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보존법칙: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r /> {{15개정 중3 과학}} ==배우는 이유== {| class="wikitable" !흥미적 이유 |AgCl 같은 경우엔 분자들이 1:1로 결합한다. 그런데, 물, 이산화탄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흥미적 | !흥미적 | ||
이유 | 이유 | ||
|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 ||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 |||
(다음단원에 넣지) AgCl은 1:1로 결합한다. 그렇다면 은과 염소의 질량비는 어떻게 될까? | |||
<br />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 |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불을 사용해오고 최근엔 엄청난 량의 석유와 가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 ||
# | # | ||
20번째 줄: | 24번째 줄: | ||
이유 | 이유 | ||
| | | | ||
* | *화학반응이 일어나도 전체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각종 연구에서의 상식. | ||
*(다음단원에 넣자.)화학반응을 하는 어떤 물질들을 준비할 때 남거나 모자란 재료가 없어야 한다. 이렇게 버리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본전략. | |||
*(ex 라면을 만들건데.. 스프만 너무 많이 남거나, 면이 유독 모자라거나 하면...곤란하잖아; 화학약품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한이 있는데;;) | |||
|- | |- | ||
!학문적 | !학문적 | ||
이유 | 이유 |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 ||
수많은 화학적 계산에 대한 기초. | |||
|- | |- | ||
!너희들은? | !너희들은? | ||
52번째 줄: | 59번째 줄: | ||
!설명 | !설명 | ||
|- | |- | ||
| | |질량보존법칙 | ||
| | |1789년 라부아지에가 발견.(주석을 가열할 때 질량이 커지지만, 밀폐된 용기에서 주석을 가열하면 질량이 커지지 않았다.) | ||
앙금생성반응, 기체발생반응 모두에서 성립한다. | |||
∵화학반응을 해도 입자가 사라지지 않으므로.(분자의 종류, 수가 변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체발생의 예시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예시 | !예시 | ||
!설명 | |||
|- | |- | ||
| | |나무의 연소 | ||
|연소 후에 가벼워진다. | |||
(나무+산소)의 질량 = (재+이산화탄소+수증기)의 질량 | |||
| | |||
광합성과 반대방향으로의 변화. | |||
|- | |||
|강철솜 연소 | |||
|연소 후에 무거워진다. | |||
(강철솜+산소)의 질량 = 산화철의 질량 | |||
<br /> | |}<br /> | ||
===전개질문=== | ===전개질문=== | ||
#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 | # | ||
95번째 줄: | 98번째 줄: | ||
===도착질문=== | ===도착질문=== | ||
#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
# | # | ||
224번째 줄: | 227번째 줄: | ||
=더 나아가기= | =더 나아가기= |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
# 라부아지에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 |||
# | # |
2021년 3월 15일 (월) 05:20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다음단원에 넣지) AgCl은 1:1로 결합한다. 그렇다면 은과 염소의 질량비는 어떻게 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수많은 화학적 계산에 대한 기초.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수업요약
개념 | 설명 |
---|---|
질량보존법칙 | 1789년 라부아지에가 발견.(주석을 가열할 때 질량이 커지지만, 밀폐된 용기에서 주석을 가열하면 질량이 커지지 않았다.)
앙금생성반응, 기체발생반응 모두에서 성립한다. ∵화학반응을 해도 입자가 사라지지 않으므로.(분자의 종류, 수가 변하지 않는다.) |
기체발생의 예시
예시 | 설명 |
---|---|
나무의 연소 | 연소 후에 가벼워진다.
(나무+산소)의 질량 = (재+이산화탄소+수증기)의 질량 광합성과 반대방향으로의 변화. |
강철솜 연소 | 연소 후에 무거워진다.
(강철솜+산소)의 질량 = 산화철의 질량 |
전개질문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착질문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라부아지에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화학식과 화학반응식의 차이는 뭘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화학반응식에서 왜 등호(=)를 쓰면 안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숯의 주성분인 탄소가 연소하는 반응을 화학반응식으로 쓰면 어떻게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