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연주시차: 두 판 사이의 차이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
|-
!너희들은?
!너희들은?
|
|뭐 연주시차를 구해서 별까지 거리를 구하고 별을 보러 갈껀 아니니까 안배워도 크게 상관없는것 같다.  ==>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다만, 지식을 익히는 연습이죠. 그런 가치가 있는 시간이죠 과학은.
 
우리 눈은 멀리 있는지 가까이 있는지 거리를 어떻게 아는지
|}
|}
==도입==
==도입==
52번째 줄: 54번째 줄:
|연주시차
|연주시차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yMTA4MTFfMjU3%2FMDAxNjI4NjU4NDk5NTUz.wqIOnCXUwRLG0h6FWT0SNhaEW5VOP-BxRJ375R3nJU8g.ZGWnpS1vFYUzBDlrCubqRWoLK6lNJNPRgQ5rbAaY1Mkg.JPEG%2FItdINVPJboSFmig_DTcKpEE2ShNE.jpg
|-
|-
|각의 단위
|각의 단위
78번째 줄: 81번째 줄:
|-
|-
|개념
|개념
|
|연주시차의 개념을 정의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처음엔 티코 브라헤가 시작했다고 하는데,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연주시차가 너무 작기 때문에 측정에 실패, 이로 인해 티코 브라헤는 태양 중심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요. 이후 망원경을 이용해 시차를 측정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
|-
|
|
|
|평행하게 입사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
|빛이 서로 만나지 않고 들어온다는 의미라 해석하면 되겠어요. 평행하다는 것은 서로 접점이 없다는 의미잖아요?
|-
|-
|
|
|
|동물도 다 똑같나요?
|
|눈에 대해서 말하는거죠? 네, 얼추 비슷해요. 다만 초식동물들은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해 양 옆쪽으로 눈이 달린 경우가 많고, 육식동물들은 사냥물을 덮치기 위해 눈이 전방의 좁은 영역만 보게 되어있죠.
|-
|-
|
|
|
|별 2개중 먼 것과 짧은 것은 알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시차를 알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알고 있으니,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사용하면 알 수 잇죠.
|-
|-
|
|
|
|눈이 하나면 어떻게 될까요
|
|원근감이 사라지겠죠. 칼 손잡이를 잡으려다가 칼날을 잡게 될지도 몰라요;;
|-
|-
|
|
|
|태양의 연주시차는 몇일까요?
|
|90도요;;;?
|-
|-
|
|
|
|연주시차를 통해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있었는데 다른 방법도 있나요.
|
|네. 별의 적색편이나 변광성 등을 이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
|-
|
|
|
|과거에 시차를 어떻게 측정했나요.
|
|눈으로 보고요. 하늘에 모눈종이처럼 이런저런거 설치해 두고 관측한거죠.
|-
|-
|
|
206번째 줄: 209번째 줄:
|-
|-
|호기심
|호기심
|
|왜 입은 한개인가요?
|
|코를 대신 입으로 쓸 수 있어서....??!?!??
두 눈으로 보고 두 귀로 듣되, 한 입으로 말하라구.
|-
|-
|
|
|
|귀는 왜 2개인가요? 여러개가 달려있으면 더 잘 들을 수 있지않을까요?
|
|최소 2개여야 소리가 들려온 방향을 파악할 수 있죠. 더 만들 수도 있겠지만... 더 만들면 낭비되는 자원이 많아 이렇게 된 게 아닐까요?
|-
|-
|
|
282번째 줄: 286번째 줄:
|-
|-
|기타
|기타
|인생은 무엇일까요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닐까.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답을 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을지도 몰라.
|-
|
|
|물리 전공하면서 힘드셨던 점이있나요?
|
|
|-
|-
290번째 줄: 298번째 줄:
|-
|-
|헛소리
|헛소리
|
|혹시 시차라는 랩 아시나요 ㅎㅎ
|
|우원재??
|-
|-
|
|
330번째 줄: 338번째 줄:
!선생님코멘트
!선생님코멘트
|-
|-
|
|하나를 못쓰면 다른 하나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
|좋은 답변이지만, 그렇게 치면 왜 중요한 뇌나 심장은 백업이 없을까요?
|-
|-
|
|입체감, 원근감 등 확보
|
 
물체거리를 파악하기위해
 
더욱 입체적으로 물체를 보기 위해
 
입체성과 거리감각
 
거리를 잘 잴려고
|네, 양 눈의 시차를 이용해서 원근감을 확보합니다.
|-
|-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서?
|
|시차를 줄이기 위해선 눈 사이의 거리가 좁아야 하죠~
|-
|-
|
|사물을 정확히 보라는 신의 계시
|
|멋진 말이네 ㅎㅎㅎㅎ
|-
|-
|
|시야 확보를 위해서
|
|시야 확보는 눈 1개로도 되지 않아?? 2개여도 타조처럼 양쪽 끝에 달리는 게 시야 확보엔 더 좋죠~
|-
|-
|
|
356번째 줄: 372번째 줄:
!선생님코멘트
!선생님코멘트
|-
|-
|
|크다
|
 
크지 않을까요.
|네, 가까이 올수록 두 눈으로 봤을 때의 배경이 더 많이 달라지죠?
|-
|-
|
|작아짐
|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
|-
|
|멀리있을수록 시차가 큽니다
|
|멀리 있으면 양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의 차이가 크지 않아요. 즉 시차가 작죠!
|-
|-
|
|가까이 있을수록 시차가 작다
|
|가까이 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이 달라지지 않나요? 가까우면 시차가 커요~
|-
|-
|
|가까울 수록 보는 방향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에 크기는 크다
|
|가까울수록 보는 눈에 따라 물체 뒤 배경의 위치가 많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
|
|
391번째 줄: 409번째 줄:
!선생님코멘트
!선생님코멘트
|-
|-
|
|멀어질수록 커지니깐 목성에서 보는게 더 크겠죠
|
|오, 훌륭, 잘 이해하고 있네요.
이처럼 시차가 크면 더 멀리 있는 별들의 거리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거에요.
|-
|-
|
|그 별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
 
별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별의 거리와는 상관 없습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하면 우리 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시차가 커질지 작아질지 생각하면 돼요!
|-
|-
|
|별은 목성과 지구 사이에 거리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멀리 있어서 둘이 비슷할것 같다
|
|상대적인 답을 낼 수는 있죠.
|-
|-
|
|별이 지구에서 가까우면 지구에서 보는것이 크고 목성에서 보는것이 가까우면 목성에서 바라보는것이 클것이다.
|
 
지구에서 까지의거리가 목성에서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지구에서 볼때 더클것이고, 목성에서 까지의 거리가 지구에서 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목성에서 볼때더클것이다.
|그것과 관련 없습니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하기때문에 지구에서든 목성에서든 기준이 되는 지점은 태양이기 때문이죠.
|-
|-
|
|

2021년 9월 7일 (화) 16:00 판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어떤 별들은 지구로부터 몇 광년 떨어져 있다고 말한다. 별들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하는 걸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1. 눈은 왜 2개일까?
직업적

이유

  • 천문, 천체 관련 진로를 꿈꾸는 이들에게.
  • 우주 관련 진로를 꿈꾸는 이들에게.
  • VR의 입체감을 만드는 원리도 이와 같다. 게임산업에 뛰어들고 싶은 이들에게.
학문적

이유

  • 우리 눈은 어떻게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가.
  • 저 멀리 있는 별은 하늘에 박힌 것인가, 개별적으로 떠도는 것인가. 개별적으로 떠돈다면 얼마나 멀리 있을까.
너희들은? 뭐 연주시차를 구해서 별까지 거리를 구하고 별을 보러 갈껀 아니니까 안배워도 크게 상관없는것 같다. ==>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다만, 지식을 익히는 연습이죠. 그런 가치가 있는 시간이죠 과학은.

우리 눈은 멀리 있는지 가까이 있는지 거리를 어떻게 아는지

도입

학습

영상

실험 영상

수업요약

핵심개념

개념 설명
시차 두 곳의 관측지점과 물체가 이루는 각을 시차라 부른다. 두 관측 지점을 A,C 물체를 B라고 한다면 각 ABC를 의미.

먼 곳의 물체를 보고 해당 물체를 손가락 하나로 가린 후 양 눈을 번갈아 뜨면 두 눈 사이의 시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연주시차 별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별의 시차를 관찰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지구의 공전을 이용하여 6개월에 한 번 시차를 측정하는데, 이 시차의 1/2을 연주시차라 부른다.

?src=http%3A%2F%2Fpost.phinf.naver.net%2FMjAyMTA4MTFfMjU3%2FMDAxNjI4NjU4NDk5NTUz.wqIOnCXUwRLG0h6FWT0SNhaEW5VOP-BxRJ375R3nJU8g.ZGWnpS1vFYUzBDlrCubqRWoLK6lNJNPRgQ5rbAaY1Mkg.JPEG%2FItdINVPJboSFmig_DTcKpEE2ShNE.jpg

각의 단위 1도를 60개로 나누면 1분, 1눈을 다시 60개로 나누면 1초가 된다. 즉, 각 1도는 3600초이다. 단위는 ''라고 쓴다.
거리의 단위 우주의 단위는 너무 커서 m단위로 표현하기엔 너무 복잡하다. 때문에 이 시간에 pc(parallax of one second)을 도입한다.

pc는 말 그대로 연주시차가 1초일 때의 별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100pc 안쪽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1pc = 약 km 이다.

전개질문

  1. 가까운 물체일수록 시차는 클까 작을까?

도착질문

  1. 같은 별을 볼 때 지구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목성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질문 대답
개념 연주시차의 개념을 정의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처음엔 티코 브라헤가 시작했다고 하는데, 별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연주시차가 너무 작기 때문에 측정에 실패, 이로 인해 티코 브라헤는 태양 중심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요. 이후 망원경을 이용해 시차를 측정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평행하게 입사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빛이 서로 만나지 않고 들어온다는 의미라 해석하면 되겠어요. 평행하다는 것은 서로 접점이 없다는 의미잖아요?
동물도 다 똑같나요? 눈에 대해서 말하는거죠? 네, 얼추 비슷해요. 다만 초식동물들은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해 양 옆쪽으로 눈이 달린 경우가 많고, 육식동물들은 사냥물을 덮치기 위해 눈이 전방의 좁은 영역만 보게 되어있죠.
별 2개중 먼 것과 짧은 것은 알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시차를 알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알고 있으니,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사용하면 알 수 잇죠.
눈이 하나면 어떻게 될까요 원근감이 사라지겠죠. 칼 손잡이를 잡으려다가 칼날을 잡게 될지도 몰라요;;
태양의 연주시차는 몇일까요? 90도요;;;?
연주시차를 통해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있었는데 다른 방법도 있나요. 네. 별의 적색편이나 변광성 등을 이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과거에 시차를 어떻게 측정했나요. 눈으로 보고요. 하늘에 모눈종이처럼 이런저런거 설치해 두고 관측한거죠.
호기심 왜 입은 한개인가요? 코를 대신 입으로 쓸 수 있어서....??!?!??

두 눈으로 보고 두 귀로 듣되, 한 입으로 말하라구.

귀는 왜 2개인가요? 여러개가 달려있으면 더 잘 들을 수 있지않을까요? 최소 2개여야 소리가 들려온 방향을 파악할 수 있죠. 더 만들 수도 있겠지만... 더 만들면 낭비되는 자원이 많아 이렇게 된 게 아닐까요?
기타 인생은 무엇일까요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닐까.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답을 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을지도 몰라.
물리 전공하면서 힘드셨던 점이있나요?
헛소리 혹시 시차라는 랩 아시나요 ㅎㅎ 우원재??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선 편광안경을 쓰거나 VR기기를 쓰고 2개의 화면을 켜서 구현한다. 한 개의 TV로 안경을 쓰지 않고 3D영상을 구현할 수 있을까?

두 눈이 빠르게 뜨고 감길 때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 주는 영상을 달리 켜주어 뇌에서 3D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눈의 프레임을 조금 낮춰도 영상을 인식하는 데엔 큰 문제가 없으니.

눈은 왜 2개일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하나를 못쓰면 다른 하나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좋은 답변이지만, 그렇게 치면 왜 중요한 뇌나 심장은 백업이 없을까요?
입체감, 원근감 등 확보

물체거리를 파악하기위해

더욱 입체적으로 물체를 보기 위해

입체성과 거리감각

거리를 잘 잴려고

네, 양 눈의 시차를 이용해서 원근감을 확보합니다.
시차를 줄이기 위해서? 시차를 줄이기 위해선 눈 사이의 거리가 좁아야 하죠~
사물을 정확히 보라는 신의 계시 멋진 말이네 ㅎㅎㅎㅎ
시야 확보를 위해서 시야 확보는 눈 1개로도 되지 않아?? 2개여도 타조처럼 양쪽 끝에 달리는 게 시야 확보엔 더 좋죠~
가까운 물체일수록 시차는 클까 작을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크다

크지 않을까요.

네, 가까이 올수록 두 눈으로 봤을 때의 배경이 더 많이 달라지죠?
작아짐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멀리있을수록 시차가 큽니다 멀리 있으면 양 눈으로 들어오는 정보의 차이가 크지 않아요. 즉 시차가 작죠!
가까이 있을수록 시차가 작다 가까이 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이 달라지지 않나요? 가까우면 시차가 커요~
가까울 수록 보는 방향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에 크기는 크다 가까울수록 보는 눈에 따라 물체 뒤 배경의 위치가 많이 변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같은 별을 볼 때 지구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목성에서 볼 때의 시차가 클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멀어질수록 커지니깐 목성에서 보는게 더 크겠죠 오, 훌륭, 잘 이해하고 있네요.

이처럼 시차가 크면 더 멀리 있는 별들의 거리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거에요.

그 별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별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별의 거리와는 상관 없습니다~ 그냥 단순히 생각하면 우리 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시차가 커질지 작아질지 생각하면 돼요!
별은 목성과 지구 사이에 거리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멀리 있어서 둘이 비슷할것 같다 상대적인 답을 낼 수는 있죠.
별이 지구에서 가까우면 지구에서 보는것이 크고 목성에서 보는것이 가까우면 목성에서 바라보는것이 클것이다.

지구에서 까지의거리가 목성에서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지구에서 볼때 더클것이고, 목성에서 까지의 거리가 지구에서 까지의 거리보다 멀다면 목성에서 볼때더클것이다.

그것과 관련 없습니다. 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의 시차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하기때문에 지구에서든 목성에서든 기준이 되는 지점은 태양이기 때문이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