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별 색과 온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162번째 줄: | 162번째 줄: | ||
|- | |- | ||
| | | | ||
| | |전구 색갈이파란색이라면 그만큼 온도가 높나요 | ||
| | |LED라면 열을 거의 발생하지 않고 파란색 파장을 내지요. 만약, 일반 전구를 말하는 거라면... 온도가 너무 높아서 전선 자체가 녹을 것 같은데요;;? | ||
|- | |- | ||
| | | |
2021년 9월 23일 (목) 00:54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1900년 즈음해서 물리학은 끝이 났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리학의 새로운 시작을 연 색의 문제.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지구보다 더 넓은 세상에 한걸음 나아가는 인류의 진보..랄까?
상식이기 때문에이다 온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점은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우주를 공부한다는 건 세상을 공부한다는 것이기 때문 |
도입
학습
영상
실험 | 영상 |
---|---|
수업요약
별들의 온도에 따른 색
온도(K) | 색 | 예시 |
---|---|---|
3500K 이하 | 적색 | |
3500~5000 | 주황색 | |
5000~6000 | 황색 | 태양 |
6000~7500 | 황백색 | 북극성 |
7500~10000 | 백색 | 시리우스 |
10000~33000 | 청백색 | |
33000K 이상 | 청색 |
온도를 가진 물체들은 모두 빛을 내뿜습니다. 지구의 복사 평형에서 관련 영상을 보기도 했었죠!?
전개질문
- 가스레인지의 불꽃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불꽃과 다르게 파란색이다. 촛불의 불꽃과 가스레인지의 불꽃 중 어떤 게 온도가 높을까?
도착질문
- 빨주노초파남보. 온도에 따른 별의 색은 무지개의 색 순서와 비슷한데, 왜 초록색 부터는 황백색, 흰색이 되는 걸까?
- 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진 별의 색이 보라색이 아니라 청색일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만약에 눈에서 모든색을 다 똑같이 본다면 별의 색을 모두 볼 수 있나요? | 아니요. 여전히 초록색 이후 빛부턴 흰 빛을 보게 될 것 같네요. 섞여서 나오니까요. |
온도가 계속 높아지면 젤 높을 때는 무슨색이나올까요 분홍색도 나오긴힐까요? | 자외선색. 인간이 볼 수 없죠~ | |
백색의 불을 지구에서 볼 수 있나요
지구에서 하얀불을 만들수있나요 |
네, 불의 온도는 물체의 온도와는 또 달라서.. 볼 수는 있죠. 푸른 불꽃도 볼 수 있잖아요~? | |
햐얀색 불은 몇도인가요? | 약 1300~1500도라고 하네요~ | |
태양이 청색이면 지구에 온도도 높아지나요 | 네, 태양의 온도가 더 높다는 의미니까. | |
지구도 빛을 내나요? | 네, 온도가 낮아서 가시광선은 아니지만, 적외선을 내지요~ | |
그러면 지구안에서 온도가 만이 넘어가는 물체가 있나요? | 핵융합 할 때 온도를 엄청나게 높이죠. | |
가장 큰 항성은 붉은색이였던거같은데 그러면 크긴한데 온도는 낮은거인가요? 설명엔 태양보다 수십만배 밝다는데 왜 붉은색인간요 | 온도가 낮은거죠. 조명이 많으면 밝긴 하지만, 그렇다고 파장이 짧은 빛이라는 보장은 없잖아요? | |
물도 온도가 높으면 색이 변하나요 | 네, 당연합니다. 모든 물질이. | |
표면 온도가 매우 높은 별들은 어떻게 그 온도를 유지하는건가요? | 중력으로 인한 핵융합! | |
가스불은 약 30000도에 도달하지 않는데 왜 파란색인가요? | 물질 자체적으로 내는 빛과 불꽃이 내는 빛은 조금 달라요. 물질에 비해 전자가 잡혀 있는 힘이 적으니 더 많은 에너지를 뿜어낼 수 있죠. | |
온도에따라 밝기가 다른가요? | 밝기랑은 직접적인 관련은 없죠. | |
만약 태양이 청색이었다면 우리 지구는 망했겠죠? | 네, 애초에 지구에 물조차 없지 않았을까?? | |
해왕성은 행성이 청색인데 왜 뜨겁지 않고 차갑나요 | 그건 물체의 온도 때문에 나오는 색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갖고 있는 색이라서요~ | |
혜왕성이나 천왕성도 푸른색인데 그것들도 온도가 높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건가요 | 아뇨, 그건 그 물체 본연의 색이에요. | |
전구 색갈이파란색이라면 그만큼 온도가 높나요 | LED라면 열을 거의 발생하지 않고 파란색 파장을 내지요. 만약, 일반 전구를 말하는 거라면... 온도가 너무 높아서 전선 자체가 녹을 것 같은데요;;? | |
호기심 | 대장간 실내 온도 엄청 뜨거울까요?? | 덥지 않을까;;?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껌종이를 태우면 가끔 초록색이 나오는데 그러면 그만큼 뜨거운건가여??? | 그건 원소의 불꽃색이라 봐야 할 것 같은데요? | |
사람이 불꽃의 색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나요?? | 뭐, 굳이 온도에 의한 색이 아니더라도, 원소의 불꽃색으로 원하는 색을 내기도 하죠. 불꽃놀이에 쓰이잖아요?? | |
파란불꽃은 어디서 발견됬나요 | 그냥 깔끔하게 완전연소 시키면 파란불꽃이 되어요. 최초..는 잘 모르겠네요;; | |
자외선이나 적와선 카메라로 하늘을 찍으면 하늘은 무슨색 인가요? | 적외선엔 따로따로 이름붙은 게 없어요; 자외선도 마찬가지. 인간이 인식할 수 없는, 성질이 비슷한 빛을 굳이 구분하지 않은 거죠. | |
검정색 불운 옶나요 | 불은 + 개념인데, 검은색은 -개념이니,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모양을 흉내낼 순 있어도; | |
우리 눈에 있는 보라색은 그러면 어떻게 잘 보이는 걸까요 | 파란빛보다 더 진하게 표현하거나, 더 많은 빛이 들어오기 때문이죠.
프린팅 된 보라색은... 실제 보라색이라기보단, 붉은 색과 푸른 색의 조합으로 봐야 할 것 같아요. | |
눈으로 보라색을 잘 인식할 수 있다면 가장 높은 온도의 별이 보라색으로 보일까요? | 네, 그럴 것 같아요. | |
손전등 같은 빛이 나는 물체를 손가락 같은데에 대보면 반대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왜 그럴까요 | 말 그대로 빛이 투과되는 거 아닐까요? | |
왜 태양은 황색인데 왜 하늘은 파란색인가요 | 하늘의 공기, 먼지입자가 빛을 산란시키는데,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되요. | |
민트색불은 없나요¿ |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요? RGB를 잘 조합시키면. | |
그럼 자외선의 빛을 내는 천체는 우리가 볼 수 없을까요? | 네. 그 천체가 자외선만 낸다면. 근데, 여러 파장의 빛이 함께 나오기 때문에 그 천체가 내는 가시광선을 볼 순 있을거에요. | |
기타 |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사극 등에 등장하는 대장간에서 쇠를 망치질하는데, 이 때 쇠의 색은 어떤 색인가?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빨강색 | 정석이죠. |
빨강-주황색 | 철의 녹는점이 대강 1500도인데, 망치질하는 쇠 색이 주황색이 되긴 힘들 것 같은데;;? |
노란색에서 붉은색
빨간색,노란색 |
노란색;;;? |
빨간색과 하연색이 조화된 색
빨간색주황색흼색 |
흰 빛;;;?? |
별들의 색은 왜 다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별의 온도차이 때문에
온도가 달라서 온도차이 별들의 표면온도가 다르기때문 |
간결하고 정석! |
별은 표면온도에 따라 다른색으로 나타나서
별은 표면 온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
구체적으로 표면온도라 명시해주다니~ 멋져~ |
가스레인지의 불꽃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불꽃과 다르게 파란색이다. 촛불의 불꽃과 가스레인지의 불꽃 중 어떤 게 온도가 높을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가스레인지
가스레인지 불꽃색이 청색이여서 가스레인지 이유는 적색 보다 청색이 온도가 높다 |
그쵸, 온도를 가진 물질과는 조금 다르긴 한데, 불꽃도 온도가 높은 불꽃일수록 파장이 짧아져요.
완전연소로 인한 높은온도! 푸른 빛의 불꽃은 1400~1650℃ 라고 하네요. |
빨주노초파남보. 온도에 따른 별의 색은 무지개의 색 순서와 비슷한데, 왜 초록색 부터는 황백색, 흰색이 되는 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다른색들과 섞여서
황백색 부터는 RGB가 섞여 백색을 띄게 됨 색이 섞여 그렇게 보이는것이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색들이 많아지고 그럴수록 색들이 조화가 되서이다. |
네, 수업을 잘 들었네요 ㅎㅎㅎ |
6000k이상은 황백색이고 7500k이상은 흰색으로 변해서? | 그건 결과고, 왜 초록색이 아니라 흰색인지 이유를 물어보는 질문이었죠~ |
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진 별의 색이 보라색이 아니라 청색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사람의 눈이 보라색보다 파란색을 더 잘 인식해서
사람의 눈이 청색을 더 잘 봐서 우리가보는 시신경이 보라색보다 청색을더많이 인지해서 시신경이 보라색을 잘 보지 못해 청색으로 보인다 인간이 rgb를 잘 보고 보라색은 잘 못보기때문에 청색으로 보이는것이다? 눈이 색 중에 R,G,B를 잘 볼수있고 보라색은 잘 보지못해서 청색을 본다. |
네, 수업을 잘 들었네요 ㅎㅎㅎ |
평범한 물질을 태워서는 보라색의 빛을 낼 수 없어서? | 기계로 보면 높은 온도의 물질에선 보라빛 파장의 빛이 파란색보다 많이 나오죠. |
아까 선생님께서 설명하신게 뭔지 까먹었어요 | 네, 다른 친구들 답 보고 기억해내면 되죠~ |
보라색도 있긴 하지만 인간이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보라색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
볼 수 없는 건 아니고;;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처럼, 보라색보단 파란색을 더 잘 인지하기 때문이죠. |
보라색은 우주애서 안보여서 | 우주에서 안보인다니...? 무슨 의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