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을 기록하는 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123번째 줄: | 123번째 줄: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만약 시간/이동거리로 했다면 속력 단위도 바뀌었을 것이다그래서 이동거리/시간으로 했다 | |||
시간x속력=이동거리 에서 양변을 시간으로 나누면 속력=이동거리/시간이 된다. | |||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있다. | |||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것 같아요~ | |||
그쵸 속력의 단위가 바뀌었겠죠. 그런데 왜 '이동거리/시간'으로 정의했는가에 대답은 아닌 것 같네요~ | |||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왜 '시간/이동거리'로 하지 않았을까요? | |||
|- | |- | ||
| | | | ||
| | | | ||
|- | |- | ||
| | |물체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므로 물체가 이동한 거리로 속력을 비교하기 때문에. | ||
| | |마라톤이나, 100m 경주 같은 경우엔, 이동거리가 일정하고,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요.(그래서 이런 경주의 경우엔 '시간/이동거리'를 사용합니다.) | ||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거리가 아닌, 시간단위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접근이에요! | |||
|- | |||
|이동거리/시간이 보기에 더편해서 | |||
|네. 가장 적절한 대답이죠.(허무하죠? ㅎㅎ) | |||
'시간/이동거리'라면 빨라질수록 값이 더 작아지지만, '이동거리/시간'으로 정의하면 빨라질수록 값이 더 커져서 사람의 직관에 맞죠. | |||
그리고, '시간/이동거리'의 경우, 속력이 2배 커져도 보여지는 효과가 미미해요. 이미 큰 속력들 사이에선 그 차이가 별로 보이지 않아요. | |||
|- | |- | ||
! colspan="2" |운동을 기록하는 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colspan="2" |운동을 기록하는 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134번째 줄: | 152번째 줄: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스톱워치, 시간재기 | |||
|스톱워치로 운동을 기록하면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해서 속력을 알 수 있어요. | |||
하지만, 측정구간이 너무 길어서 그 순간의 속력은 알기가 어렵죠.(구간 내에서 빨라지기도, 느려지기도 하잖아요?) | |||
|- | |||
|움직이는 물체를 연속으로 사진 촬영을 한다 | |||
|네, 이걸 어려운 말로 다중섬광사진을 찍는다고 하죠~ | |||
|- | |- | ||
| | | | ||
148번째 줄: | 173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간격이 작아야 빠르다. | ||
|10초에 한 번 물체의 위치를 기록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 |||
어떤 물체는 10초마다 사진을 찍을 때 20m 이동하고, 다른 물체는 40m 이동한다고 생각해 봐요. | |||
동시에 두 물체의 사진을 찍는다면, 빠른 물체가 더 멀리 찍혀있겠죠?? | |||
즉, 일정시간간격으로 촬영할 때 사이의 간격이 멀어야 더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 | |||
|간격이 커야 빠르다. | |||
| | | | ||
|- | |- |
2021년 3월 8일 (월) 00:50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물체의 빠르기는 어떻게 정량화 할 수 있을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네비게이션에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연관. 일정 시간간격으로 운전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위치변화를 시간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우주공학에서 우주선의 경로를 예상하기 위해선 현재의 빠르기를 알아야 한다. 야구선수의 구속 등 스포츠에서 다방면으로 활용. |
학문적
이유 |
모든 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측정, 기록이다.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시간기록계로 실험하기 | |
수업요약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소리 | 원인 |
---|---|
시간기록계 이용 | 종이테이프의 분석(타점 간격과 속력 변화) |
다중섬광사진촬영 분석 | 운동하는 물체를 한장의 필름에 연속적으로 찍어 운동 상태를 측정. |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전개질문
- 운동을 기록하는 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착질문 다중 섬광사진 시간기록계
-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촬영한 물체 사이의 간격이 커야 속력이 빠르다고 할까, 작아야 속력이 빠르다고 할까? 간격이 멀수록 속력이 빠르다 간격이 적을수록 속력이 느리다
- 속력이 빠를수록 시간기록계의 테이프에 찍힌 점 간격은 어떻게 될까?
짧다.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시간기록계 시뮬레이션
시간기록계 시뮬레이션 | https://javalab.org/ticker_timer/ |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답
어째서 속력은 시간/이동거리 가 아니라 이동거리/시간 으로 정의했을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만약 시간/이동거리로 했다면 속력 단위도 바뀌었을 것이다그래서 이동거리/시간으로 했다
시간x속력=이동거리 에서 양변을 시간으로 나누면 속력=이동거리/시간이 된다.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있다. |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것 같아요~
그쵸 속력의 단위가 바뀌었겠죠. 그런데 왜 '이동거리/시간'으로 정의했는가에 대답은 아닌 것 같네요~ 빠르기에 대한 정보를 왜 '시간/이동거리'로 하지 않았을까요? |
물체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므로 물체가 이동한 거리로 속력을 비교하기 때문에. | 마라톤이나, 100m 경주 같은 경우엔, 이동거리가 일정하고,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요.(그래서 이런 경주의 경우엔 '시간/이동거리'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거리가 아닌, 시간단위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접근이에요! |
이동거리/시간이 보기에 더편해서 | 네. 가장 적절한 대답이죠.(허무하죠? ㅎㅎ)
'시간/이동거리'라면 빨라질수록 값이 더 작아지지만, '이동거리/시간'으로 정의하면 빨라질수록 값이 더 커져서 사람의 직관에 맞죠. 그리고, '시간/이동거리'의 경우, 속력이 2배 커져도 보여지는 효과가 미미해요. 이미 큰 속력들 사이에선 그 차이가 별로 보이지 않아요. |
운동을 기록하는 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스톱워치, 시간재기 | 스톱워치로 운동을 기록하면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해서 속력을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측정구간이 너무 길어서 그 순간의 속력은 알기가 어렵죠.(구간 내에서 빨라지기도, 느려지기도 하잖아요?) |
움직이는 물체를 연속으로 사진 촬영을 한다 | 네, 이걸 어려운 말로 다중섬광사진을 찍는다고 하죠~ |
시간 기록계를 이용 : 종이테이프의 분석(타점 간격과 속력 변화)
다중섬광사진 촬영 분석 : 운동하는 물체를 한장의 필름에 연속적으로 찍어 운동 상태를 측정 물체에 속력계를 장치하여 측정 : 자동차의 속도계 속도 측정기 이용 : 스피드 건(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속력 측정) | |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촬영한 물체 사이의 간격이 커야 속력이 빠르다고 할까, 작아야 속력이 빠르다고 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간격이 작아야 빠르다. | 10초에 한 번 물체의 위치를 기록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어떤 물체는 10초마다 사진을 찍을 때 20m 이동하고, 다른 물체는 40m 이동한다고 생각해 봐요. 동시에 두 물체의 사진을 찍는다면, 빠른 물체가 더 멀리 찍혀있겠죠?? 즉, 일정시간간격으로 촬영할 때 사이의 간격이 멀어야 더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간격이 커야 빠르다. | |
속력이 빠를수록 시간기록계의 테이프에 찍힌 점 간격은 어떻게 될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