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위치에너지: 두 판 사이의 차이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r /> {{15개정 중3 과학}} ==배우는 이유== {| class="wikitable" !흥미적 이유 |복습) 물체에 힘이 가해지면 어떻게 될까? 복습) 지렛대에서. 어떤...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흥미적
!흥미적
이유
이유
|복습) 물체에 힘이 가해지면 어떻게 될까?
|
복습) 지렛대에서. 어떤 물체를 들 때 지렛대가 길면 더 편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일'이라는 단어를 평소에 어떻게 사용할까? 과학에서는 어떤 행동을 '일'이라고 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http://sgsg.hankyung.com/pdsdata/sgsg.hankyung.com/images/photo/201410/AA.9167431.1.jpg


지레를 이용해 힘을 가할 가하는 힘과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
#복습) 무게가 10N인 물체를 1m 들어올렸다. 이 한 일은 얼마일까?
 
#물체에 일을 해주면 결과적으로 물체의 속력이 변해야 한다. 그런데, 중력과 반대되게 일을 해주면 일을 해주었음에도 물체의 운동상태가 변하지는 않는다. 내가 한 일은 어디로 갔을까?
#지레의 받침점으로부터 1m의 거리에 10N의 무게를 가진 물체가 있다. 내가 받침점으로부터 반대쪽으로 2m의 거리에 있다고 할 때 이 물체를 들기 위해선 얼마만큼의 힘이 필요할까?
#위 문제에서 들어올린 물체를 떨어뜨린다고 생각해 보자. 물체의 속력은 떨어지면서 어떻게 변하는가?
#앞 문제에서의 10N무게의 물체를 1m 들어올리기 위해선 나는 얼마만큼 움직여야 할까?
#10J만큼의 일을 해줘서 위로 들어올린 물체를 떨어뜨려 지면에서 받는다고 할 이 물체를 멈추기 위해 필요한 일은 대강 어느정도일까?
 
지렛대 뿐 아니라 도르레 등에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일관적으로 적용되는 법칙이 있다. 그것은 <code>힘*이동거리</code>
 
#


#
#
31번째 줄: 22번째 줄:
|
|
*모든 역학, 공학의 기초.
*모든 역학, 공학의 기초.
*각종 무예, 무술의 기반.(깊게 넣는 펀치, 발차기)
*각종 무예, 무술의 기반.(유도)
|-
|-
!학문적
!학문적
이유
이유
|
|이거 정말 어려움.. 제대로 이해하려면 미분,적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일단 개념만 익히고 넘어가자~
*에너지를 이해하는 기초.
 
*퍼텐셜 에너지를 이해하는 기초.
*계산을 엄청나게 단순하게 만들어준다.
|-
|-
!너희들은?
!너희들은?
43번째 줄: 36번째 줄:
==도입==
==도입==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kPWLz4RecEA&list=PLrO0PT7p2UEaSEKXryvwvlVIl2Xt1KWb8</youtube> 복습===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Cz3-5Z2hxU0</youtube> ===
{| class="wikitable"
!내용
!영상
|-
|지레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pYl5bPtlKp0</youtube>
|-
|경사면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WCKsZ5WZCdU&t=100s</youtube>
|}
==학습==
==학습==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UTNVV4BxpMI</youtube><br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bK8EUpb4wro</youtube><br />
===실험영상===
===영상===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
|-
|-
|
|위치에너지 다루기 요약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Th8Q5qbuXe4</youtube>
|-
|-
|
|위치에너지 측정실험
|
|<youtube>https://youtu.be/AvOPhpSPoLI?t=56</youtube>
|}
|}


75번째 줄: 58번째 줄:
!설명
!설명
|-
|-
|
|에너지
|힘*이동거리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단위는 J=N*m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일을 받아 얻는다.
|-
|-
|일을 하지 않는 경우
|일과 에너지
|일과 에너지는 서로에게 전달된다. 즉, 일을 통해 종류가 다른 에너지라 할지라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ex) 댐에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
|-
|위치에너지
|중력에 한 일 만큼 위치에너지로 저장된다.
위치에너지 = 중력의크기 * 올라간높이 = 9.8m * h
 
기준이 되는 h는 상황에 따라 정한다.(상황에 따라 위치에너지가 음수가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변화량!)
|-
|자주 하는 실수
|
|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 class="wikitable"
#:- 외력이 없는 등속운동.
!실수
#이동하지 않는 경우.
!설명
#:- 물체를 들고 가만히 있을 때.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이동거리=0과 같다.)
#:- 중력이 등속운동하는 물체에 일을 하지 않는다.
#:- 원운동.
#:=> 속력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힘.
|-
|-
|물체에 일을 한 결과
|에너지는 힘과 같다?
|물체는 속력을 얻게 된다. 이 물체를 멈추기 위해선 같은 양의 일을 해야만 한다.
|힘과 다른 개념입니다.
|-
|
|
|}
|}<br />
|}<br />
===전개질문===
===전개질문===
247번째 줄: 239번째 줄: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활과 화살의 과학(탄성위치에너지)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h5EWCyKIfDs&t=1s</youtube>
{{접기
|제목=[넌센스] 마녀가 하늘 높이 올라가면???
|내용=위치에너지가 커진다.
|형태=mw-collapsed toccolours}}위치에너지의 위력
https://i.imgur.com/MvtTE8w.mp4
쥐덫의 과학(탄성위치에너지)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6H0lOJBl7Sw&list=PL2SYHHQUUJYwEye2hyrxU60MdfTFXmcdu&index=29</youtube>
=답=
=답=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021년 3월 18일 (목) 01:49 판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1. 복습) 무게가 10N인 물체를 1m 들어올렸다. 이 때 한 일은 얼마일까?
  2. 물체에 일을 해주면 결과적으로 물체의 속력이 변해야 한다. 그런데, 중력과 반대되게 일을 해주면 일을 해주었음에도 물체의 운동상태가 변하지는 않는다. 내가 한 일은 어디로 갔을까?
  3. 위 문제에서 들어올린 물체를 떨어뜨린다고 생각해 보자. 물체의 속력은 떨어지면서 어떻게 변하는가?
  4. 10J만큼의 일을 해줘서 위로 들어올린 물체를 떨어뜨려 지면에서 받는다고 할 때 이 물체를 멈추기 위해 필요한 일은 대강 어느정도일까?
직업적

이유

  • 모든 역학, 공학의 기초.
  • 각종 무예, 무술의 기반.(유도)
학문적

이유

이거 정말 어려움.. 제대로 이해하려면 미분,적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일단 개념만 익히고 넘어가자~
  • 퍼텐셜 에너지를 이해하는 기초.
  • 계산을 엄청나게 단순하게 만들어준다.
너희들은?

도입

학습


영상

위치에너지 다루기 요약
위치에너지 측정실험


수업요약

개념 설명
에너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일을 받아 얻는다.

일과 에너지 일과 에너지는 서로에게 전달된다. 즉, 일을 통해 종류가 다른 에너지라 할지라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ex) 댐에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

위치에너지 중력에 한 일 만큼 위치에너지로 저장된다.

위치에너지 = 중력의크기 * 올라간높이 = 9.8m * h

기준이 되는 h는 상황에 따라 정한다.(상황에 따라 위치에너지가 음수가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변화량!)

자주 하는 실수
실수 설명
에너지는 힘과 같다? 힘과 다른 개념입니다.


전개질문

  1. 10N의 힘으로 물체를 10m만큼 밀었다. 이때 일의 양은 얼마인가?

도착질문

  1. 빗방울의 무게는 1N이라고 하자. 이 빗방울이 1km 상공에서 공기저항없이 떨어진다면 땅에 도착했을 때까지 빗방울이 받은 일은 얼마나 될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질문 대답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1. 일의 단위가 되는 줄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활과 화살의 과학(탄성위치에너지)


[넌센스] 마녀가 하늘 높이 올라가면???

위치에너지의 위력

https://i.imgur.com/MvtTE8w.mp4

쥐덫의 과학(탄성위치에너지)

지레의 받침점으로부터 1m의 거리에 10N의 무게를 가진 물체가 있다. 내가 받침점으로부터 반대쪽으로 2m의 거리에 있다고 할 때 이 물체를 들기 위해선 얼마만큼의 힘이 필요할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앞 문제에서의 10N무게의 물체를 1m 들어올리기 위해선 나는 얼마만큼 움직여야 할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10N의 힘으로 물체를 10m만큼 밀었다. 이때 일의 양은 얼마인가?
답변 선생님코멘트
빗방울의 무게는 1N이라고 하자. 이 빗방울이 1km 상공에서 공기저항없이 떨어진다면 땅에 도착했을 때까지 빗방울이 받은 일은 얼마나 될까?
답변 선생님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