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세포분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이유 | 이유 | ||
|왜 생물들은 하나의 거대한 세포가 아니라 자잘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 |왜 생물들은 하나의 거대한 세포가 아니라 자잘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 ||
우리는 왜 이렇게 작을까, 한편으로 우리는 왜 이렇게 클까...?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35번째 줄: | 37번째 줄: | ||
지식은 많을수록 좋다고 들었습니다. | 지식은 많을수록 좋다고 들었습니다. | ||
세포의 크기는 왜 작은지 이해할 수 있다. | |||
세포가 커야 좋다는 무식한 생각을 안할 수 있다. | |||
이런 지식이 쌓이면 과학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 |||
우리몸에 세포가 있기때문 | |||
|} | |} | ||
==도입== | ==도입== | ||
137번째 줄: | 147번째 줄: | ||
|- | |- | ||
| | | | ||
| | |수박이나 메론처럼 껍질이 두꺼운 것들도 연관되어 있을까요? | ||
| | |네, 식물들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니까요. 다만 세포벽이 있는 등 세부적인 형태는 다르긴 하죠. | ||
|- | |- | ||
| | | | ||
| | |침팬지가 세포가 큰가요 아니면 인간의 세포가 큰가요 | ||
| | |비슷해요! 세포 갯수만 다를 뿐. | ||
|- | |- | ||
| | | | ||
| | |근데 왜 계속 안작아졌을까 | ||
| | |||
세포가 엄청나게 작으면 해로운점이 있나요 ? | |||
|세포 내에 유전물질도 담아야 하고, 대사작용이 일어날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 |||
|- | |- | ||
| | | | ||
| | |키카 크면 세포들은 많아지는건가요 아니면 늘어나는 건가요? | ||
| | |많아진다와 늘어난다...? 늘어난다는 건 세포의 크기가 커진다는 걸 의미하는 걸까요? 세포의 크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세포의 갯수가 많아집니다. | ||
|- | |- | ||
| | | | ||
| | |생식은 왜 좋은건가요? | ||
| |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와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연인을 섞어 융합 소환한다! | ||
|- | |- | ||
| | | | ||
| | |선생님은 실제로 옛날에 엄청큰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생명체가 있었을 것 같나요? | ||
| | |돌연변이로 그런 생명체가 나왔다고 해도 곧 죽었을 것 같아요; 아니, 커지기 전에 죽을거에요. | ||
|- | |- | ||
| | | | ||
| | |세포가 분열하다가 분열을 하지 않으면 몇년이나 살 수 있나요? | ||
| | |글쎄요...? 사람의 몸은 끊임없이 대사가 이루어지니, 생각보다 일찍 죽지 않을까요;; | ||
|- | |- | ||
| | | | ||
237번째 줄: | 249번째 줄: | ||
|- | |- | ||
| | | | ||
|가장 큰 세포는 어떤게 있나요 | |||
|선생님이 생명 전공도 아니고, 세포는 너무 많아서 정확하게 대답해주기 힘들 것 같네요 ㅎㅎ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
|- | |||
| | | | ||
|단세포 생물은 한 세포로만 이루어져 있는건가요? | |||
|네, 세포 1개. | |||
|- | |||
| | | | ||
|플라나리아는 몇 조각으로 잘라도 그 조각만큼 똑같이 분열된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 |||
|글쎄요;;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
|- | |- | ||
| | | | ||
|여전히 생물체들은 지금도 세포분열을 더 세부적으로 하려고 하나요? 그리고 완전히 작아진다면 어떻게 보여지나요? | |||
세포가 더 작아질수있나요 | |||
세포가 죽지않고 작아지기만 할 수 도 있지않나요 | |||
|현재 있는 생물들의 세포 크기가 비슷하다면 지금의 크기가 생존에 최적이라는 의미겠지요. 유전물질을 담아둘 공간도 필요하고, 대사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니까... 더 작아진다는 이야기는 못들어봤어요~ 완전히 작아지면 더 크게 확대해야 보이겠죠..? | |||
|- | |||
| | | | ||
|세포가 없다면 사람은 죽나요? | |||
|애초에 사람이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니, 세포가 없다면 사람이란 게 없겠죠. | |||
|- | |||
| | | | ||
|세포 크기는 어느정도 일까요? | |||
|조사해줘어어~ | |||
|- | |- | ||
| | | | ||
|세포분열이 안되면 우예 됩니까? | |||
|세포가 죽기만 하고 생성이 안되니, 곧 죽겠지예;; | |||
|- | |||
| | | | ||
|만약 세포 안에 세포막이 있고 그 세포 안에 세포막이 또 있어서 커져도 물질 교환에 문제가 없다면 세포의 크기가 커질 수 있을까요? | |||
|재미난 생각이긴 한데... 세포막이 있으면 있을수록 뚫기 어려워서 물질교환은 더 안될 것 같은데;; | |||
|- | |||
| | | | ||
|세포분열중에 실패? 하게되는경우가 있나요 있다면 어쩌다 그렇게 되나요 | |||
|X선이나 방사선 등에 의해 분리과정이 교란받는 경우가 가장 크겠죠. 방사선 피폭이 되면... 그 증상에 대해 살펴보면 될 것 같아요. | |||
|- | |- | ||
| | | | ||
|방사능을 잘못맞으면 세포도 커질수있나요? | |||
|네, 그렇게 조립될 수도 있죠. | |||
|- | |||
| | | | ||
| | |세포 분열이다른사람보다 느린사람은 어떻게 되나요? | ||
|해당 세포가 빠르게 교체되지 않으면 순환장애로 죽을지도 모르죠;; | |||
|- | |- | ||
| | | | ||
| | |세포크기를 인위적으로 키울 수 있나요? | ||
| | |방사선을 쬐어 인위적으로 키울 순 있을 것 같아요. 아니면 유전정보를 바꿔주거나. | ||
|- | |- | ||
| | | | ||
| | |세포의 크기가 모두 같으면 수가 많을수록 크기가 커지나요? | ||
| | |네, 여러분과 코끼리의 차이는 세포 수 차이라고만 봐도 무방하죠. | ||
|- | |- | ||
| | | | ||
| | |언젠가는 도태하지 않는 생물이 생길까요? | ||
| | |인공지능느님....조차도 새로운 알고리즘이 나오면 도태되겠죠. 우주가 완전히 얼어붙지 않는 이상 생명체(인공생명체)의 경쟁은 끊임없을 것 같아요. | ||
|- | |- | ||
| | | | ||
| | |세포의 수를 고의적으로 늘려서 빠른 생장을 하는게 가능할까요 | ||
| | |고의적으로 늘리는 것도 가능하겠고.... 통제가 안되게 늘어나면 그게 암이 되는거죠. | ||
|- | |- | ||
| | | | ||
| | |생명체가 어느 정도 크기 이상으로 커지기 어렵다는 게 신호 전달에 한계(광속)가 있어서라고 읽었습니다. 세포랑도 관련이 있을까요? | ||
| | |생명체의 크기는 세포의 갯수와 연관이 깊은데, 생명체가 너무 커져서 세포가 압력에 짜브라질 정도가 되어버리면 더 크게 만들 수 없지 않을까요?? | ||
|- | |- | ||
| | | | ||
| | |그러면 인공적으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을 만들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 ||
| | |곧 죽지 않을까요..? | ||
|- | |- | ||
| | | | ||
| | |뇌세포가 크면 똑똑할까요? | ||
| | |핵심은 크기보다 연산속도와 연산량이 아닐까요..? 하드디스크가 크다고 해서 SSD보다 좋진 않잖아요? | ||
|- | |- | ||
| | | | ||
| | |왜 암세포는 잘퍼지나요 | ||
| | |세포분열이 절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죠. | ||
|- | |- | ||
| | | | ||
| | |세포 크기에 따른 질병도 있나요. | ||
| | |오, 궁금..! | ||
|- | |- | ||
| | | | ||
301번째 줄: | 344번째 줄: | ||
|- | |- | ||
| | | | ||
| | |표면적과 부피를 구하는법을 잘모르겠습니다. | ||
| | |수학 내용을 복습하는 게;; | ||
|- | |- | ||
|헛소리 | |헛소리 | ||
| | |과학 인강 보는 게 도움이 되나요? | ||
| | |교과서가 짱이죠. 공부는 결국 혼자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 ||
|- | |- | ||
| | | | ||
| | |뚱뚱한 사람이 더 작나요? | ||
| | |남중이라 다행이지, 성희롱감입니다. | ||
|} | |} | ||
331번째 줄: | 374번째 줄: | ||
===수업 후, 흥미로운 것=== | ===수업 후, 흥미로운 것=== | ||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 ||
세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665년. 로버트 훅. '작은 도면들', '확대경을 이용한 작은 생물의생리학적 설명'이라는 책들에서 소개한다. 훅이 찾아낸 미시세계의 특징은 식물들에 작은 방이 있다는 것. 수도자들의 방을 닮아 cell이라 이름붙였다.<ref>빌 브라이슨(2020).『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p.422</ref> | |||
=답= | =답=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346번째 줄: | 392번째 줄: | ||
물질교환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다. | 물질교환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다. | ||
세포 표면적애대한 비가 커 물질교환에 유리함 | |||
에너지 흡수가 빠르고, 노폐물 배출이 빠를 것이다. | |||
|네, 물질교환이 비교적 쉽죠. | |네, 물질교환이 비교적 쉽죠. | ||
|- | |- | ||
356번째 줄: | 406번째 줄: | ||
|표면적의 비가 커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표면적의 비가 커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
|뭐에 대한 표면적의 비일까요? | |뭐에 대한 표면적의 비일까요? | ||
|- | |||
|필요한 물질을 흡수한다 | |||
|이건 세포가 커도 가능해요;; | |||
|- | |- | ||
! colspan="2"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 colspan="2"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
366번째 줄: | 419번째 줄: | ||
|- | |- | ||
|3배 증가한다 | |3배 증가한다 | ||
3배? | |||
|하핫; | |하핫; | ||
|- | |- | ||
371번째 줄: | 425번째 줄: | ||
|전체 겉넓이를 생각했군요, 정육면체가 6면이니까.. 근데, 모든 면에서 4배 증가하면 전체 겉넓이는 4배죠 ㅎㅎ | |전체 겉넓이를 생각했군요, 정육면체가 6면이니까.. 근데, 모든 면에서 4배 증가하면 전체 겉넓이는 4배죠 ㅎㅎ | ||
|- | |- | ||
| | |12배 | ||
| | | | ||
|- | |- | ||
387번째 줄: | 441번째 줄: | ||
|16배 | |16배 | ||
|어떻게 생각한거지;;?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 | |- | ||
| | | | ||
472번째 줄: | 502번째 줄: | ||
모두 물질교환이 어려워 도태되었다. | 모두 물질교환이 어려워 도태되었다. | ||
생존 경쟁에 불리하여 도태되었기 때문에 | |||
|도태라는 말이 적절하죠. | |도태라는 말이 적절하죠. | ||
|- | |- | ||
477번째 줄: | 509번째 줄: | ||
물질교환이 어려워 생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 물질교환이 어려워 생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 ||
물질교환이 원할하게 가능한 다른 생물들에비해 생존이 불리해서 | |||
| | |||
|- | |||
|진화하다가 죽어서 | |||
|진화하다 죽어서라기보단...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서라는 게 더 정확하겠네요. | |||
|- | |||
| | |||
| | | | ||
|}<references /> | |}<references /> |
2023년 11월 13일 (월) 10:00 기준 최신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왜 생물들은 하나의 거대한 세포가 아니라 자잘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우리는 왜 이렇게 작을까, 한편으로 우리는 왜 이렇게 클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들이 왜 작은지애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를 알아야 우리의 몸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은 많을수록 좋다고 들었습니다. 세포의 크기는 왜 작은지 이해할 수 있다. 세포가 커야 좋다는 무식한 생각을 안할 수 있다. 이런 지식이 쌓이면 과학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몸에 세포가 있기때문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 영상 |
---|---|
크기에 따른 물질전달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세포의 크기가 작은 이유[편집 | 원본 편집]
물질교환을 수월히 하기 위함.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부피는 몇 배 증가하는가?
- 한 변 길이가 1cm, 2cm, 3cm인 정육면체의 '표면적/부피' 값을 차례대로 써 보자.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어째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들은 지금 없는 것일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물질교환을 안하고 사는 생물들이 있을까요?
만약 있다면 사람도 그렇게 살 수 있을까요? |
물질 교환을 안하는 생물은 생명체라기보단 물건이라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
새포가 일정 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쥐와 코끼리의 세포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세포의 개수만 다르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 네, 그쵸. 세포의 갯수 차이죠! | |
세포는 다시 만들어지나요? | 어떤 세포냐에 따라 달라요~ 일생에 한 번 망가지면 다시 안만들어지는 세포도 있죠. | |
세포의 크기는 다똑같나요? | 다 달라요. 용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세포의 크기는 달라지기도 합니다. | |
세포 분열은 생명체가 죽을때까지 계속되는건가요? | 네, 물질대사를 하며 세포를 계속 순환시키죠. | |
사람이 세포분열이 안되면 어떻게되나요 | 세포가 죽기만 하고 새로 만들어지지 않아서 곧 죽을 거에요. | |
저희가 공룡만큼 커지면 살아가기 힘들까요? | 관절염으로 고생할 것 같은데... 너무 무거워서; | |
작은 세포와 큰 세포가 공존하는 생물이 있나요? | 몸 안에 있는 세포는 어떤 세포냐에 따라 작기도 하고 크기도 하죠! | |
세포분열이 없어지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면 어떻게 되나요 | 몸이 커지겠죠~? 여러분이 지금 그런 상태잖아요 ㅎㅎ | |
세포 부피와 표면적 사이의 관계 실험에서 1cm일 때도 잘 흡수 되었는데, 왜 실제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나요? 1mm여도 괜찮지 않을까요? | 효율적인 물질 교환을 위해선 1mm여도 너무 큰 게 아닐까요..? 우리가 본 실험에서도 일정 시간만큼 기다리잖아요? 근데, 세포들은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물질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니까요. | |
식물도 세포분열을 하나요 | 네, 당연하죠. 식물들도 성장하잖아요? | |
수박이나 메론처럼 껍질이 두꺼운 것들도 연관되어 있을까요? | 네, 식물들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니까요. 다만 세포벽이 있는 등 세부적인 형태는 다르긴 하죠. | |
침팬지가 세포가 큰가요 아니면 인간의 세포가 큰가요 | 비슷해요! 세포 갯수만 다를 뿐. | |
근데 왜 계속 안작아졌을까
세포가 엄청나게 작으면 해로운점이 있나요 ? |
세포 내에 유전물질도 담아야 하고, 대사작용이 일어날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 |
키카 크면 세포들은 많아지는건가요 아니면 늘어나는 건가요? | 많아진다와 늘어난다...? 늘어난다는 건 세포의 크기가 커진다는 걸 의미하는 걸까요? 세포의 크기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세포의 갯수가 많아집니다. | |
생식은 왜 좋은건가요? |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와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연인을 섞어 융합 소환한다! | |
선생님은 실제로 옛날에 엄청큰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생명체가 있었을 것 같나요? | 돌연변이로 그런 생명체가 나왔다고 해도 곧 죽었을 것 같아요; 아니, 커지기 전에 죽을거에요. | |
세포가 분열하다가 분열을 하지 않으면 몇년이나 살 수 있나요? | 글쎄요...? 사람의 몸은 끊임없이 대사가 이루어지니, 생각보다 일찍 죽지 않을까요;; | |
호기심 | 세포의 크기가 가장 큰 생물은 무엇인가요 | ㅎㅎ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세포가 분열하면 크기가 작아지는것으로 아는데 자꾸 분열하면 계속 작아지나요?? | 네, 근데 보통은 분열하기 전에 자기 몸을 뿔리죠~ | |
하나의 세포는 몇번의 세포분열을 할수있나요 | 종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달라요~ | |
세포는 왜 세포일까 | 細(가늘 세)胞(여드름 포). 굉장히 가느다란 '포'라서 세포! | |
가장 큰 세포는 어떤게 있나요 | 선생님이 생명 전공도 아니고, 세포는 너무 많아서 정확하게 대답해주기 힘들 것 같네요 ㅎㅎ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
단세포 생물은 한 세포로만 이루어져 있는건가요? | 네, 세포 1개. | |
플라나리아는 몇 조각으로 잘라도 그 조각만큼 똑같이 분열된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 글쎄요;; 조사해서 알려줄래요? | |
여전히 생물체들은 지금도 세포분열을 더 세부적으로 하려고 하나요? 그리고 완전히 작아진다면 어떻게 보여지나요?
세포가 더 작아질수있나요 세포가 죽지않고 작아지기만 할 수 도 있지않나요 |
현재 있는 생물들의 세포 크기가 비슷하다면 지금의 크기가 생존에 최적이라는 의미겠지요. 유전물질을 담아둘 공간도 필요하고, 대사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니까... 더 작아진다는 이야기는 못들어봤어요~ 완전히 작아지면 더 크게 확대해야 보이겠죠..? | |
세포가 없다면 사람은 죽나요? | 애초에 사람이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니, 세포가 없다면 사람이란 게 없겠죠. | |
세포 크기는 어느정도 일까요? | 조사해줘어어~ | |
세포분열이 안되면 우예 됩니까? | 세포가 죽기만 하고 생성이 안되니, 곧 죽겠지예;; | |
만약 세포 안에 세포막이 있고 그 세포 안에 세포막이 또 있어서 커져도 물질 교환에 문제가 없다면 세포의 크기가 커질 수 있을까요? | 재미난 생각이긴 한데... 세포막이 있으면 있을수록 뚫기 어려워서 물질교환은 더 안될 것 같은데;; | |
세포분열중에 실패? 하게되는경우가 있나요 있다면 어쩌다 그렇게 되나요 | X선이나 방사선 등에 의해 분리과정이 교란받는 경우가 가장 크겠죠. 방사선 피폭이 되면... 그 증상에 대해 살펴보면 될 것 같아요. | |
방사능을 잘못맞으면 세포도 커질수있나요? | 네, 그렇게 조립될 수도 있죠. | |
세포 분열이다른사람보다 느린사람은 어떻게 되나요? | 해당 세포가 빠르게 교체되지 않으면 순환장애로 죽을지도 모르죠;; | |
세포크기를 인위적으로 키울 수 있나요? | 방사선을 쬐어 인위적으로 키울 순 있을 것 같아요. 아니면 유전정보를 바꿔주거나. | |
세포의 크기가 모두 같으면 수가 많을수록 크기가 커지나요? | 네, 여러분과 코끼리의 차이는 세포 수 차이라고만 봐도 무방하죠. | |
언젠가는 도태하지 않는 생물이 생길까요? | 인공지능느님....조차도 새로운 알고리즘이 나오면 도태되겠죠. 우주가 완전히 얼어붙지 않는 이상 생명체(인공생명체)의 경쟁은 끊임없을 것 같아요. | |
세포의 수를 고의적으로 늘려서 빠른 생장을 하는게 가능할까요 | 고의적으로 늘리는 것도 가능하겠고.... 통제가 안되게 늘어나면 그게 암이 되는거죠. | |
생명체가 어느 정도 크기 이상으로 커지기 어렵다는 게 신호 전달에 한계(광속)가 있어서라고 읽었습니다. 세포랑도 관련이 있을까요? | 생명체의 크기는 세포의 갯수와 연관이 깊은데, 생명체가 너무 커져서 세포가 압력에 짜브라질 정도가 되어버리면 더 크게 만들 수 없지 않을까요?? | |
그러면 인공적으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을 만들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 곧 죽지 않을까요..? | |
뇌세포가 크면 똑똑할까요? | 핵심은 크기보다 연산속도와 연산량이 아닐까요..? 하드디스크가 크다고 해서 SSD보다 좋진 않잖아요? | |
왜 암세포는 잘퍼지나요 | 세포분열이 절제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죠. | |
세포 크기에 따른 질병도 있나요. | 오, 궁금..! | |
기타 | 수학과 과학은 많은 관련이 있나요? | 오늘 공부해봐서 알겠지만...무지요. |
표면적과 부피를 구하는법을 잘모르겠습니다. | 수학 내용을 복습하는 게;; | |
헛소리 | 과학 인강 보는 게 도움이 되나요? | 교과서가 짱이죠. 공부는 결국 혼자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
뚱뚱한 사람이 더 작나요? | 남중이라 다행이지, 성희롱감입니다.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세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665년. 로버트 훅. '작은 도면들', '확대경을 이용한 작은 생물의생리학적 설명'이라는 책들에서 소개한다. 훅이 찾아낸 미시세계의 특징은 식물들에 작은 방이 있다는 것. 수도자들의 방을 닮아 cell이라 이름붙였다.[1]
답[편집 | 원본 편집]
생명체가 하나의 커다란 세포가 아니라 작은 세포들로 이루어졌을 때 얻는 이점은 뭐가 있을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필요한 물질을 흡수한다 | 필요한 물질은 세포가 커도 흡수는 가능한데요?? | ||||||||||||||||
세포들의 물질교환이 비교적 활발하다.
물질교환에 더 효율적이다. 물질교환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진다. 세포 표면적애대한 비가 커 물질교환에 유리함 에너지 흡수가 빠르고, 노폐물 배출이 빠를 것이다. |
네, 물질교환이 비교적 쉽죠. | ||||||||||||||||
세포가 클수록 물질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가 작은것이 좋다. | 큰 상황과 비교해서 자세하게 써줬네요~ | ||||||||||||||||
표면적이 넒어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이유까지 잘 써주었네요~ | ||||||||||||||||
표면적의 비가 커져서 물질교환에 유리하다 | 뭐에 대한 표면적의 비일까요? | ||||||||||||||||
필요한 물질을 흡수한다 | 이건 세포가 커도 가능해요;; |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표면적은 몇 배 증가하는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4배 | |||||||||||||||||
3배 증가한다
3배? |
하핫; | ||||||||||||||||
24배 | 전체 겉넓이를 생각했군요, 정육면체가 6면이니까.. 근데, 모든 면에서 4배 증가하면 전체 겉넓이는 4배죠 ㅎㅎ | ||||||||||||||||
12배 | |||||||||||||||||
정육면체 한 변의 길이가 2배 늘어나면 부피는 몇 배 증가하는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8배 | |||||||||||||||||
2배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16배 | 어떻게 생각한거지;;? | ||||||||||||||||
한 변 길이가 1cm, 2cm, 3cm인 정육면체의 '표면적/부피' 값을 차례대로 써 보자.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1:1:1 2:4:8 3:9:27
1/1/1, 2/4/8, 3/9/27 |
표면적을 부피로 나누지 않고, 전체 비율을 썼네요;; 근데 전체 비율도 틀렸어요 ㅜ | ||||||||||||||||
6/1 24/8 54/27
6cm²/1cm³ 24cm²/8cm³ 54cm²/27cm³ 1cm일 때: 6cm²/1cm³, 2cm일 때: 24cm²/8cm³, 3cm일 때: 54cm²/27cm³ |
오, 훌륭
| ||||||||||||||||
6/1 24/8 54/27 = 6,3,2 | 간결하게 잘했네요. | ||||||||||||||||
1cm 8cm 27cm | 일단 답이 틀렸고, 단위를 쓰려면 표면적은 cm^2, 부피는 cm^3이기 때문에 단위는 1/cm가 되어야 해요. | ||||||||||||||||
어째서 세포의 크기가 큰 생물들은 지금 없는 것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
물질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해서
다 죽어서 모두 물질교환이 어려워 도태되었다. 생존 경쟁에 불리하여 도태되었기 때문에 |
도태라는 말이 적절하죠. | ||||||||||||||||
세포가 분열하여 나누어 지는것이 물질교환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세포의 크기가 크면 물질교환에 불리해서
물질교환이 어려워 생존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물질교환이 원할하게 가능한 다른 생물들에비해 생존이 불리해서 |
|||||||||||||||||
진화하다가 죽어서 | 진화하다 죽어서라기보단...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서라는 게 더 정확하겠네요. | ||||||||||||||||
- ↑ 빌 브라이슨(2020).『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p.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