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기단과 전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15개정 중3 과학}} ==배우는 이유== {| class="wikitable" !흥미적 이유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빨대로 물을 빨...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흥미적 | !흥미적 | ||
이유 | 이유 | ||
|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34번째 줄: | 35번째 줄: | ||
|} | |} | ||
==도입== | ==도입==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rwjTvGaD6e8</youtube><br /> | ||
==학습== | ==학습==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0unMLZrhvj4</youtube><br /> | ||
===실험영상=== | ===실험영상===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42번째 줄: | 43번째 줄: | ||
!영상 | !영상 | ||
|- | |- | ||
| | |대류실험 | ||
| |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일어나는 일.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zVUvXm_CaSI</youtube>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
|- | |- | ||
| | | | ||
| | | | ||
|} | |} | ||
57번째 줄: | 55번째 줄: | ||
==수업요약== | ==수업요약== | ||
=== | === 기단 === | ||
온도,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내용 | !내용 | ||
!설명 | !설명 | ||
|- | |- | ||
| | |기단의 성질 | ||
|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고,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다. | ||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하고,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하다. | |||
|- | |- | ||
| | |대한민국 주변의 기단 | ||
| |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내용 | !내용 | ||
!설명 | !설명 | ||
|- | |- | ||
| | |시베리아 기단 | ||
| | |고위도, 대륙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낮고 건조. | ||
|- | |- | ||
| | |오호츠크해 기단 | ||
| | |고위도, 해양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낮고 습함. | ||
|- | |- | ||
| | |양쯔강 기단 | ||
| | |저위도, 대륙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높고 건조. | ||
|- | |- | ||
| | |북태평양 기단 | ||
| | |저위도, 해양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높고 습함. | ||
| | |} | ||
| | |} | ||
===전선=== | |||
성질이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잘 섞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두 유체 사이의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이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 부른다. | |||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날씨가 크게 변한다. | |||
{| class="wikitable" | |||
!내용 | |||
!설명 | |||
|- | |- | ||
| | |한랭전선 | ||
|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내며 파고드는 형태이다. => 기울기가 급해 전선 뒤쪽에 적운형구름이 만들어진다. | |||
|- | |- | ||
| | |온난전선 | ||
|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
찬 공기 위로 밀어내는 형태이다. => 기울기가 완만하며 전선 앞쪽에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
|} | |} | ||
===전개질문=== | ===전개질문=== |
2021년 5월 10일 (월) 04:00 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도입
학습
실험영상
내용 | 영상 |
---|---|
대류실험 |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일어나는 일.
|
수업요약
기단
온도,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내용 | 설명 | ||||||||||
---|---|---|---|---|---|---|---|---|---|---|---|
기단의 성질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고,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다.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하고,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하다. | ||||||||||
대한민국 주변의 기단 |
|
전선
성질이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잘 섞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두 유체 사이의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이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 부른다.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날씨가 크게 변한다.
내용 | 설명 |
---|---|
한랭전선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내며 파고드는 형태이다. => 기울기가 급해 전선 뒤쪽에 적운형구름이 만들어진다. |
온난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찬 공기 위로 밀어내는 형태이다. => 기울기가 완만하며 전선 앞쪽에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전개질문
- 태양빛을 받아 빠르게 가열된 지역엔 어떤 기압이 형성될까? 그 이유와 함께 써보자.
도착질문
- 없음
학생들의 질문
분류하지 않은 질문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
호기심 | ||
기타 | ||
헛소리 | ||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
빨대로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이론상 최대높이는 얼마일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태양빛을 받아 빠르게 가열된 지역엔 어떤 기압이 형성될까? 그 이유와 함께 써보자.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없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