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멘델의 유전원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Sam님이 멘델의 유전원리 문서를 중학-멘델의 유전원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15개정 과학 중3}} | |||
==배우는 이유== | |||
{| class="wikitable" | |||
!흥미적 | |||
이유 | |||
|기본적으로 자식은 부모를 닮는다. 왜? 난 닮기 싫은 부분도 있는데!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직업적 | |||
이유 | |||
| | |||
*의학, 생명과학계열 진학을 꿈꾸는 이들에게. | |||
*인생상식. 모르면 무식. | |||
|- | |||
!학문적 | |||
이유 | |||
| | |||
*생명체의 조립정보는 어디에 저장되어 있을까? | |||
*생명체의 유전형질은 어떤 것을 통해 전달될까? | |||
|- | |||
!너희들은? | |||
| | |||
|} | |||
==도입==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KM5gTvAwYVM</youtube> | |||
==학습==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W6nxDoYoCXE</youtube> | |||
=== 멘델의 데이터로 유추해보기 === | |||
{| class="wikitable" | |||
!실험 | |||
!결과 | |||
|- | |||
|순종 초록 완두들끼리 교배 | |||
|초록색 완두콩만 나온다. | |||
|- | |||
|순종 황색 완두들끼리 교배 | |||
|황색 완두콩만 나온다. | |||
|- | |||
|순종 초록과 순종 황색을 교배(1세대) | |||
|황색과 초록색이 반반 섞인 형태가 아니라 황색 완두콩이 나온다. | |||
|- | |||
|위에서 교배한 완두콩끼리 교배(2세대) | |||
|초록색과 황색 완두콩이 1:3 비율로 나온다. | |||
|- | |||
|2세대 완두콩들 중 초록색끼리만 교배 | |||
|초록색 완두콩만 나온다. | |||
|- | |||
|2세대 완두콩 중 황색끼리만 교배 | |||
|초록색과 황색 완두콩이 함께 나온다. 비율은 그때그때 달랐다. | |||
|} | |||
===영상=== | |||
{| class="wikitable" | |||
!실험 | |||
!영상 | |||
|- | |||
| | |||
| | |||
|- | |||
| | |||
| | |||
|} | |||
==수업요약== | |||
=== 역사적 배경 === | |||
{| class="wikitable" | |||
!개념 | |||
!설명 | |||
|- | |||
|멘델 이전 | |||
|붉은 물감과 푸른 물감을 섞으면 보라색 물감이 나오는 것처럼 사람의 형질은 부모의 것이 섞여서 자손에게 중간값이 전해진다 생각하였다. | |||
|- | |||
|멘델 | |||
|수도사가 되고 난 후 수도원의 후원으로 수학, 물리, 화학을 공부했는데, 이곳에서 완두콩의 교배실험을 진행, 1865년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 |||
당시엔 크게 인정받지 못했지만, 1900년에 다른 과학자들이 동일한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인정받게 되었다. | |||
|} | |||
===핵심개념=== | |||
{| class="wikitable" | |||
!개념 | |||
!설명 | |||
|- | |||
|형질 | |||
|어떤 생물이 지닌 특성 | |||
|- | |||
|유전 | |||
|부모의 형질이 자녀에게 전달되는 현상 | |||
|- | |||
|순종 | |||
|한 가지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 구성이 같은 개체 | |||
|- | |||
|우성 | |||
|자손 1대에서 나타나는 형질. 무언가를 결정하는 상반되는 유전자 2개가 있을 때 우선적으로 나타나는 성질. 좋고 나쁨과는 관련 없다. | |||
|- | |||
|열성 | |||
|자손 2대부터 나타나는 형질. | |||
|} | |||
===전개질문=== | |||
#아이가 생기는 과정을 과학용어를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설명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도착질문=== | |||
#사람의 염색체는 46개다. 만약 정자나 난자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태어난 아이의 염색체 수가 46개가 아니라면 이는 사람이라 보아야 할까? | |||
# | |||
# | |||
# | |||
==학생들의 질문== | |||
===분류하지 않은 질문=== | |||
{| class="wikitable" | |||
!분류 | |||
!질문 | |||
!대답 | |||
|- | |||
|개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호기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헛소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더 나아가기= |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
#난할 중에 수정란이 갈라지면 일란성쌍둥이가 된다. 이란성쌍둥이는 난자가 2개 배출되었을 때. | |||
# | |||
# | |||
# | |||
{{접기 | |||
|제목=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 |||
|내용= | |||
|형태=mw-collapsed toccolours}} | |||
===수업 후, 흥미로운 것=== | |||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 |||
=답= | |||
{| class="wikitable" | |||
! colspan="2" | | |||
|- |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lspan="2" | | |||
|- |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lspan="2" | | |||
|- |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ferences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2021년 8월 25일 (수) 04:55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기본적으로 자식은 부모를 닮는다. 왜? 난 닮기 싫은 부분도 있는데!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멘델의 데이터로 유추해보기
실험 | 결과 |
---|---|
순종 초록 완두들끼리 교배 | 초록색 완두콩만 나온다. |
순종 황색 완두들끼리 교배 | 황색 완두콩만 나온다. |
순종 초록과 순종 황색을 교배(1세대) | 황색과 초록색이 반반 섞인 형태가 아니라 황색 완두콩이 나온다. |
위에서 교배한 완두콩끼리 교배(2세대) | 초록색과 황색 완두콩이 1:3 비율로 나온다. |
2세대 완두콩들 중 초록색끼리만 교배 | 초록색 완두콩만 나온다. |
2세대 완두콩 중 황색끼리만 교배 | 초록색과 황색 완두콩이 함께 나온다. 비율은 그때그때 달랐다. |
영상
실험 | 영상 |
---|---|
수업요약
역사적 배경
개념 | 설명 |
---|---|
멘델 이전 | 붉은 물감과 푸른 물감을 섞으면 보라색 물감이 나오는 것처럼 사람의 형질은 부모의 것이 섞여서 자손에게 중간값이 전해진다 생각하였다. |
멘델 | 수도사가 되고 난 후 수도원의 후원으로 수학, 물리, 화학을 공부했는데, 이곳에서 완두콩의 교배실험을 진행, 1865년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당시엔 크게 인정받지 못했지만, 1900년에 다른 과학자들이 동일한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인정받게 되었다. |
핵심개념
개념 | 설명 |
---|---|
형질 | 어떤 생물이 지닌 특성 |
유전 | 부모의 형질이 자녀에게 전달되는 현상 |
순종 | 한 가지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 구성이 같은 개체 |
우성 | 자손 1대에서 나타나는 형질. 무언가를 결정하는 상반되는 유전자 2개가 있을 때 우선적으로 나타나는 성질. 좋고 나쁨과는 관련 없다. |
열성 | 자손 2대부터 나타나는 형질. |
전개질문
- 아이가 생기는 과정을 과학용어를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설명해보자.
도착질문
- 사람의 염색체는 46개다. 만약 정자나 난자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태어난 아이의 염색체 수가 46개가 아니라면 이는 사람이라 보아야 할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
호기심 | ||
기타 |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난할 중에 수정란이 갈라지면 일란성쌍둥이가 된다. 이란성쌍둥이는 난자가 2개 배출되었을 때.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뉴턴 2020.01호 p.134 은행나무의 암수구별은 우리나라에서 국제특허를 낸 것; 오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