{1}{2} m_1v_{1f}^2 + \frac{1}{2}m_2 v_{2f}^2 </math> 과 연립하면...
에너지 보존식 <math>\frac{1}{2} m_1v_{1i}^2 =\frac{1}{2} m_1v_{1f}^2 + \frac{1}{2}m_2 v_{2f}^2 </math> 과 연립하면...
114번째 줄: 114번째 줄:


#<math>m_1v_{1i}+m_2 v_{2i} = m_1v_{1f}+m_2 v_{2f} </math> 인데, 질량중심계에서 바라본 총 운동량은 <math>\frac{m_1v_{1i}+m_2 v_{2i}}{m_1+m_2}  = \frac{m_1v_{1f}+m_2 v_{2f}}{m_1+m_2} =0 </math> 이다.
#<math>m_1v_{1i}+m_2 v_{2i} = m_1v_{1f}+m_2 v_{2f} </math> 인데, 질량중심계에서 바라본 총 운동량은 <math>\frac{m_1v_{1i}+m_2 v_{2i}}{m_1+m_2}  = \frac{m_1v_{1f}+m_2 v_{2f}}{m_1+m_2} =0 </math> 이다.
#<math>m_1, m_2 </math>가 항상 같진 않으므로, 이를 만족하려면 <math>v_{1i} = v_{1f} </math>, <math>v_{2i} = v_{2f} </math> 이어야 한다.
#위 식에서 <math>m_1, m_2 </math>가 항상 같진 않으므로, 이를 만족하려면 <math>v_{1i} = v_{1f} </math>, <math>v_{2i} = v_{2f} </math> 이어야 한다.
#<math>m_1v_{1i} \cos\theta_1  +m_2 v_{2i} \cos\theta_2 = 0 </math> 이고, <math>m_1v_{1i} \sin\theta_1  +m_2 v_{2i} \sin\theta_2 = 0 </math> 이므로 <math>\tan\theta_1 = \tan\theta_2 </math>가 된다. 즉, 하나의 산란각으로 나타낼 수 있다.
#<math>m_1v_{1i} \cos\theta_1  +m_2 v_{2i} \cos\theta_2 = 0 </math> 이고, <math>m_1v_{1i} \sin\theta_1  +m_2 v_{2i} \sin\theta_2 = 0 </math> 이므로 <math>\tan\theta_1 = \tan\theta_2 </math>가 된다. 즉, 하나의 산란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133번째 줄: 133번째 줄:
|}
|}


=== 추진 ===
===추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개념
!개념

2023년 3월 20일 (월) 03:43 기준 최신판

이 틀은 틀:현재 교육과정:고급물리에서 관리한다. 틀:15개정 고급물리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1. 지금까진 물체를 하나의 입자처럼 다루어 왔는데, 부피를 가진 실제 세계에서도 지금까지 배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까?
직업적

이유

  • 각종 이공계 학문의 기초.
  • 항공우주의 기초.
  • 원자간 충돌을 다루는 기초.
학문적

이유

  • 입자의 충돌을 설명하는 간편한 도구.
너희들은?
배워야 할 것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영상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반발계수[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기원 1687년 뉴턴이 제안. 물체마다 튕겨나가는 정도가 다름을 관찰하고 제안하였다 전해진다.


운동에서 두 보존량. 운동량과 운동에너지.

m1v1i+m2v2i=m1v1f+m2v2f12m1v1i2+12m2v2i2=12m1v1f2+12m2v2f2를 연립하여 정리한다.

m1v1im1v1f=m2v2fm2v2i, m1v1i2m1v1f2=m2v2f2m2v2i2 를 잘 건들면..

v1i+v1f=v2f+v2i 가 남는다. v1iv2i=v2fv1f 로, 처음 속도차와 나중 속도차의 비가 항상 1로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다듬기 그런데, 운동량의 보존은 작용-반작용 법칙으로 지켜지지만, 운동에너지는 사라지기도 한다.

충돌의 결과, 에너지의 손실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 식이 다음과 같이 바뀐다.

m1v1i+m2v2i=m1v1f+m2v2f12m1v1i2+12m2v2i2>12m1v1f2+12m2v2f2

같은 방법으로 v1iv2i>v2fv1f 가 되는데, 에너지 손실이 클수록 충돌이 잘 안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충돌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1>v2fv2iv1iv1f=e로 쓴다.

즉, 에너지가 보존될수록 1에 가깝고, 그렇지 않을수록 0에 가까워진다. 얼마나 충돌이 잘 일어났는가의 지표로 볼 수 있다.

충돌의 구분[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탄성충돌 충돌 전후 운동에너지가 보존되어 e=1 인 상황.
비탄성충돌 충돌 전후 운동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 0<e<1 인 상황.

12m1v1i2+12m2v2i2>12m1v1f2+12m2v2f2 인데, 손실에너지 Q를 사용하여 12m1v1i2+12m2v2i2=12m1v1f2+12m2v2f2+Q 라 쓰기도 한다.

Q가 양수이면 발열, 음수이면 흡열충돌이라 부른다. Q가 음수가 되면 e>1이 된다.

2차원에서의 충돌[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실험실 관측자 기준

(입자2 기준)

입자 2가 멈춰있고, 입자 1이 다가오는 상황.

운동량 보존식 m1v1i=m1v1f+m2v2f 각 변을 내적. m12v1i2=m12v1f2+m22v2f2+2m1m2v1fv2f

에너지 보존식 12m1v1i2=12m1v1f2+12m2v2f2 과 연립하면...

v1fv2f=12(1m2m1)v2f2 이 얻어진다. 재미있게도, 질량이 같으면 90도의 각을 이루며 멀어진다.

질량중심 관점에서의 충돌[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두 입자의 충돌 핵물리학에서 쓰이는 방식. 애석하게도... 선생님도 잘 쓰지 못해본 방식.
  1. m1v1i+m2v2i=m1v1f+m2v2f 인데, 질량중심계에서 바라본 총 운동량은 m1v1i+m2v2im1+m2=m1v1f+m2v2fm1+m2=0 이다.
  2. 위 식에서 m1,m2가 항상 같진 않으므로, 이를 만족하려면 v1i=v1f, v2i=v2f 이어야 한다.
  3. m1v1icosθ1+m2v2icosθ2=0 이고, m1v1isinθ1+m2v2isinθ2=0 이므로 tanθ1=tanθ2가 된다. 즉, 하나의 산란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내부 에너지 질량중심의 운동에너지는 충돌 전후로 바뀌지 않는 반면, 입자들의 전체 에너지는 충돌 전후로 변한다.

때문에 총 에너지는 질량중심의 운동에너지에 더해 여분의 에너지로 구성된다. 여분의 에너지를 Q라 하면 다음과 같다.

Q=12m1v1i2+12m2v2i212Mvcom2 이걸 풀어서 정리하면.. 계산이 드럽다.

Q=12m1m2m1+m2(v1iv2i)2 환산질량과 상대속도로 아래처럼 표현하곤 한다.

Ei=12Mvcom2+12μvrel2

손실되는 에너지는 반발계수를 이용해 Ef=12Mvcom2+12μe2vrel2

손실되는 에너지의 크기는 12μvrel2(1e2) 이다. 이게 양수이면 발열, 음수이면 흡열.

추진[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초기조건
초기값 시간이 만큼 흐른 후
로켓의 질량 m m+dm
로켓의 속도 v v+dv
배출된 가스의 질량 0 -dm (dm이 음수라서 '-'를 붙였다.)
배출된 가스의 속도 μ=vvrel v+dvvrel
추진력 F=Rvrel
속력과 질량 관계 vv0=vrel(lnMfMi)
중력이 있는 경우 vv0=vrel(lnMfMi)gvrelt
활용 다단로켓을 사용하는 이유 : 커다란 질량을 버릴 수 있다.

화학 로켓 : 일반적인 로켓.

이온 로켓 : 적은 질량으로 가속.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각각의 회전관성을 증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따로 검사는 안함. 설문엔 아무말이나 쓰세요.)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또 어떤 물체의 질량중심을 알아보면 좋을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질문 대답
개념
호기심
기타
헛소리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위치에너지의 위력. https://i.imgur.com/MvtTE8w.mp4

남자 다수가 모이면 하는 병신짓. https://www.dogdrip.net/435829635

[편집 | 원본 편집]

기차를 타고 가다 보면 주기적으로 덜컹거리는 소리가 난다. 선로를 죽 이으면 덜컹거리는 소리 없이 달릴 수 있을텐데, 왜 선로의 일부를 띄어두었을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온도가 높아지면 왜 물체의 부피가 커질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접선 성분과 지름 성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되, 지름성분의 작용은 무시하거나, 경사면에서 중력의 영향을 살피는 등 강제력에 의한 경로운동에서 유용한 접근방식.
열팽창(혹은 열수축)을 볼 수 있는 예시 1개. 무엇이 있을까?(위에서 소개된 것 제외)
답변 선생님코멘트

생기부 기록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선생님코멘트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