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연주시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 |- | ||
!너희들은? | !너희들은? | ||
| | |뭐 연주시차를 구해서 별까지 거리를 구하고 별을 보러 갈껀 아니니까 안배워도 크게 상관없는것 같다. ==>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다만, 지식을 익히는 연습이죠. 그런 가치가 있는 시간이죠 과학은. | ||
우리 눈은 멀리 있는지 가까이 있는지 거리를 어떻게 아는지 | |||
|} | |} | ||
==도입== | ==도입== | ||
52번째 줄: | 54번째 줄: | ||
|연주시차 | |연주시차 | ||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yMTA4MTFfMjU3%2FMDAxNjI4NjU4NDk5NTUz.wqIOnCXUwRLG0h6FWT0SNhaEW5VOP-BxRJ375R3nJU8g.ZGWnpS1vFYUzBDlrCubqRWoLK6lNJNPRgQ5rbAaY1Mkg.JPEG%2FItdINVPJboSFmig_DTcKpEE2ShNE.jpg | |||
|- | |- | ||
|각의 단위 | |각의 단위 | ||
78번째 줄: | 81번째 줄: | ||
|- | |- | ||
|개념 | |개념 | ||
| | |연주시차의 개념을 정의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
| | |처음엔 티코 브라헤가 시작했다고 하는데,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연주시차가 너무 작기 때문에 측정에 실패, 이로 인해 티코 브라헤는 태양 중심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요. 이후 망원경을 이용해 시차를 측정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 ||
|- | |- | ||
| | | | ||
| | |평행하게 입사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 ||
| | |빛이 서로 만나지 않고 들어온다는 의미라 해석하면 되겠어요. 평행하다는 것은 서로 접점이 없다는 의미잖아요? | ||
|- | |- | ||
| | | | ||
| | |동물도 다 똑같나요? | ||
| | |눈에 대해서 말하는거죠? 네, 얼추 비슷해요. 다만 초식동물들은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해 양 옆쪽으로 눈이 달린 경우가 많고, 육식동물들은 사냥물을 덮치기 위해 눈이 전방의 좁은 영역만 보게 되어있죠. | ||
|- | |- | ||
| | | | ||
| | |별 2개중 먼 것과 짧은 것은 알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
| | |시차를 알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알고 있으니,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사용하면 알 수 잇죠. | ||
|- | |- | ||
| | | | ||
| | |눈이 하나면 어떻게 될까요 | ||
| | |원근감이 사라지겠죠. 칼 손잡이를 잡으려다가 칼날을 잡게 될지도 몰라요;; | ||
|- | |- | ||
| | | | ||
| | |태양의 연주시차는 몇일까요? | ||
| | |90도요;;;? | ||
|- | |- | ||
| | | | ||
| | |연주시차를 통해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있었는데 다른 방법도 있나요. | ||
| | |네. 별의 적색편이나 변광성 등을 이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과거에 시차를 어떻게 측정했나요. | ||
| | |눈으로 보고요. 하늘에 모눈종이처럼 이런저런거 설치해 두고 관측한거죠. | ||
|- | |- | ||
| | | | ||
206번째 줄: | 209번째 줄: | ||
|- | |- | ||
|호기심 | |호기심 | ||
| | |왜 입은 한개인가요? | ||
| | |코를 대신 입으로 쓸 수 있어서....??!?!?? | ||
두 눈으로 보고 두 귀로 듣되, 한 입으로 말하라구. | |||
|- | |- | ||
| | | | ||
| | |귀는 왜 2개인가요? 여러개가 달려있으면 더 잘 들을 수 있지않을까요? | ||
| | |최소 2개여야 소리가 들려온 방향을 파악할 수 있죠. 더 만들 수도 있겠지만... 더 만들면 낭비되는 자원이 많아 이렇게 된 게 아닐까요? | ||
|- | |- | ||
| | | | ||
282번째 줄: | 286번째 줄: | ||
|- | |- | ||
|기타 | |기타 | ||
|인생은 무엇일까요 | |||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닐까.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답을 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을지도 몰라. | |||
|- | |||
| | | | ||
|물리 전공하면서 힘드셨던 점이있나요? | |||
| | | | ||
|- | |- | ||
290번째 줄: | 298번째 줄: | ||
|- | |- | ||
|헛소리 | |헛소리 | ||
| | |혹시 시차라는 랩 아시나요 ㅎㅎ | ||
| | |우원재?? | ||
|- | |- | ||
| | | | ||
330번째 줄: | 338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하나를 못쓰면 다른 하나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 ||
| | |좋은 답변이지만, 그렇게 치면 왜 중요한 뇌나 심장은 백업이 없을까요? | ||
|- | |- | ||
| | |입체감, 원근감 등 확보 | ||
| | |||
물체거리를 파악하기위해 | |||
더욱 입체적으로 물체를 보기 위해 | |||
입체성과 거리감각 | |||
거리를 잘 잴려고 | |||
|네, 양 눈의 시차를 이용해서 원근감을 확보합니다. | |||
|- | |- | ||
|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서? | ||
|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선 눈 사이의 거리가 좁아야 하죠~ | ||
|- | |- | ||
| | |사물을 정확히 보라는 신의 계시 | ||
| | |멋진 말이네 ㅎㅎㅎㅎ | ||
|- | |- | ||
| | |시야 확보를 위해서 | ||
| | |시야 확보는 눈 1개로도 되지 않아?? 2개여도 타조처럼 양쪽 끝에 달리는 게 시야 확보엔 더 좋죠~ | ||
|- | |- | ||
| | | | ||
356번째 줄: | 372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크다 | ||
| | |||
크지 않을까요. | |||
|네, 가까이 올수록 두 눈으로 봤을 때의 배경이 더 많이 달라지죠? | |||
|- | |- | ||
| | |작아짐 | ||
| |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 ||
|- | |- | ||
| | |멀리있을수록 시차가 큽니다 | ||
| | |멀리 있으면 양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의 차이가 크지 않아요. 즉 시차가 작죠! | ||
|- | |- | ||
| | |가까이 있을수록 시차가 작다 | ||
| | |가까이 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이 달라지지 않나요? 가까우면 시차가 커요~ | ||
|- | |- | ||
| | |가까울 수록 보는 방향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에 크기는 크다 | ||
| | |가까울수록 보는 눈에 따라 물체 뒤 배경의 위치가 많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391번째 줄: | 409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멀어질수록 커지니깐 목성에서 보는게 더 크겠죠 | ||
| | |오, 훌륭, 잘 이해하고 있네요. | ||
이처럼 시차가 크면 더 멀리 있는 별들의 거리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거에요. | |||
|- | |- | ||
| | |그 별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 ||
| | |||
별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 |||
|별의 거리와는 상관 없습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하면 우리 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시차가 커질지 작아질지 생각하면 돼요! | |||
|- | |- | ||
| | |별은 목성과 지구 사이에 거리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멀리 있어서 둘이 비슷할것 같다 | ||
| | |상대적인 답을 낼 수는 있죠. | ||
|- | |- | ||
| | |별이 지구에서 가까우면 지구에서 보는것이 크고 목성에서 보는것이 가까우면 목성에서 바라보는것이 클것이다. | ||
| | |||
지구에서 까지의거리가 목성에서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지구에서 볼때 더클것이고, 목성에서 까지의 거리가 지구에서 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목성에서 볼때더클것이다. | |||
|그것과 관련 없습니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하기때문에 지구에서든 목성에서든 기준이 되는 지점은 태양이기 때문이죠. | |||
|- | |- | ||
| | | |
2021년 9월 7일 (화) 07:00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어떤 별들은 지구로부터 몇 광년 떨어져 있다고 말한다. 별들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하는 걸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뭐 연주시차를 구해서 별까지 거리를 구하고 별을 보러 갈껀 아니니까 안배워도 크게 상관없는것 같다. ==>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다만, 지식을 익히는 연습이죠. 그런 가치가 있는 시간이죠 과학은.
우리 눈은 멀리 있는지 가까이 있는지 거리를 어떻게 아는지 |
도입
학습
영상
실험 | 영상 |
---|---|
수업요약
핵심개념
개념 | 설명 |
---|---|
시차 | 두 곳의 관측지점과 물체가 이루는 각을 시차라 부른다. 두 관측 지점을 A,C 물체를 B라고 한다면 각 ABC를 의미.
먼 곳의 물체를 보고 해당 물체를 손가락 하나로 가린 후 양 눈을 번갈아 뜨면 두 눈 사이의 시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연주시차 |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
각의 단위 | 1도를 60개로 나누면 1분, 1눈을 다시 60개로 나누면 1초가 된다. 즉, 각 1도는 3600초이다. 단위는 ''라고 쓴다. |
거리의 단위 | 우주의 단위는 너무 커서 m단위로 표현하기엔 너무 복잡하다. 때문에 이 시간에 pc(parallax of one second)을 도입한다.
pc는 말 그대로 연주시차가 1초일 때의 별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100pc 안쪽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1pc = 약 km 이다. |
전개질문
- 가까운 물체일수록 시차는 클까 작을까?
도착질문
- 같은 별을 볼 때 지구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목성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연주시차의 개념을 정의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처음엔 티코 브라헤가 시작했다고 하는데,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연주시차가 너무 작기 때문에 측정에 실패, 이로 인해 티코 브라헤는 태양 중심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요. 이후 망원경을 이용해 시차를 측정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
평행하게 입사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 빛이 서로 만나지 않고 들어온다는 의미라 해석하면 되겠어요. 평행하다는 것은 서로 접점이 없다는 의미잖아요? | |
동물도 다 똑같나요? | 눈에 대해서 말하는거죠? 네, 얼추 비슷해요. 다만 초식동물들은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해 양 옆쪽으로 눈이 달린 경우가 많고, 육식동물들은 사냥물을 덮치기 위해 눈이 전방의 좁은 영역만 보게 되어있죠. | |
별 2개중 먼 것과 짧은 것은 알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시차를 알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알고 있으니,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사용하면 알 수 잇죠. | |
눈이 하나면 어떻게 될까요 | 원근감이 사라지겠죠. 칼 손잡이를 잡으려다가 칼날을 잡게 될지도 몰라요;; | |
태양의 연주시차는 몇일까요? | 90도요;;;? | |
연주시차를 통해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있었는데 다른 방법도 있나요. | 네. 별의 적색편이나 변광성 등을 이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 |
과거에 시차를 어떻게 측정했나요. | 눈으로 보고요. 하늘에 모눈종이처럼 이런저런거 설치해 두고 관측한거죠. | |
호기심 | 왜 입은 한개인가요? | 코를 대신 입으로 쓸 수 있어서....??!?!??
두 눈으로 보고 두 귀로 듣되, 한 입으로 말하라구. |
귀는 왜 2개인가요? 여러개가 달려있으면 더 잘 들을 수 있지않을까요? | 최소 2개여야 소리가 들려온 방향을 파악할 수 있죠. 더 만들 수도 있겠지만... 더 만들면 낭비되는 자원이 많아 이렇게 된 게 아닐까요? | |
기타 | 인생은 무엇일까요 |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닐까.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답을 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을지도 몰라. |
물리 전공하면서 힘드셨던 점이있나요? | ||
헛소리 | 혹시 시차라는 랩 아시나요 ㅎㅎ | 우원재??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선 편광안경을 쓰거나 VR기기를 쓰고 2개의 화면을 켜서 구현한다. 한 개의 TV로 안경을 쓰지 않고 3D영상을 구현할 수 있을까?
두 눈이 빠르게 뜨고 감길 때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 주는 영상을 달리 켜주어 뇌에서 3D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눈의 프레임을 조금 낮춰도 영상을 인식하는 데엔 큰 문제가 없으니.
답
눈은 왜 2개일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하나를 못쓰면 다른 하나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 좋은 답변이지만, 그렇게 치면 왜 중요한 뇌나 심장은 백업이 없을까요? |
입체감, 원근감 등 확보
물체거리를 파악하기위해 더욱 입체적으로 물체를 보기 위해 입체성과 거리감각 거리를 잘 잴려고 |
네, 양 눈의 시차를 이용해서 원근감을 확보합니다.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서?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선 눈 사이의 거리가 좁아야 하죠~ |
사물을 정확히 보라는 신의 계시 | 멋진 말이네 ㅎㅎㅎㅎ |
시야 확보를 위해서 | 시야 확보는 눈 1개로도 되지 않아?? 2개여도 타조처럼 양쪽 끝에 달리는 게 시야 확보엔 더 좋죠~ |
가까운 물체일수록 시차는 클까 작을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크다
크지 않을까요. |
네, 가까이 올수록 두 눈으로 봤을 때의 배경이 더 많이 달라지죠? |
작아짐 |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
멀리있을수록 시차가 큽니다 | 멀리 있으면 양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의 차이가 크지 않아요. 즉 시차가 작죠! |
가까이 있을수록 시차가 작다 | 가까이 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이 달라지지 않나요? 가까우면 시차가 커요~ |
가까울 수록 보는 방향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에 크기는 크다 | 가까울수록 보는 눈에 따라 물체 뒤 배경의 위치가 많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같은 별을 볼 때 지구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목성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멀어질수록 커지니깐 목성에서 보는게 더 크겠죠 | 오, 훌륭, 잘 이해하고 있네요.
이처럼 시차가 크면 더 멀리 있는 별들의 거리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거에요. |
그 별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별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
별의 거리와는 상관 없습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하면 우리 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시차가 커질지 작아질지 생각하면 돼요! |
별은 목성과 지구 사이에 거리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멀리 있어서 둘이 비슷할것 같다 | 상대적인 답을 낼 수는 있죠. |
별이 지구에서 가까우면 지구에서 보는것이 크고 목성에서 보는것이 가까우면 목성에서 바라보는것이 클것이다.
지구에서 까지의거리가 목성에서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지구에서 볼때 더클것이고, 목성에서 까지의 거리가 지구에서 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목성에서 볼때더클것이다. |
그것과 관련 없습니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하기때문에 지구에서든 목성에서든 기준이 되는 지점은 태양이기 때문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