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과학-기단과 전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15개정 중3 과학}} ==배우는 이유== {| class="wikitable" !흥미적 이유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빨대로 물을 빨...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15개정 중3 과학" 문자열을 "15개정 과학 중3" 문자열로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15개정 중3 | {{15개정 과학 중3}} | ||
==배우는 이유== | ==배우는 이유==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흥미적 | !흥미적 | ||
이유 | 이유 | ||
|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 |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어떤 기단을 타고 오는 걸까? | ||
# | # | ||
19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일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편리를 제공. | *일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편리를 제공. | ||
*기상청, 항공, 비행기조종사 등의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지식. | |||
*기상청, | |||
|- | |- | ||
!학문적 | !학문적 | ||
27번째 줄: | 26번째 줄: | ||
| | | | ||
*바람의 발생조건에 대한 기초. | *바람의 발생조건에 대한 기초. | ||
*대기과학 관련 분야의 기초. | |||
*유체역학 등의 기초가 되는 내용. | |||
*지리와도 관련되는 지식. | *지리와도 관련되는 지식. | ||
*오늘의 내용은 | *오늘의 내용은 습도, 위도, 밀도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렵다. 오늘의 내용을 익히지 못하면 추후에 날씨, 태풍 등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 ||
|- | |- | ||
!너희들은? | !너희들은? | ||
| | |요즘 미세먼지가 심하니 미세먼지가 어떻게 날아오는지 알면 좋다 | ||
지구인의 상식 | |||
우리나라의 사계절이 나타나는 원인인 것 같고 필요한 지식이라고 생각합니다 |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되는지 알기 위함이고 우리나라의 사계절을 이해함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
배워야한다 내가 배웠으니까 | |||
중학교과정을 익히지 못하면 하고 싶은게 생겨도 못할 가능성이 크다 | |||
수준높은 대화를 하기 위해 | |||
|} | |} | ||
==도입== | ==도입==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rwjTvGaD6e8</youtube><br /> | ||
==학습== | ==학습==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0unMLZrhvj4</youtube>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JNFbJLGGfxs</youtube><br /> | |||
===실험영상=== | ===실험영상===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42번째 줄: | 57번째 줄: | ||
!영상 | !영상 | ||
|- | |- | ||
| | |대류실험 | ||
| |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일어나는 일.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zVUvXm_CaSI</youtube>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 | |||
|- | |- | ||
| | | | ||
| | | | ||
|} | |} | ||
57번째 줄: | 69번째 줄: | ||
==수업요약== | ==수업요약== | ||
=== | ===기단=== | ||
온도,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 |||
{| class="wikitable" | |||
!내용 | |||
!설명 | |||
|- | |||
|기단의 성질 | |||
| |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고,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다. | |||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하고,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하다. | |||
|- | |||
|대한민국 주변의 기단 | |||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내용 | !내용 | ||
!설명 | !설명 | ||
|- | |- | ||
| | |시베리아 기단 | ||
| | |고위도, 대륙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낮고 건조. | ||
|- | |||
|오호츠크해 기단 | |||
|고위도, 해양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낮고 습함. | |||
|- | |||
|양쯔강 기단 | |||
|저위도, 대륙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높고 건조. | |||
|- | |||
|북태평양 기단 | |||
|저위도, 해양에서 만들어져 온도가 높고 습함. | |||
|} | |||
|} | |||
===전선=== | |||
성질이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잘 섞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두 유체 사이의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이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 부른다. | |||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날씨가 크게 변한다. | |||
====한랭전선과 온난전선==== | |||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구분 | ||
! | !한랭전선 | ||
!온난전선 | |||
|- | |||
!생성 |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
|- | |||
!전선의 기울기 | |||
|급하다. | |||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내며 파고드는 형태로, 기울기가 급하다. | |||
|완만하다. | |||
찬 공기 위에서 천천히 밀어내는 형태로 기울기가 완만하다. | |||
|- | |||
!구름의 종류 | |||
|적운형 | |||
기울기가 급해 전선 뒤쪽에 적운형구름이 만들어진다. | |||
|층운형 | |||
기울기가 완만해 전선 앞쪽에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
|- | |||
!비의 종류 | |||
|소나기 | |||
|이슬비 | |||
|- | |- | ||
| | !강수지역 | ||
| | |좁다(전선 뒤쪽) | ||
|넓다(전선 앞쪽) | |||
|- | |- | ||
| | !이동 속도 | ||
| | |빠르다 | ||
|느리다 | |||
|- | |- | ||
| | !전선 통과 후 변화 | ||
| | |기온 하강, 기압 상승 | ||
|기온 상승, 기압 하강 | |||
|- | |- | ||
| | !이미지 | ||
| | |한랭전선. 전선은 파란색 삼각형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
http://down.edunet4u.net/KEDNCM/A000800002_20140221/m_20_sc_jihak_03_010.jpg | |||
|온난전선. 빨강색 반원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
http://down.edunet4u.net/KEDNCM/A000800002_20140221/m_20_sc_jihak_03_011.jpg | |||
|- | |- | ||
| | !표현, 비유 | ||
| | |한랭전선은 손날로, | ||
|온난전선은 주먹으로 표현하면 좋다. | |||
|} | |||
http://down.edunet4u.net/KEDNCM/A000800002_20140221/m_20_sc_miraen_03_013.jpg | |||
====폐색전선과 정체전선==== | |||
{| class="wikitable" | |||
!구분 | |||
!폐색전선 | |||
!정체전선 | |||
|- | |- | ||
| | !생성 | ||
| | |속도가 빠른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을 따라잡아 겹치는 상태. | ||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세력이 비슷해 한 곳에 머물게 되는 상태. | |||
|- | |- | ||
| | !이미지 | ||
| | |https://i.ytimg.com/vi/-KYzkHEqEQE/maxresdefault.jpg | ||
|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0/0624/202006241428163076_t.jpg | |||
|} | |} | ||
<br /> | |||
===전개질문=== | ===전개질문=== | ||
# | #없음. | ||
# | # | ||
120번째 줄: | 185번째 줄: | ||
===도착질문=== | ===도착질문=== | ||
# |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 |||
# | # | ||
134번째 줄: | 200번째 줄: | ||
|- | |- | ||
|개념 | |개념 | ||
|추운 바람은 어떤 기류를 타고오나요? | |||
|겨울엔 시베리아기단이 큰 영향을 미치죠! | |||
|- | |||
| | | | ||
|황사가 먼지인가요? | |||
|주로 모래요. | |||
|- | |||
| | | | ||
|기단과 전선은 누가 발결했나요? | |||
기단이란 개념은 누가 만들었나요? | |||
|기단은 발견했다고 할 수 있지만, 전선은 사람이 고안한 개념이죠. 기단과 전선의 역사에 대해 조사해 발표해주면 세특에 써줄게요~ | |||
|- | |- | ||
| | | | ||
|기단은 어떻해 만들어지나여? | |||
기단이 만들어지는 이유? | |||
|해당 지역에 머무른 공기가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성질이 변하면서요~! | |||
|- | |||
| | | | ||
|기단을 거스를수는 없나요? 예를 들어 봄과가을철에 오는 양쯔강기단을 반대로 중국으로 가게 한다던지.. 의문이 생깁니다. | |||
|어거지로 밀어내면 되긴 하겠죠. 그런데 지구적인 움직임은 너무 크니까요. | |||
|- | |||
| | | | ||
|기단은 4개뿐인가요? | |||
새로운 기단이 생길 수도 있나요? | |||
기단은 총 몇개 인가요? | |||
기단의 종류는 4개가 다인가요? | |||
기단은 총 몇게인가요 | |||
|사람이 편의로 구분한 거니까, 또 새로운 특성에 따라 나눈다면 수없이 많이 나누어질 수 있겠죠~ | |||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나라에서도 다르게 가르칠거에요. | |||
|- | |- | ||
| | | | ||
|기단은 왜 우리나라 쪽으로 부나요? | |||
|지구상에서 바람이 불지 않는 곳은 없는데, 그 방향이 바뀔 뿐이죠. 우리나라에서 불어나갈 때도 있고, 들어올 때도 있는거죠~ | |||
|- | |||
| | | | ||
|기단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
|역사적인 부분은 선생님도 잘 모르겠네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 | |||
| | | | ||
|기단이 다른 기단을 못 밀어낼 수도 있나요? | |||
|네, 세력이랄까.. 힘이 비슷하면 서로 밀어내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기도 해요~ 그게 정체전선. | |||
|- | |- | ||
| | | | ||
|이 내용을 잘 알아두면 구름모양만 보고 전선을 구분 할 수 있겠네요 | |||
|네, 이 단원을 시작으로 더 많은 내용을 배워야 구름모양만으로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거에요. 그걸로 예보를 하는거죠. | |||
|- | |||
| | | | ||
| | |왜 계절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단이 달라지나요? | ||
|대륙의 온도가 해양의 온도보다 빠르게 변해서 그 지역 기단의 밀도에 변화가 생겨서요. 밀도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밀어내잖아요? | |||
|- | |- | ||
| | | | ||
| | |고위도의 공기는 왜 뜨겁나요 | ||
| | |고위도의 공기가 왜 뜨겁죠;;;? 차갑죠;; | ||
|- | |- | ||
| | | | ||
| |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 중위도 같은 것이 있나요? | ||
| | |나누기 나름이지만, 우리나라는 중위도라고 보죠.1 | ||
|- | |- | ||
| | | | ||
| | |이상기후로 고위도 , 저위도가 온도가 같아지면 어떻게 되나요? | ||
| | |온도가 같아지고 공기의 밀도가 같아지면 기압차이가 나지 않아 바람이 불지 않을거에요! | ||
|- | |- | ||
| | | | ||
| | |적도 보다 밑에 있는 남극에서는 기단이 오지 않나요? | ||
| | |네, 너무 멀지 않나요;;; | ||
|- | |- | ||
| | | | ||
| | |중위도의 특성이 궁금합니다 | ||
| | |편서풍이 있고.. 하강기류가 만들어져 날씨가 맑은 편입니다~ | ||
|- | |- | ||
| | | | ||
| | |왜 시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단의 종류가 다른가요? | ||
| | |시간에 따라 기단의 온도가 달라지니, 기단의 힘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 ||
|- | |- | ||
| | | | ||
| | |태풍도 기단의 영향인가요 | ||
| | |태풍은 강한 저기압이에요~ | ||
|- | |- | ||
| | | | ||
| |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가 반대로되면 우리나라에 오는 기단도 바뀌나요? | ||
| | |네, 당연하죠. | ||
|- | |- | ||
| | | | ||
| | |기단의 순서나 방향이 갑자기 바뀔수도 있나요? | ||
| | |이상기후가 생긴다면 충분히 그럴 수 있죠~ | ||
|- | |- | ||
| | | | ||
| | |기단끼리 힘이 같아져서 정체전선이 생기면 위로 올라가면서 토네이도 같은게 만들어지나요? | ||
| | |토네이도같은 건 강력한 저기압이구, 정체전선에서 내리는 비랑은 달라요~ 정체전선이 만들어지면 장마가 온다고 보면 됩니다~ | ||
|- | |- | ||
| | | | ||
| | |봄바람은 춥지도 덥지도 않은데 두 기단이 겹쳐서 오는 바람이 있나요? | ||
| | |겹쳐서 온다기보단 중간지역에서 불어온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 ||
|- | |- | ||
| | | | ||
| | |기단이 저위도와 고위도에서 온도가 다른데 그 중간 지점이 있나요 | ||
| | |두 기단이 불어오는 근원의 중간지점이라 보아도 괜찮을 것 같아요오~ | ||
|- | |- | ||
| | | | ||
| | |가장 많은(?) 기단을 가진 지역도 있을까요. | ||
| | |지역 하나에 기단 하나가 생기죠~ 그래도 우리나라는 위는 대륙, 아래는 바다라서 4개나 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 같나요! | ||
|- | |- | ||
| | | | ||
| | |기단이 안오는 경우도 있나요? | ||
| | |네, 정체전선이 만들어지면 그 상태에서 거의 멈춰있다고 보면 되죠~ | ||
|- | |- | ||
| | | | ||
| | |두 종류의 기단이 같이 움직일수 있나요? (예를 들어 한기단은 위치가 낮고, 다른 기단은 위치가 높아서 서로 안겹치지만 같이 움직이는 거요) | ||
| |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 아래 있기 때문에 힘이 비슷한 두 기단이 함께 동쪽으로 움직이곤 하죠. | ||
|- | |- | ||
| | | | ||
| | |4가지말고 다른기단도 있나요 있다면 언제배우나요 | ||
| | |미안해요; 지구과학전공이 아니라 저도 4가지만 배웠네요. 더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조사해서 알려준다면 세특에 써줌! | ||
|- | |- | ||
| | | | ||
| | |바이러스도 기단을 타고 오나요 | ||
| | |올 순 있겠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오다가 죽을듯??? | ||
|- | |- | ||
| | | | ||
| | |기단이 바람이에요? | ||
| | |아뇨~ 바람과 달라요~ 기단은 공기덩어리, 이 공기덩어리가 이동하면 바람이 되지요오~ | ||
|- | |- | ||
| | | | ||
| | |양쯔강이어디있는강인가요 | ||
| | |중국 대륙 중앙부! | ||
|- | |- | ||
| | | | ||
| | |소나기 구름은 보통 어디서부터 오나요 | ||
| | |어디서부터 온다기보단... 다른 곳에서 온 공기가 상승해 우리가 있는 곳에서 만들어지죠오~ | ||
|- | |- | ||
| | | | ||
| | |기단에 가스 같은 것도 딸려서 오나요 | ||
| | |기단은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가스는 기체. 딸려올 수 있죠. | ||
|- | |- | ||
| | | | ||
| | |상층기류가 우리나라 중국발 황사를 막아줄까요? | ||
| | |상승기류..를 말하는거죠? 우리나라에서 상승기류가 생기면 중국에서 오는 공기를 더 빨아들이게 되죠. 그 빈 자리를 주변의 다른 공기로 채우게 되니까요! | ||
|- | |- | ||
| | | | ||
| |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
| | |황사는 모래, 미세먼지는 주로 공장에서 생산된 부산물. | ||
|- | |- | ||
| | | | ||
| | |왜 계절마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다른가요 ? | ||
| | |지난시간에 다뤘던 해륙풍, 계절풍에 대해 보고 오세요오~ | ||
|- | |- | ||
| | | | ||
| | |계절에 따라 다른 기단이 영향을 끼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겨울에는 북태평양 기단이 영향을 끼칠 수 없나요? | ||
| | |일단, 지난시간에 다뤘던 해륙풍, 계절풍에 대해 보고 오면 알 수 있는데, 주로 차가운 기단이 힘이 세잖아요? 결코 북태평양 기단이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그 경향성을 보면 시베리아기단이 힘이 강하죠. | ||
|- | |- | ||
| | | | ||
| | |기단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요? | ||
| | |쉽지 않고, 엄청난 낭비지만... 못할 것도 없지 않나요? | ||
|- | |- | ||
| | | | ||
| | |고위도의 기온이 뜨거우면 어떻게 되나요? | ||
| | |고위도에서 생성되는 기단이 뜨거운 성질을 갖게 되겠지요오~ | ||
|- | |- | ||
| | | | ||
262번째 줄: | 367번째 줄: | ||
|- | |- | ||
|호기심 | |호기심 | ||
| | |우주의 온도는 몇인가요 | ||
| | |약 -270℃요! 전에 복사에너지를 통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했었죠? 그 방법으로 측정한거에요! | ||
|- | |- | ||
| | | | ||
| | |저위도가 뭔가요 | ||
| | |게임에서 좌표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적도를 0, 극지방을 90으로 해서 각도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표시한 게 위도죠. 이 위도가 낮은 지역을 저위도라고 합니다. | ||
|- | |- | ||
| | | | ||
| | |저희 나라는 저위도 인가요 중위도인가요? | ||
| | |중위도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 ||
|- | |- | ||
| | | | ||
| | |중국에서는 왜 미세먼지가 많이 나오나요 | ||
| | |기본적으로 사막을 포함하고 있고, 공장을 많이 가동하고 있으니까요~ | ||
|- | |- | ||
| | | | ||
| | |황사는 사막에 바람이 불어서 옮겨지는 건가요? | ||
| | |네, 요즘엔 사막의 모래 뿐 아니라 미세먼지도 많지만...ㅜ | ||
|- | |- | ||
| | | | ||
| | |중국에서 오는미세먼지가 더많나요? 아니면 한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가 더많나요? | ||
| | |연구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한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가 더 많다고 해요 | ||
https://news.joins.com/article/23637292 | |||
|- | |- | ||
| | | | ||
| | |인류가 지구에 없으면 안돼는 이유가 있나요? | ||
| | |없어도 되지 않을까? | ||
|- | |- | ||
| | | | ||
| | |우주는 공기가 없는데 왜 차가운거에요?? | ||
| | |아무리 공기가 없어도 우주 전체를 채우고 있는 복사에너지가 있거든요. | ||
|- | |- | ||
| | | | ||
| | |저희나라는 저위도인가요 고위도 인가요 | ||
| | |중위도라 보면 됩니다. | ||
|- | |- | ||
| | | | ||
| | |파장과 바람은 다르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거죠? | ||
| | |파장이 아니라, 파동을 말하는 건가? 파동은 여러 입자들의 진동을 표현한거구, 바람은 유체가 한꺼번에 움직이는거죠. | ||
|- | |- | ||
| | | | ||
| | |만약 지구가 이상해져서 고위도에서 높은 온도가 나올 수 있나요 | ||
| | |음... 지구 자전축을 바꿀 순 없어 햇빛의 양은 바꿀 수는 없겠지만... 따뜻한 바다가 갑자기 과하게 고위도로 흘러들어가면 고위도에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올 수도 있죠! | ||
|- | |- | ||
| | | | ||
| | |황사에 의해 피해받는 나라가 어느정도 인가요 | ||
| | |글쎄요;; 조사해서 발표해주면 세특에 써줌! | ||
|- | |- | ||
| | | | ||
| | |미세먼지는 무슨 기단을 타고 오나요? | ||
| | |주로 양쯔강과 편서풍의 영향을 받지 않을까요? | ||
|- | |- | ||
| | | | ||
334번째 줄: | 441번째 줄: | ||
|- | |- | ||
|헛소리 | |헛소리 | ||
| | |선생님 결혼식 가려했는데ㅜㅠㅠ넝류ㅓㅠ | ||
| | |나도 아쉽다 ㅜㅜ | ||
|- | |- | ||
| | | | ||
| | |어려운데 비정상은 아니죠..? | ||
| | |쉬운데...? 이해하면 외울 게 별로 없지. | ||
|- | |- | ||
| | | | ||
| | |내일 결혼하시나요? | ||
| | |넹. | ||
|- | |- | ||
| | | | ||
398번째 줄: | 505번째 줄: | ||
=답= | =답=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colspan="2" | | ! colspan="2"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어떤 기단을 타고 오는 걸까?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시베리아기단 | ||
| | |시베리아기단은 주로 겨울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단인데, 황사는 봄에 주로 오지 않나요?? | ||
|- | |||
|기류를타고 | |||
|그니까 어떤;;; | |||
|- | |- | ||
| | |히말라야기단 | ||
| | |이건 또 뭔 참신한 답이지;;? | ||
|- | |- | ||
| | |양쯔강 기단 | ||
| | |네... 이렇게 정상적인 대답을 듣기 힘들다니;;; | ||
|- | |- | ||
| | |양쯔강 기단 대륙에서 만들어졌고 온도가 높고 건조하기때문에 | ||
| | |잘 썼는데.. ㅎㅎ | ||
|- | |- | ||
| | |바람 | ||
| | |그니까 뭔 바람... 이 발암들아... | ||
|- | |- | ||
| | |성질이 비슷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 | ||
| | |....... | ||
|- | |- | ||
| | |쯔양기단 | ||
| | |네, 웃기려는 시도 좋았어요. | ||
|- | |- | ||
! colspan="2" | | ! colspan="2"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고위도는 기온이 낮아서 | ||
| | |||
북극처럼 추은지방과 온도가 대체로낮기때문에 | |||
고위도는 온도가 낮기때문에 | |||
고위도 지역이 차가워서 | |||
|네네. 태양빛을 비스듬하게 받아서 기본적으로 기온이 낮죠~ | |||
|- | |||
|높은곳에 있어서 | |||
|위도가 크다는 게 높이를 말하는 건 아니에요~ | |||
|- | |||
|위에있으면 차가우니까 | |||
|그 위가... 높이 위를 말하는 건 아니지;;? | |||
|- | |||
|대륙에서 만들어져서 | |||
|양쯔강 기단은 대륙에서 만들어졌어도 따뜻하지 않나요~? | |||
|- | |||
|공기가 압축되어 있어서 | |||
|압축...이라기보다 공기가 뭉쳐 있는 게 온도가 낮기 때문인데;; 연관은 있지만,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 같네요; | |||
|- |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된다. | |||
|뭘 말하려는 건진 알겠는데, 말이 조금 이상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되는 이유가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서...? | |||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가면, 공기가 따뜻해지잖아요;;;? 학생이 말한 건 차가운 기단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라고 봐야할 것 같아요.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
|- | |||
|한랭전선이 자나가면 기온이 낮아짐 | |||
|한랭전선을 지나가면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가 차가운 기단 때문이죠.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
|- | |||
|고위도는 빛을 덜받아서 | |||
고위도라 열을 덜 받아서 | |||
러시아 등의 추운 기후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갑다. | |||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고위도 지역은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 |||
고위도(바람의 고향)의 기온이 낮기 때문 | |||
|네, 가장 핵심적인 이유를 짚어준 것 같네요! | |||
|- | |- | ||
|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음,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음,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함,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함 | ||
| | |간단하게 대답해줘도 되는데;; 너무 힘 준거 아님?? ㅎㅎㅎ 그리고.. 고위도에서 발생한 건 왜 차갑냐고 물어본건데.... 그 이유에 대한 건 없네요;; | ||
|- | |- | ||
| | |차가운공기는위로올라가서 | ||
| | |???? 차가운 공기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서 아래로 가라앉아요! | ||
|- | |- | ||
| | |차가운기체는 고위도에있어서 | ||
| | |차가운 기체라서 고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고위도에 있는 기체가 차가워져요;;; | ||
|- | |- | ||
| | |상대적으로 햇빛을 덜 받아서 온도가 낮다. | ||
| | |햇빛을 덜받는다기보다 햇빛을 받는 각도가 낮아서 빛이 비교적 약하죠; 좋은 대답이에요! | ||
|- | |- | ||
! colspan="2" | | ! colspan="2"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 ||
|- | |- | ||
!답변 | !답변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저위도는 기온이 높아서 | ||
| | |||
기온이높아서 | |||
열이 많아서 | |||
배트남둥둥 저위도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서 | |||
저위도지역이 더워서 | |||
저위도 지역이 뜨거워서 | |||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저위도 지역은 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 |||
|네네. 그러하죠오오~ 따뜻한 곳에서 온 기단은 당연히 따뜻! | |||
|- | |||
|해양에서 만들어져서 | |||
|해양에서 만들어져도 차가운 기단도 있잖아요? 오호츠크해 기단이라든가.. | |||
|- | |- | ||
| | |공기가 압축되어 있지 않아서 | ||
| | |??? 압축되지 않아서 뜨겁다;;? 뜨거워서 밀도가 낮아지는 거지.. 인과관계가 정확하진 않네요; | ||
|- | |- | ||
|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따뜻한 기단이 생성된다. | ||
|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로 이동하여 영향을 미치는 건 결과고;; 왜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이 따뜻한가.. 문제에 대해 명확히 대답해주진 못했네요;;; | ||
|- | |- | ||
|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짐 | ||
|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지는 건... 따뜻한 기단의 영향에 들어와서인데,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닌 것 같아요~ | ||
|- | |- | ||
| |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아서 | ||
| | 상대적으로 햇빛을 많이 받아서 온도가 높다. | ||
|네,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는다기보단, 거의 직각으로 받아서 빛을 강하게 받죠. 그래서 기본적으로 저위도에서의 기온이 높아요. | |||
|- | |- | ||
| | |뜨거운공기는 저위도에 있어서 | ||
| | |뜨거운 공기가 저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저위도에 있으면 뜨거워지는거죠;; | ||
|} | |} |
2021년 7월 1일 (목) 05:26 기준 최신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요즘 미세먼지가 심하니 미세먼지가 어떻게 날아오는지 알면 좋다
지구인의 상식 우리나라의 사계절이 나타나는 원인인 것 같고 필요한 지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공기덩어리가 만나면 어떻게 되는지 알기 위함이고 우리나라의 사계절을 이해함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배워야한다 내가 배웠으니까 중학교과정을 익히지 못하면 하고 싶은게 생겨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수준높은 대화를 하기 위해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대류실험 |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일어나는 일.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기단[편집 | 원본 편집]
온도, 습도 등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내용 | 설명 | ||||||||||
---|---|---|---|---|---|---|---|---|---|---|---|
기단의 성질 |
| ||||||||||
대한민국 주변의 기단 |
|
전선[편집 | 원본 편집]
성질이 다른 두 유체가 만나면 잘 섞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두 유체 사이의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이 전선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 부른다.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날씨가 크게 변한다.
한랭전선과 온난전선[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한랭전선 | 온난전선 |
---|---|---|
생성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생성. |
전선의 기울기 | 급하다.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내며 파고드는 형태로, 기울기가 급하다. |
완만하다.
찬 공기 위에서 천천히 밀어내는 형태로 기울기가 완만하다. |
구름의 종류 | 적운형
기울기가 급해 전선 뒤쪽에 적운형구름이 만들어진다. |
층운형
기울기가 완만해 전선 앞쪽에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비의 종류 | 소나기 | 이슬비 |
강수지역 | 좁다(전선 뒤쪽) | 넓다(전선 앞쪽) |
이동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전선 통과 후 변화 | 기온 하강, 기압 상승 | 기온 상승, 기압 하강 |
이미지 | 한랭전선. 전선은 파란색 삼각형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온난전선. 빨강색 반원으로 진행방향이 표현된다.
|
표현, 비유 | 한랭전선은 손날로, | 온난전선은 주먹으로 표현하면 좋다. |
폐색전선과 정체전선[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폐색전선 | 정체전선 |
---|---|---|
생성 | 속도가 빠른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을 따라잡아 겹치는 상태. |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세력이 비슷해 한 곳에 머물게 되는 상태. |
이미지 | ![]() |
![]()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없음.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추운 바람은 어떤 기류를 타고오나요? | 겨울엔 시베리아기단이 큰 영향을 미치죠! |
황사가 먼지인가요? | 주로 모래요. | |
기단과 전선은 누가 발결했나요?
기단이란 개념은 누가 만들었나요? |
기단은 발견했다고 할 수 있지만, 전선은 사람이 고안한 개념이죠. 기단과 전선의 역사에 대해 조사해 발표해주면 세특에 써줄게요~ | |
기단은 어떻해 만들어지나여?
기단이 만들어지는 이유? |
해당 지역에 머무른 공기가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성질이 변하면서요~! | |
기단을 거스를수는 없나요? 예를 들어 봄과가을철에 오는 양쯔강기단을 반대로 중국으로 가게 한다던지.. 의문이 생깁니다. | 어거지로 밀어내면 되긴 하겠죠. 그런데 지구적인 움직임은 너무 크니까요. | |
기단은 4개뿐인가요?
새로운 기단이 생길 수도 있나요? 기단은 총 몇개 인가요? 기단의 종류는 4개가 다인가요? 기단은 총 몇게인가요 |
사람이 편의로 구분한 거니까, 또 새로운 특성에 따라 나눈다면 수없이 많이 나누어질 수 있겠죠~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나라에서도 다르게 가르칠거에요. | |
기단은 왜 우리나라 쪽으로 부나요? | 지구상에서 바람이 불지 않는 곳은 없는데, 그 방향이 바뀔 뿐이죠. 우리나라에서 불어나갈 때도 있고, 들어올 때도 있는거죠~ | |
기단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역사적인 부분은 선생님도 잘 모르겠네요. 조사해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기단이 다른 기단을 못 밀어낼 수도 있나요? | 네, 세력이랄까.. 힘이 비슷하면 서로 밀어내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기도 해요~ 그게 정체전선. | |
이 내용을 잘 알아두면 구름모양만 보고 전선을 구분 할 수 있겠네요 | 네, 이 단원을 시작으로 더 많은 내용을 배워야 구름모양만으로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거에요. 그걸로 예보를 하는거죠. | |
왜 계절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단이 달라지나요? | 대륙의 온도가 해양의 온도보다 빠르게 변해서 그 지역 기단의 밀도에 변화가 생겨서요. 밀도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밀어내잖아요? | |
고위도의 공기는 왜 뜨겁나요 | 고위도의 공기가 왜 뜨겁죠;;;? 차갑죠;; | |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 중위도 같은 것이 있나요? | 나누기 나름이지만, 우리나라는 중위도라고 보죠.1 | |
이상기후로 고위도 , 저위도가 온도가 같아지면 어떻게 되나요? | 온도가 같아지고 공기의 밀도가 같아지면 기압차이가 나지 않아 바람이 불지 않을거에요! | |
적도 보다 밑에 있는 남극에서는 기단이 오지 않나요? | 네, 너무 멀지 않나요;;; | |
중위도의 특성이 궁금합니다 | 편서풍이 있고.. 하강기류가 만들어져 날씨가 맑은 편입니다~ | |
왜 시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기단의 종류가 다른가요? | 시간에 따라 기단의 온도가 달라지니, 기단의 힘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 |
태풍도 기단의 영향인가요 | 태풍은 강한 저기압이에요~ | |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가 반대로되면 우리나라에 오는 기단도 바뀌나요? | 네, 당연하죠. | |
기단의 순서나 방향이 갑자기 바뀔수도 있나요? | 이상기후가 생긴다면 충분히 그럴 수 있죠~ | |
기단끼리 힘이 같아져서 정체전선이 생기면 위로 올라가면서 토네이도 같은게 만들어지나요? | 토네이도같은 건 강력한 저기압이구, 정체전선에서 내리는 비랑은 달라요~ 정체전선이 만들어지면 장마가 온다고 보면 됩니다~ | |
봄바람은 춥지도 덥지도 않은데 두 기단이 겹쳐서 오는 바람이 있나요? | 겹쳐서 온다기보단 중간지역에서 불어온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 |
기단이 저위도와 고위도에서 온도가 다른데 그 중간 지점이 있나요 | 두 기단이 불어오는 근원의 중간지점이라 보아도 괜찮을 것 같아요오~ | |
가장 많은(?) 기단을 가진 지역도 있을까요. | 지역 하나에 기단 하나가 생기죠~ 그래도 우리나라는 위는 대륙, 아래는 바다라서 4개나 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 같나요! | |
기단이 안오는 경우도 있나요? | 네, 정체전선이 만들어지면 그 상태에서 거의 멈춰있다고 보면 되죠~ | |
두 종류의 기단이 같이 움직일수 있나요? (예를 들어 한기단은 위치가 낮고, 다른 기단은 위치가 높아서 서로 안겹치지만 같이 움직이는 거요) |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 아래 있기 때문에 힘이 비슷한 두 기단이 함께 동쪽으로 움직이곤 하죠. | |
4가지말고 다른기단도 있나요 있다면 언제배우나요 | 미안해요; 지구과학전공이 아니라 저도 4가지만 배웠네요. 더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조사해서 알려준다면 세특에 써줌! | |
바이러스도 기단을 타고 오나요 | 올 순 있겠지만,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오다가 죽을듯??? | |
기단이 바람이에요? | 아뇨~ 바람과 달라요~ 기단은 공기덩어리, 이 공기덩어리가 이동하면 바람이 되지요오~ | |
양쯔강이어디있는강인가요 | 중국 대륙 중앙부! | |
소나기 구름은 보통 어디서부터 오나요 | 어디서부터 온다기보단... 다른 곳에서 온 공기가 상승해 우리가 있는 곳에서 만들어지죠오~ | |
기단에 가스 같은 것도 딸려서 오나요 | 기단은 성질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 가스는 기체. 딸려올 수 있죠. | |
상층기류가 우리나라 중국발 황사를 막아줄까요? | 상승기류..를 말하는거죠? 우리나라에서 상승기류가 생기면 중국에서 오는 공기를 더 빨아들이게 되죠. 그 빈 자리를 주변의 다른 공기로 채우게 되니까요! | |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황사는 모래, 미세먼지는 주로 공장에서 생산된 부산물. | |
왜 계절마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다른가요 ? | 지난시간에 다뤘던 해륙풍, 계절풍에 대해 보고 오세요오~ | |
계절에 따라 다른 기단이 영향을 끼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겨울에는 북태평양 기단이 영향을 끼칠 수 없나요? | 일단, 지난시간에 다뤘던 해륙풍, 계절풍에 대해 보고 오면 알 수 있는데, 주로 차가운 기단이 힘이 세잖아요? 결코 북태평양 기단이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그 경향성을 보면 시베리아기단이 힘이 강하죠. | |
기단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요? | 쉽지 않고, 엄청난 낭비지만... 못할 것도 없지 않나요? | |
고위도의 기온이 뜨거우면 어떻게 되나요? | 고위도에서 생성되는 기단이 뜨거운 성질을 갖게 되겠지요오~ | |
호기심 | 우주의 온도는 몇인가요 | 약 -270℃요! 전에 복사에너지를 통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했었죠? 그 방법으로 측정한거에요! |
저위도가 뭔가요 | 게임에서 좌표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적도를 0, 극지방을 90으로 해서 각도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표시한 게 위도죠. 이 위도가 낮은 지역을 저위도라고 합니다. | |
저희 나라는 저위도 인가요 중위도인가요? | 중위도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 |
중국에서는 왜 미세먼지가 많이 나오나요 | 기본적으로 사막을 포함하고 있고, 공장을 많이 가동하고 있으니까요~ | |
황사는 사막에 바람이 불어서 옮겨지는 건가요? | 네, 요즘엔 사막의 모래 뿐 아니라 미세먼지도 많지만...ㅜ | |
중국에서 오는미세먼지가 더많나요? 아니면 한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가 더많나요? | 연구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한국에서 생기는 미세먼지가 더 많다고 해요 | |
인류가 지구에 없으면 안돼는 이유가 있나요? | 없어도 되지 않을까? | |
우주는 공기가 없는데 왜 차가운거에요?? | 아무리 공기가 없어도 우주 전체를 채우고 있는 복사에너지가 있거든요. | |
저희나라는 저위도인가요 고위도 인가요 | 중위도라 보면 됩니다. | |
파장과 바람은 다르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거죠? | 파장이 아니라, 파동을 말하는 건가? 파동은 여러 입자들의 진동을 표현한거구, 바람은 유체가 한꺼번에 움직이는거죠. | |
만약 지구가 이상해져서 고위도에서 높은 온도가 나올 수 있나요 | 음... 지구 자전축을 바꿀 순 없어 햇빛의 양은 바꿀 수는 없겠지만... 따뜻한 바다가 갑자기 과하게 고위도로 흘러들어가면 고위도에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올 수도 있죠! | |
황사에 의해 피해받는 나라가 어느정도 인가요 | 글쎄요;; 조사해서 발표해주면 세특에 써줌! | |
미세먼지는 무슨 기단을 타고 오나요? | 주로 양쯔강과 편서풍의 영향을 받지 않을까요? | |
기타 | ||
헛소리 | 선생님 결혼식 가려했는데ㅜㅠㅠ넝류ㅓㅠ | 나도 아쉽다 ㅜㅜ |
어려운데 비정상은 아니죠..? | 쉬운데...? 이해하면 외울 게 별로 없지. | |
내일 결혼하시나요? | 넹. |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어떤 기단을 타고 오는 걸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시베리아기단 | 시베리아기단은 주로 겨울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단인데, 황사는 봄에 주로 오지 않나요?? |
기류를타고 | 그니까 어떤;;; |
히말라야기단 | 이건 또 뭔 참신한 답이지;;? |
양쯔강 기단 | 네... 이렇게 정상적인 대답을 듣기 힘들다니;;; |
양쯔강 기단 대륙에서 만들어졌고 온도가 높고 건조하기때문에 | 잘 썼는데.. ㅎㅎ |
바람 | 그니까 뭔 바람... 이 발암들아... |
성질이 비슷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 | ....... |
쯔양기단 | 네, 웃기려는 시도 좋았어요. |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차가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고위도는 기온이 낮아서
북극처럼 추은지방과 온도가 대체로낮기때문에 고위도는 온도가 낮기때문에 고위도 지역이 차가워서 |
네네. 태양빛을 비스듬하게 받아서 기본적으로 기온이 낮죠~ |
높은곳에 있어서 | 위도가 크다는 게 높이를 말하는 건 아니에요~ |
위에있으면 차가우니까 | 그 위가... 높이 위를 말하는 건 아니지;;? |
대륙에서 만들어져서 | 양쯔강 기단은 대륙에서 만들어졌어도 따뜻하지 않나요~? |
공기가 압축되어 있어서 | 압축...이라기보다 공기가 뭉쳐 있는 게 온도가 낮기 때문인데;; 연관은 있지만,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것 같네요;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된다. | 뭘 말하려는 건진 알겠는데, 말이 조금 이상해; 차가운 기단이 생성되는 이유가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서...?
찬 공기가 따뜻한 곳으로 가면, 공기가 따뜻해지잖아요;;;? 학생이 말한 건 차가운 기단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라고 봐야할 것 같아요.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한랭전선이 자나가면 기온이 낮아짐 | 한랭전선을 지나가면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가 차가운 기단 때문이죠. 질문의 의도와는 다른 답! |
고위도는 빛을 덜받아서
고위도라 열을 덜 받아서 러시아 등의 추운 기후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갑다.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고위도 지역은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고위도(바람의 고향)의 기온이 낮기 때문 |
네, 가장 핵심적인 이유를 짚어준 것 같네요! |
고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낮음, 저위도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기온이 높음, 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건조함, 바다에서 만들어진 기단은 습함 | 간단하게 대답해줘도 되는데;; 너무 힘 준거 아님?? ㅎㅎㅎ 그리고.. 고위도에서 발생한 건 왜 차갑냐고 물어본건데.... 그 이유에 대한 건 없네요;; |
차가운공기는위로올라가서 | ???? 차가운 공기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서 아래로 가라앉아요! |
차가운기체는 고위도에있어서 | 차가운 기체라서 고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고위도에 있는 기체가 차가워져요;;; |
상대적으로 햇빛을 덜 받아서 온도가 낮다. | 햇빛을 덜받는다기보다 햇빛을 받는 각도가 낮아서 빛이 비교적 약하죠; 좋은 대답이에요! |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은 왜 뜨거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저위도는 기온이 높아서
기온이높아서 열이 많아서 배트남둥둥 저위도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서 저위도지역이 더워서 저위도 지역이 뜨거워서 기단은 만들어지는 지역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데, 저위도 지역은 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
네네. 그러하죠오오~ 따뜻한 곳에서 온 기단은 당연히 따뜻! |
해양에서 만들어져서 | 해양에서 만들어져도 차가운 기단도 있잖아요? 오호츠크해 기단이라든가.. |
공기가 압축되어 있지 않아서 | ??? 압축되지 않아서 뜨겁다;;? 뜨거워서 밀도가 낮아지는 거지.. 인과관계가 정확하진 않네요;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해 따뜻한 기단이 생성된다.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로 이동하여 영향을 미치는 건 결과고;; 왜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이 따뜻한가.. 문제에 대해 명확히 대답해주진 못했네요;;;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짐 | 온난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높아지는 건... 따뜻한 기단의 영향에 들어와서인데,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닌 것 같아요~ |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아서
상대적으로 햇빛을 많이 받아서 온도가 높다. |
네, 저위도는 빛을 많이.. 받는다기보단, 거의 직각으로 받아서 빛을 강하게 받죠. 그래서 기본적으로 저위도에서의 기온이 높아요. |
뜨거운공기는 저위도에 있어서 | 뜨거운 공기가 저위도에 있는 게 아니라... 저위도에 있으면 뜨거워지는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