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세포분열: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 | |- | ||
|개념 | |개념 | ||
| | |물질교환을 안하고 사는 생물들이 있을까요? | ||
| | 만약 있다면 사람도 그렇게 살 수 있을까요? | ||
|물질 교환을 안하는 생물은 생명체라기보단 물건이라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 |||
|- | |- | ||
| | | | ||
| | |새포가 일정 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쥐와 코끼리의 세포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세포의 개수만 다르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 ||
| | |네, 그쵸. 세포의 갯수 차이죠! | ||
|- | |- | ||
| | | | ||
| | |세포는 다시 만들어지나요? | ||
| | |어떤 세포냐에 따라 달라요~ 일생에 한 번 망가지면 다시 안만들어지는 세포도 있죠. | ||
|- | |- | ||
| | | | ||
| | |세포의 크기는 다똑같나요? | ||
| | |다 달라요. 용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세포의 크기는 달라지기도 합니다. | ||
|- | |- | ||
| | | | ||
| | |세포 분열은 생명체가 죽을때까지 계속되는건가요? | ||
| | |네, 물질대사를 하며 세포를 계속 순환시키죠. | ||
|- | |- | ||
| | | | ||
| | |사람이 세포분열이 안되면 어떻게되나요 | ||
| | |세포가 죽기만 하고 새로 만들어지지 않아서 곧 죽을 거에요. | ||
|- | |- | ||
| | | | ||
| | |저희가 공룡만큼 커지면 살아가기 힘들까요? | ||
| | |관절염으로 고생할 것 같은데... 너무 무거워서; | ||
|- | |- | ||
| | | | ||
| | |작은 세포와 큰 세포가 공존하는 생물이 있나요? | ||
| | |몸 안에 있는 세포는 어떤 세포냐에 따라 작기도 하고 크기도 하죠! | ||
|- | |- | ||
| | | | ||
| | |세포분열이 없어지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면 어떻게 되나요 | ||
| | |몸이 커지겠죠~? 여러분이 지금 그런 상태잖아요 ㅎㅎ | ||
|- | |- | ||
| | | | ||
| | |세포 부피와 표면적 사이의 관계 실험에서 1cm일 때도 잘 흡수 되었는데, 왜 실제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나요? 1mm여도 괜찮지 않을까요? | ||
| | |효율적인 물질 교환을 위해선 1mm여도 너무 큰 게 아닐까요..? 우리가 본 실험에서도 일정 시간만큼 기다리잖아요? 근데, 세포들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물질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니까요. | ||
|- | |- | ||
| | | | ||
| | |식물도 세포분열을 하나요 | ||
| | |네, 당연하죠. 식물들도 성장하잖아요? | ||
|- | |- | ||
| | | | ||
216번째 줄: | 217번째 줄: | ||
|- | |- | ||
|호기심 | |호기심 | ||
| | |세포의 크기가 가장 큰 생물은 무엇인가요 | ||
| | |ㅎㅎ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
|- | |- | ||
| | | | ||
| | |세포가 분열하면 크기가 작아지는것으로 아는데 자꾸 분열하면 계속 작아지나요?? | ||
| | |네, 근데 보통은 분열하기 전에 자기 몸을 뿔리죠~ | ||
|- | |- | ||
| | | | ||
| | |하나의 세포는 몇번의 세포분열을 할수있나요 | ||
| | |종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요~ | ||
|- | |- | ||
| | | | ||
| | |세포는 왜 세포일까 | ||
| | |細(가늘 세)胞(여드름 포). 굉장히 가느다란 '포'라서 세포! | ||
|- | |- | ||
| | | | ||
292번째 줄: | 293번째 줄: | ||
|- | |- | ||
|기타 | |기타 | ||
| | |수학과 과학은 많은 관련이 있나요? | ||
| | |오늘 공부해봐서 알겠지만...무지요. | ||
|- | |- | ||
| | | | ||
328번째 줄: | 329번째 줄: | ||
=답= | =답=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colspan="2" | | ! colspan="2" |생명체가 하나의 커다란 세포가 아니라 작은 세포들로 이루어졌을 때 얻는 이점은 뭐가 있을까?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필요한 물질을 흡수한다 | ||
| | |필요한 물질은 세포가 커도 흡수는 가능한데요?? | ||
|- | |||
|세포들의 물질교환이 비교적 활발하다. | |||
물질교환에 더 효율적이다. | |||
물질교환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다. | |||
|네, 물질교환이 비교적 쉽죠. | |||
|- | |||
|세포가 클수록 물질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가 작은것이 좋다. | |||
|큰 상황과 비교해서 자세하게 써줬네요~ | |||
|- | |||
|표면적이 넒어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
|이유까지 잘 써주었네요~ | |||
|- | |||
|표면적의 비가 커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
|뭐에 대한 표면적의 비일까요? | |||
|- | |- | ||
| | ! colspan="2"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
|- | |- |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4배 | ||
| | | | ||
|- | |- | ||
| | |3배 증가한다 | ||
| | |하핫; | ||
|- | |- | ||
| | |24배 | ||
| | |전체 겉넓이를 생각했군요, 정육면체가 6면이니까.. 근데, 모든 면에서 4배 증가하면 전체 겉넓이는 4배죠 ㅎㅎ | ||
|- | |- | ||
| | | | ||
| | | | ||
|- | |- | ||
! colspan="2"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 ! colspan="2"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부피는 몇 배 증가하는가?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8배 | ||
| | | | ||
|- | |- | ||
| | |2배 | ||
|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 | |- | ||
| | |16배 | ||
|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 | |- | ||
| | | | ||
395번째 줄: | 411번째 줄: | ||
| | | | ||
|- | |- | ||
! colspan="2" | | ! colspan="2" |한 변 길이가 1cm, 2cm, 3cm인 정육면체의 '표면적/부피' 값을 차례대로 써 보자.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1:1:1 2:4:8 3:9:27 | ||
| | |||
1/1/1, 2/4/8, 3/9/27 | |||
|표면적을 부피로 나누지 않고, 전체 비율을 썼네요;; 근데 전체 비율도 틀렸어요 ㅜ | |||
|- | |||
|6/1 24/8 54/27 | |||
6cm²/1cm³ 24cm²/8cm³ 54cm²/27cm³ | |||
1cm일 때: 6cm²/1cm³, 2cm일 때: 24cm²/8cm³, 3cm일 때: 54cm²/27cm³ | |||
|오, 훌륭 | |||
{| class="wikitable" | |||
|- | |||
!변길이 | |||
!1cm | |||
!2cm | |||
!3cm | |||
|- | |||
|표면적 | |||
|6 | |||
|24 | |||
|54 | |||
|- | |||
|부피 | |||
|1 | |||
|8 | |||
|27 | |||
|- | |||
|표면적/부피 | |||
|6 | |||
|3 | |||
|2 | |||
|} | |||
|- | |||
|6/1 24/8 54/27 = 6,3,2 | |||
|간결하게 잘했네요. | |||
|- | |- | ||
| | |1cm 8cm 27cm | ||
| | |일단 답이 틀렸고, 단위를 쓰려면 표면적은 cm^2, 부피는 cm^3이기 때문에 단위는 1/cm가 되어야 해요. | ||
|- | |- | ||
| | | | ||
414번째 줄: | 463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물질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해서 | ||
| | |||
다 죽어서 | |||
모두 물질교환이 어려워 도태되었다. | |||
|도태라는 말이 적절하죠. | |||
|- | |- | ||
| | |세포가 분열하여 나누어 지는것이 물질교환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세포의 크기가 크면 물질교환에 불리해서 | ||
물질교환이 어려워 생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 |||
| | | | ||
|}<references /> | |}<references /> |
2021년 8월 24일 (화) 01:55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왜 생물들은 하나의 거대한 세포가 아니라 자잘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영상
실험 | 영상 |
---|---|
크기에 따른 물질전달 | |
수업요약
세포의 크기가 작은 이유
물질교환을 수월히 하기 위함.
전개질문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부피는 몇 배 증가하는가?
- 한 변 길이가 1cm, 2cm, 3cm인 정육면체의 '표면적/부피' 값을 차례대로 써 보자.
도착질문
- 어째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들은 지금 없는 것일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물질교환을 안하고 사는 생물들이 있을까요?
만약 있다면 사람도 그렇게 살 수 있을까요? |
물질 교환을 안하는 생물은 생명체라기보단 물건이라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
새포가 일정 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쥐와 코끼리의 세포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세포의 개수만 다르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 네, 그쵸. 세포의 갯수 차이죠! | |
세포는 다시 만들어지나요? | 어떤 세포냐에 따라 달라요~ 일생에 한 번 망가지면 다시 안만들어지는 세포도 있죠. | |
세포의 크기는 다똑같나요? | 다 달라요. 용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세포의 크기는 달라지기도 합니다. | |
세포 분열은 생명체가 죽을때까지 계속되는건가요? | 네, 물질대사를 하며 세포를 계속 순환시키죠. | |
사람이 세포분열이 안되면 어떻게되나요 | 세포가 죽기만 하고 새로 만들어지지 않아서 곧 죽을 거에요. | |
저희가 공룡만큼 커지면 살아가기 힘들까요? | 관절염으로 고생할 것 같은데... 너무 무거워서; | |
작은 세포와 큰 세포가 공존하는 생물이 있나요? | 몸 안에 있는 세포는 어떤 세포냐에 따라 작기도 하고 크기도 하죠! | |
세포분열이 없어지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면 어떻게 되나요 | 몸이 커지겠죠~? 여러분이 지금 그런 상태잖아요 ㅎㅎ | |
세포 부피와 표면적 사이의 관계 실험에서 1cm일 때도 잘 흡수 되었는데, 왜 실제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나요? 1mm여도 괜찮지 않을까요? | 효율적인 물질 교환을 위해선 1mm여도 너무 큰 게 아닐까요..? 우리가 본 실험에서도 일정 시간만큼 기다리잖아요? 근데, 세포들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물질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니까요. | |
식물도 세포분열을 하나요 | 네, 당연하죠. 식물들도 성장하잖아요? | |
호기심 | 세포의 크기가 가장 큰 생물은 무엇인가요 | ㅎㅎ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세포가 분열하면 크기가 작아지는것으로 아는데 자꾸 분열하면 계속 작아지나요?? | 네, 근데 보통은 분열하기 전에 자기 몸을 뿔리죠~ | |
하나의 세포는 몇번의 세포분열을 할수있나요 | 종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요~ | |
세포는 왜 세포일까 | 細(가늘 세)胞(여드름 포). 굉장히 가느다란 '포'라서 세포! | |
기타 | 수학과 과학은 많은 관련이 있나요? | 오늘 공부해봐서 알겠지만...무지요.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생명체가 하나의 커다란 세포가 아니라 작은 세포들로 이루어졌을 때 얻는 이점은 뭐가 있을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필요한 물질을 흡수한다 | 필요한 물질은 세포가 커도 흡수는 가능한데요?? | ||||||||||||||||
세포들의 물질교환이 비교적 활발하다.
물질교환에 더 효율적이다. 물질교환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다. |
네, 물질교환이 비교적 쉽죠. | ||||||||||||||||
세포가 클수록 물질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가 작은것이 좋다. | 큰 상황과 비교해서 자세하게 써줬네요~ | ||||||||||||||||
표면적이 넒어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이유까지 잘 써주었네요~ | ||||||||||||||||
표면적의 비가 커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뭐에 대한 표면적의 비일까요? |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4배 | |||||||||||||||||
3배 증가한다 | 하핫; | ||||||||||||||||
24배 | 전체 겉넓이를 생각했군요, 정육면체가 6면이니까.. 근데, 모든 면에서 4배 증가하면 전체 겉넓이는 4배죠 ㅎㅎ |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부피는 몇 배 증가하는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8배 | |||||||||||||||||
2배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16배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한 변 길이가 1cm, 2cm, 3cm인 정육면체의 '표면적/부피' 값을 차례대로 써 보자.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1:1:1 2:4:8 3:9:27
1/1/1, 2/4/8, 3/9/27 |
표면적을 부피로 나누지 않고, 전체 비율을 썼네요;; 근데 전체 비율도 틀렸어요 ㅜ | ||||||||||||||||
6/1 24/8 54/27
6cm²/1cm³ 24cm²/8cm³ 54cm²/27cm³ 1cm일 때: 6cm²/1cm³, 2cm일 때: 24cm²/8cm³, 3cm일 때: 54cm²/27cm³ |
오, 훌륭
| ||||||||||||||||
6/1 24/8 54/27 = 6,3,2 | 간결하게 잘했네요. | ||||||||||||||||
1cm 8cm 27cm | 일단 답이 틀렸고, 단위를 쓰려면 표면적은 cm^2, 부피는 cm^3이기 때문에 단위는 1/cm가 되어야 해요. | ||||||||||||||||
어째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들은 지금 없는 것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물질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해서
다 죽어서 모두 물질교환이 어려워 도태되었다. |
도태라는 말이 적절하죠. | ||||||||||||||||
세포가 분열하여 나누어 지는것이 물질교환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세포의 크기가 크면 물질교환에 불리해서
물질교환이 어려워 생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