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낙하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r /> | <br /> | ||
{{15개정 중3 | {{15개정 과학 중3}} | ||
==배우는 이유== | ==배우는 이유==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이유 | 이유 | ||
| | | | ||
* 물체의 속도와 그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알면 일정한 시간 후의 위치를 예상할 수 있다. | *물체의 속도와 그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알면 일정한 시간 후의 위치를 예상할 수 있다. | ||
* 자유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 *자유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 ||
* 행성 뒤에 가려진, 중력의 영향을 받는 우주선의 위치를 예측하는 등 운동하는 물체의 예상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 *행성 뒤에 가려진, 중력의 영향을 받는 우주선의 위치를 예측하는 등 운동하는 물체의 예상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 ||
|- | |- | ||
!학문적 | !학문적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모든 물체는 한 자리에 있지 않는다. 추진력이나 마찰력을 받아 속도가 커지거나 줄어든다. 이런 속도의 변화를 가속도라고 하는데, 자유낙하운동은 가속도가 일정한, 가장 간단한 가속 운동이다. | |모든 물체는 한 자리에 있지 않는다. 추진력이나 마찰력을 받아 속도가 커지거나 줄어든다. 이런 속도의 변화를 가속도라고 하는데, 자유낙하운동은 가속도가 일정한, 가장 간단한 가속 운동이다. | ||
이후의 모든 가속운동을 다루기 위한 기초이다. | 이후의 모든 가속운동을 다루기 위한 기초이다. | ||
|- | |||
!너희들은? | |||
|공기저항이 있을 때 를 배우기 위해서는 없을 때 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헐... 어떻게 이런 발상을;;;?!) | |||
우주 관련된 직업 요런쪽은 배우면 좋을것 같다. -> 우주 쪽 뿐만 아니라, 공학 관련 계열이라면 상식. | |||
앞으로 배워나갈 내용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물론 이러한 내용을 많이 알수록 더 넓은 시야로 더 많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 |} | ||
==도입== | ==도입== | ||
45번째 줄: | 52번째 줄: | ||
|우주에서 질량이 다른 물체를 동시에 떨어뜨릴 때 | |우주에서 질량이 다른 물체를 동시에 떨어뜨릴 때 | ||
|https://cls3.edunet.net/play/view.do?e=oVJ4Y4CYI&n=0 | |https://cls3.edunet.net/play/view.do?e=oVJ4Y4CYI&n=0 | ||
|- | |||
|그래프를 직접 그리며 물체의 운동 조절 | |||
|https://www.desmos.com/ | |||
|} | |} | ||
66번째 줄: | 76번째 줄: | ||
|같은 질량의 무게를 낙하시킬 때 | |같은 질량의 무게를 낙하시킬 때 | ||
|물체가 무겁든 가볍든 공기저항이 없다면 가속도는 <math>9.8m/s^2</math>인데, 이를 중력가속도라 부른다. | |물체가 무겁든 가볍든 공기저항이 없다면 가속도는 <math>9.8m/s^2</math>인데, 이를 중력가속도라 부른다. | ||
질량이 다른 물체가 동시에 떨어질 수 있는 것은, 중력이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code>중력=9.8*질량</code> | 질량이 다른 물체가 동시에 떨어질 수 있는 것은, 중력이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code>중력=9.8*질량</code> | ||
|} | |} | ||
===전개질문=== | ===전개질문=== | ||
#떨어뜨린 물체가 |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질량이 5kg인 물체의 중력의 크기는?(2반 조성민의 문제) | |||
# | # | ||
94번째 줄: | 102번째 줄: | ||
!질문 | !질문 | ||
!대답 | !대답 | ||
|- | |||
|개념 | |||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
|중력의 영향으로, 힘을 받아서 가속하는거죠! | |||
|- | |- | ||
| | | | ||
|자유 낙하 하는 물체는 무게와 상관없이 동시에 지면에 도착하다는데 진공상태에서만 그런것인가요? | |||
|네, 공기저항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그렇죠. | |||
그런데, 일상에서도 쇠구슬 같은 경우처럼 공기저항보다 중력이 압도적으로 클 때엔 질량이 달라도 동시에 지면에 도착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
|- | |||
| | | | ||
|진공이 뭔가요 | |||
|공기가 없는 상태! | |||
|- | |||
| | | | ||
|진공 상태에서 무거운 물체, 가벼운 물체를 떨어뜨리면 어떻게 되나요? | |||
|진공상태에서라면 공기저항은 없고 중력의 영향만 있겠죠. 같이 떨어집니다. | |||
|- | |- | ||
| | | | ||
|달과 지구의 중력의 크기는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 |||
|달의 중력이 지구의 1/6 정도에요~ | |||
|- | |||
| | |||
|달에서는 지구의 무게에 6분에 1밖에 되지 못 한다고 아는데요 그럼 10키로자리를 지구에서 60키로짜리를 달에서 떨어뜨리면 어떤가요? | |||
|달의 무게가 1/6인 게 아니라, 달에서의 중력이 1/6만큼 작은 거죠~ 저렇게 물체를 떨어뜨릴 때 들고 있는 힘은 똑같겠지만, 중력가속도가 달라서 지구에서 더 빨리 떨어지죠~ | |||
|- | |||
| | | | ||
|다른 행성에서의 중력도 확인이 되어있나요? | |||
|네. 인터넷 검색하면 금방 나와요~ | |||
|- | |||
| | | | ||
|자유낙하운동을 자연에서 볼수있나요 | |||
|완벽한 자유낙하운동은 있을 수 없겠지만, 쇠구슬을 떨어뜨리는 게 자유낙하운동이라 볼 수 있죠. | |||
|- | |||
| | |||
|무거운 물체는 바로 떨어지는데 왜 휴지는 그렇지 않나요? | |||
|공기저항을 받기 때문이죠~ | |||
|- | |||
| | |||
|진공 상태면 물체가 떨어지는 속도가 같은데 그럼 달도 진공상태인가요? | |||
|네, 달에서 숨쉬기 가능? | |||
|- | |||
| | |||
|만약 피아노 만큼 무거운 물체도 공기 저항을 많이 받으면 늦게 떨어지나요? | |||
|당연! | |||
|- | |||
| | |||
|무거운물체와 가벼운물체가 동시에 떨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 |||
|무거운 물체일수록 중력을 크게 받는데, 무거울수록 가속시키기가 어렵죠. 때문에 모든 물체가 낙하하는 속도는 같아요.(공기저항이 없을 때) | |||
|- | |||
| | |||
|똑같은 무게인 물체를 동시해 던지면 똑같은 속력으로 떨어지나요 | |||
|네. | |||
|- | |||
| | |||
|진공 상태에서는 자동차와 모래알도 같은 속도로 떨어지나요? | |||
|네, 당연. | |||
|- | |||
| | |||
|그럼 공기저항이 없다고 가정을 했을때는 다 동시에 떨어지나요?? | |||
|네. | |||
|- | |||
| | |||
|자유낙하 하는 물체는 시간이 지나면 점점 떨어지면서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한다는데 그러지 않는 물체는 없나요? | |||
|네. 없어요.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동등하게 받으니까요. | |||
|- | |||
| | |||
|자유낙하운동의 특성을 이용한 실생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은 낙하산밖에 생각이 안나요. | |||
중력가속도가 쓰인것중에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 |||
|낙하산은 자유낙하의 특성보다는.. 공기저항을 이용한 도구죠. | |||
자유낙하 자체를 이용해 활용하는 도구는 많지 않을 것 같아요. 공사장에서 쓰는 철골을 박을 때 높은 위치에서 쇳덩어리를 떨어뜨려 망치로 쓰곤 하죠. | |||
|- | |||
| | |||
|공기 저항이 없을때 물체가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자유낙하 운동이라 하는데 공기 저항이 있을때의 이러한 운동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 |||
|딱히 지칭하는 명칭은 없지만.. 그냥 낙하라고 하면 될 것 같아요~ | |||
|- | |||
| | |||
|우주는 왜 진공상태인가요? | |||
|너무 넓어서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많은거죠.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의 중력에 의해 잡아당기게 되어 뭉쳐있게 됩니다. | |||
|- | |||
| | |||
|물체가 떠러지면 점점 속도가 무한으로 커지나요? | |||
|떨어지는 데엔 끝이 있지만.. 만약 무한하게 떨어질 수 있다면 무한으로 속력이 커지겠지요. | |||
|- | |||
| | |||
|달 10km 높이에서 컨테이너를 떨어제지는 속도보다 보다 지구 10km높이 휴대폰을 떨어지는 빠른가요? | |||
|해봐야 알 것 같은데.. 휴대폰의 공기저항에 대해 조사한 자료가 있을까;;? | |||
|- | |||
| | |||
|무거운 물체랑 가벼운 물체 랑 떨어지는 속도가 한치의 오차도 없이 떨어지나요? | |||
|네. 공기저항이 없다면. | |||
|- | |||
| | |||
|무겁지만 면적이 넓은 물체와 면적이 좁고 가벼운 물체를 동시에 자유낙하 시켰을 때 가벼운것이 먼저 떨어지게 면적의 비율과 무게를 조절하면 가벼운게 먼저 떨어지나요? | |||
|네. 중력대 공기저항 비율로 떨어지는 속도가 결정되는거니까, 충분히 가능해요. | |||
|- | |||
| | |||
| | |||
| | |||
|- | |||
|호기심 | |||
|자유낙하에서 출발 속도를 빠르게 던지면 속도가 줄어드나요 빨라지나요? | |||
|공기저항과 중력의 크기가 같아지면 등속운동을 하게 되서 최종 속도는 어차피 같겠지만.. 더 빠르게 낙하할 수 있죠! | |||
|- | |||
| | |||
|달에도 중력이 있나요? | |||
달과 지구의 중력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 |||
|달이 지구의 1/6 정도라고 해요~ | |||
|- | |||
| | |||
|태양에도 중력이있나요? | |||
|당연, 태양도 질량덩어리잖아요? | |||
|- | |||
| | |||
|우주에서 지구에 대한 정지궤도로 물체를 던진다면 달처럼 계속하여 지구를 중심으로 돌까요? | |||
그리고 만약 질량이 달라도 속력은 같을 까요? | |||
|네, 달도 지구의 위성이잖아요? 인공적으로 만든 위성도 위치와 속도만 제대로 잡아주면 달처럼 돌아요~ | |||
중력가속도는 어떤 물체에서든 같기 때문에 질량이 달라도 가속도는 같답니다~ | |||
만약, 질량에 따라 속력이 다르다면.. 우주정거장은 무거워서 속력이 빠른데, 사람은 가벼워서 속력이 느려.. 다들 벽에 부딪혀 죽지 않을까요? | |||
|- | |||
| | |||
|달에선 중력이 없지않나요? 어떻게 달에서 물건이 떨어지나요? | |||
|달에도 중력은 있어요! 어떤 물체든 질량을 갖고 있으면 중력이 있어요! 심지어 제게도 여러분을 당기는 만유인력이 있습니다! | |||
|- | |||
| | |||
|가속이 가장 잘 붙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
|가속을 주는 힘 외의 다른 힘들을 제거해주는 거겠죠. 공기저항이라든가, 마찰이라든가~ | |||
|- | |||
| | |||
|무중력에서도 물건을 떨어뜨리면 떨어지는건가요? | |||
|무중력에서 물건을 떨어뜨리면 가속되진 않지만, 처음에 떨어뜨린 속도로 떨어져요~ 지난번 시간에 배웠듯,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등속운동을 해요~ | |||
|- | |||
| | |||
|중력에 대하여 설명할때 크다고해요, 세다고해요? | |||
|문맥에 따라 이해하면 될 것 같은데, 둘 다 맞는 말이죠. | |||
|- | |||
| | |||
|지구에서 볼링공과 깃털을 동시에 떨어트리면 무조건 볼링공이 먼저 떨어지는데 달에서 똑같은 실험을하면 둘이 동시에 떨어지는건가요? | |||
|네, 공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저항을 받지 않아요. | |||
지구에서 깃털이 늦게 떨어지는 이유는 공기저항 때문이잖아요~! | |||
|- | |||
| | |||
|중력을 제일 먼저 발견한 사람이 누군가요? | |||
|물체를 땅으로 당기는 힘을 발견..했다기엔 아이때부터 볼 수 있잖아요? 모든 물체는 땅으로 떨어진다는.. 누가 발견했다고 보긴 어렵고.. | |||
땅의 중력과, 하늘의 별들을 움직이는 하늘의 힘이 근본적으로 같음을, 모든 물체는 만유인력을 갖고 있음을 발견한 건 뉴턴이에요. | |||
|- | |||
| | |||
|가속도가 늘어나는 이유. | |||
|가속도가 늘어난다고요??? 오늘 우리는 가속도가 변하지 않는 운동에 대해 한 건데.. 힘이 커지면 가속도가 커져요. | |||
|- | |||
| | |||
|달에 왜 공기가 없나요. | |||
|달엔 중력이 작아서 공기분자들이 달을 빠져나가버리고 말아요. | |||
|- | |||
| | |||
|달에는 왜 중력이 약하죠 | |||
|달의 질량이 작아서요~ | |||
|- | |||
| | |||
|중력 가속도가 9.8m/s^2인이유 | |||
|중력은 만유인력의 한 형태이죠. 즉, 중력은 행성의 질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구의 질량과 지구의 반지름에 의해 9.8m/s^2이 되죠. 고등학생이 되면 중력가속도 값을 구하는 방법을 배울거에요~ | |||
|- | |||
| | |||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의 차는 어느정도임니까 | |||
|1학년 때 나와서 다 잊어버렸죠~ 1/6 정도 된다고 해요~ | |||
|- | |||
| | |||
|비도 하늘에서 떨어지는데 왜 아프지 않나요? | |||
|공기저항 때문에 속도를 제대로 못내기 때문이죠~ | |||
|- | |||
| | |||
|진공상태가 되면 공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더 빨리 떨어져야하는데 왜 달에선 늦게 떨어지나요. | |||
|그만큼 중력이 약해서요~ | |||
|- | |||
| | |||
|달은 지구보다 높이 있어서 중력의 영향을 조금 받는건가요? 아니면 대기권 문제로 조금 받는건가요 ? | |||
|달은 질량이 작아서 중력의 크기가 작아요~ | |||
|- | |||
| | |||
|우주에선 모든 물건이 속력이 같나요? | |||
|대기가 없을 때, 낙하하는 속도가 같을 뿐, 행성마다 떨어지는 속도는 다 달라요~ | |||
|- | |||
| | |||
|속력이랑 속도가다른가요? | |||
|네, 비슷하지만 달라요. 속도는 빠르기 뿐 아니라 방향까지 포함해요. 속도가 더 큰 개념인데, 고등학교에 가면 배울거에요~ | |||
|- | |||
| | |||
|가속을 잘하는 방법이 있나요? | |||
|공기저항을 줄이면 잘 되겠죠. 그래서 자전거 경주에서 그렇게 얇은 자전거를 타고, 타이즈를 입는 거에요~ | |||
|- | |||
| | |||
|중력이 젤 무거운곳은 태양계중 어딘가요 | |||
|태양계 안에선... 태양이요. | |||
|- | |||
| | |||
|중력이 있는 행성과 적은 행성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중력이 없는 행성도 있나요? | |||
달이나 지구 이외에 태양계 행성들 중에 중력이 있는 곳이 있나요? | |||
|행성의 질량 차이요~ 중력이 없는 행성은 없어요~ 저도 중력을 가졌는걸요오~ | |||
|- | |||
| | |||
|화성은 중력이 지구와 똑같나요? | |||
|아뇨, 행성의 질량과 크기가 다르니, 중력도 다르죠. 지구 중력의 37.5%밖에 안된다네요. | |||
|- | |||
| | |||
|화성의 중력가속도는 얼만가요 그리고 멀리 떨어진 행성의 중력가속도는 어떻게 구하나요? | |||
|멀리 떨어진 행성 주변의 위성들이 도는 속도를 보고 측정하거나, 해당 위치로 로봇을 보내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죠~ | |||
|- | |||
| | |||
|중력의 영향을 받지않는 물체가 있나요 ? | |||
|그런 물체 발견하면 노벨상. | |||
|- | |||
| | |||
|왜 가속도의 단위는 m/s2 인가요? | |||
|속도의 단위가 m/s 이고,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게 가속도라서 시간으로 한 번 더 나누잖아요? 그래서 m/s^2. | |||
|- | |||
| | |||
|모양이 완전히 똑같지만 질량이 달라도 동시에 떨어지나요? | |||
|네, 공기저항을 안받는다면요. | |||
|- | |||
| | |||
|우주는 얼마나 넓은 가요? | |||
|글쎄요, 학자마다 말하는 게 달라서요. 제 대답은.. 네 꿈의 크기만큼. | |||
|- | |||
| | |||
|그러면 지구처럼 중력이 큰 행성이있나요? | |||
|네, 지구보다 중력이 더 큰 행성도 있죠. | |||
|- | |||
| | |||
|물체가 떨어지는 속도는 어떻게 재나요? | |||
|스피드건이나 레이저 등으로 측정할 수 있죠. | |||
|- | |||
| | |||
|비행기가 낙하할 때 잠시 중력이 낮아지나요? | |||
|아뇨, 어떻게 이런 질문을 떠올렸죠? | |||
|- | |||
| | |||
|중력이 엄청 강하면 몸이 찌러지나요? | |||
|네 | |||
|- | |||
| | |||
|가속도의 단위는 /s만 있나요? | |||
|단위는 써넣기 나름이죠. km/s^2을 쓸 수도 있고.. | |||
|- | |||
| | |||
|중력이 아예 없다면 어떻게되나요? | |||
|우주와 비슷한 환경이 되겠죠~ 공기도 우주로 도망갈테고.. | |||
|- | |||
| | |||
|태양계에서 중력이 가장 큰 행성은 무엇인가요. | |||
|목성이요. 검색하면 행성별 중력을 찾을 수 있어요~ | |||
|- | |||
| | |||
|가속을 최대한 늘리는법은용?? | |||
|힘을 세게 가해주거나 공기저항을 없애는 방식으로 디자인하면 되겠죠~ | |||
|- | |||
| | |||
| | |||
| | |||
|- | |||
|기타 | |||
|자유낙하운동말고 다른운동이 있나요? | |||
|네. 원운동, 왕복운동 등 이름붙이기 나름이죠~ | |||
|- | |||
| | |||
|개미가 50층에서 떨어지면 살아요? | |||
|몰라요. | |||
|- | |||
| | |||
| | |||
| | |||
|- | |||
|헛소리 | |||
|시험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 |||
|오리엔테이션에서 말했어요; | |||
|- | |||
| | |||
|잠은 잘 자셨나요? | |||
|이런거 안물어보면 좋겠는데.. 요새 잠을 늦게 잤어요; 위키의 데이터를 담아둔 DB를 건들다가 계속 망가뜨려서요;; | |||
|- | |||
| | |||
|달에 가보셨나요 | |||
|아뇨. 집이 좋습니다. | |||
|- | |||
| | |||
|우주가보셨나요 | |||
|우주는 항상 나를 보고 있죠. | |||
|- | |||
| | |||
|너무 졸리네요.. | |||
|세수하고 오세요. | |||
|- | |||
| | |||
|우주에서 오줌넣으면 날라다니나요? | |||
|네, 그렇겠죠. | |||
|} | |} | ||
115번째 줄: | 412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형태=mw-collapsed toccolours}} | |형태=mw-collapsed toccolours}}<br /> | ||
===수업 후, 흥미로운 것=== | |||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uwYGXb0TGF8</youtube> | |||
<br /> | |||
=답= | =답=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123번째 줄: | 427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무거운 물체 | ||
| | |보통 무거운 물체가 먼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쉬워요~ | ||
같은 물체를 줄로 묶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러면 줄로 묶어 탄생한 새로운 물체는 기존 물체보다 무거워졌죠. 줄로 묶은 물체가 물로 묶기 전보다 빨리 떨어질까요?? | |||
|- | |||
|가벼운 물체 | |||
|일반적으로 공기저항 때문에 무거운 물체가 먼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궁금궁금! | |||
|- | |||
|동시에 떨어진다. | |||
|이 말은 사실 진공상태에서만 맞는 말이에요. 공기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가 동시에 떨어집니다. | |||
|- | |||
|동시에 떨어진다 (이때 동시에 떨어지는 이유는 중력가속도는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 |||
|중력가속도가 질량에 비례한다기보단 중력이 질량에 비례해 중력가속도는 모든 물체에서 같아요! | |||
|- | |- | ||
| | |진공 : 동시에 떨어진다. | ||
| | |||
진공 X : 공기 저항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것이 빨리 떨어진다. | |||
공기저항이 없다면 동시에 떨어진다. | |||
가벼운물체가 깃털처럼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는 물체가 아니라면 둘다 같이 떨어집니다. | |||
|적절한 답이네요. | |||
|- | |- | ||
! colspan="2"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colspan="2"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134번째 줄: | 455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중력가속으로 인한 가속 9.8m/s제곱 때문에. | ||
| | |||
가속하는 방향으로 중력의 힘을 받기 때문이다. | |||
일정한 크기의 중력을 계속 받기 때문이다. | |||
|네 중력으로 인해 힘을 받기 때문이죠. 힘을 받으면 물체는 가속한다고 1학년 때 배웠습니다~ | |||
|- | |||
|공기의 힘을 받기 때문에 | |||
|공기의 힘을 받으면 오히려 가속이 방해되지 않을까요? | |||
|- | |||
|힘을 받기 때문 | |||
|어떤 힘을 받았는지 써주었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
|- | |- | ||
! colspan="2" |지구와 달에서 물체의 낙하속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 colspan="2" |지구와 달에서 물체의 낙하속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
142번째 줄: | 473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달로가면 진공상태가 되기때문 | ||
| | 달에는 공기저항이 없어서 | ||
|진공상태가 되면 공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더 빨리 떨어져야 하는데, 달에선 늦게 떨어지잖아요? ㅎㅎㅎ 왜 달에선 느리게 떨어질까요? | |||
|- | |||
|중력의 크기가 달라서 인가요? | |||
중력이 달라서이다. | |||
달은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 |||
|네, 중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
|- | |||
|지구보다 달의 질량이 작아서 중력이 작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 |||
|네, 행성의 질량에 따라 행성 위에서의 중력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 |||
|- | |||
|지구에는 중력이 있기때문에 | |||
지구에는 중력이라는것이 있지만 달은 무중력이기 때문이다 | |||
|달에도 중력은 있어요~ | |||
|} | |} |
2023년 2월 2일 (목) 03:03 기준 최신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이전시간엔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에 대해 배웠는데, 속력이 변하면 어떻게 될까? 속력의 변화는 어떻게 표현할까?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 높은 곳에서 던지면 어떤 게 먼저 떨어질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모든 물체는 한 자리에 있지 않는다. 추진력이나 마찰력을 받아 속도가 커지거나 줄어든다. 이런 속도의 변화를 가속도라고 하는데, 자유낙하운동은 가속도가 일정한, 가장 간단한 가속 운동이다.
이후의 모든 가속운동을 다루기 위한 기초이다. |
너희들은? | 공기저항이 있을 때 를 배우기 위해서는 없을 때 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헐... 어떻게 이런 발상을;;;?!)
우주 관련된 직업 요런쪽은 배우면 좋을것 같다. -> 우주 쪽 뿐만 아니라, 공학 관련 계열이라면 상식. 앞으로 배워나갈 내용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물론 이러한 내용을 많이 알수록 더 넓은 시야로 더 많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수학적인 사고가 필요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합니다.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자유낙하운동의 분석 | https://cls3.edunet.net/play/view.do?e=UZuDR4pf3&n=0 |
우주에서 질량이 다른 물체를 동시에 떨어뜨릴 때 | https://cls3.edunet.net/play/view.do?e=oVJ4Y4CYI&n=0 |
그래프를 직접 그리며 물체의 운동 조절 | https://www.desmos.com/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개념 | 설명 |
---|---|
가속도 | 속력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지 나타내는 물리량.
속력변화/시간 단위는 등이 쓰인다. |
그래프 | 등가속도운동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형태다.
|
같은 질량의 무게를 낙하시킬 때 | 물체가 무겁든 가볍든 공기저항이 없다면 가속도는 인데, 이를 중력가속도라 부른다.
질량이 다른 물체가 동시에 떨어질 수 있는 것은, 중력이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질량이 5kg인 물체의 중력의 크기는?(2반 조성민의 문제)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지구와 달에서 물체의 낙하속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 질문 | 대답 |
---|---|---|
개념 |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중력의 영향으로, 힘을 받아서 가속하는거죠! |
자유 낙하 하는 물체는 무게와 상관없이 동시에 지면에 도착하다는데 진공상태에서만 그런것인가요? | 네, 공기저항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그렇죠.
그런데, 일상에서도 쇠구슬 같은 경우처럼 공기저항보다 중력이 압도적으로 클 때엔 질량이 달라도 동시에 지면에 도착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
진공이 뭔가요 | 공기가 없는 상태! | |
진공 상태에서 무거운 물체, 가벼운 물체를 떨어뜨리면 어떻게 되나요? | 진공상태에서라면 공기저항은 없고 중력의 영향만 있겠죠. 같이 떨어집니다. | |
달과 지구의 중력의 크기는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 달의 중력이 지구의 1/6 정도에요~ | |
달에서는 지구의 무게에 6분에 1밖에 되지 못 한다고 아는데요 그럼 10키로자리를 지구에서 60키로짜리를 달에서 떨어뜨리면 어떤가요? | 달의 무게가 1/6인 게 아니라, 달에서의 중력이 1/6만큼 작은 거죠~ 저렇게 물체를 떨어뜨릴 때 들고 있는 힘은 똑같겠지만, 중력가속도가 달라서 지구에서 더 빨리 떨어지죠~ | |
다른 행성에서의 중력도 확인이 되어있나요? | 네. 인터넷 검색하면 금방 나와요~ | |
자유낙하운동을 자연에서 볼수있나요 | 완벽한 자유낙하운동은 있을 수 없겠지만, 쇠구슬을 떨어뜨리는 게 자유낙하운동이라 볼 수 있죠. | |
무거운 물체는 바로 떨어지는데 왜 휴지는 그렇지 않나요? | 공기저항을 받기 때문이죠~ | |
진공 상태면 물체가 떨어지는 속도가 같은데 그럼 달도 진공상태인가요? | 네, 달에서 숨쉬기 가능? | |
만약 피아노 만큼 무거운 물체도 공기 저항을 많이 받으면 늦게 떨어지나요? | 당연! | |
무거운물체와 가벼운물체가 동시에 떨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 무거운 물체일수록 중력을 크게 받는데, 무거울수록 가속시키기가 어렵죠. 때문에 모든 물체가 낙하하는 속도는 같아요.(공기저항이 없을 때) | |
똑같은 무게인 물체를 동시해 던지면 똑같은 속력으로 떨어지나요 | 네. | |
진공 상태에서는 자동차와 모래알도 같은 속도로 떨어지나요? | 네, 당연. | |
그럼 공기저항이 없다고 가정을 했을때는 다 동시에 떨어지나요?? | 네. | |
자유낙하 하는 물체는 시간이 지나면 점점 떨어지면서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한다는데 그러지 않는 물체는 없나요? | 네. 없어요.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동등하게 받으니까요. | |
자유낙하운동의 특성을 이용한 실생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은 낙하산밖에 생각이 안나요.
중력가속도가 쓰인것중에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
낙하산은 자유낙하의 특성보다는.. 공기저항을 이용한 도구죠.
자유낙하 자체를 이용해 활용하는 도구는 많지 않을 것 같아요. 공사장에서 쓰는 철골을 박을 때 높은 위치에서 쇳덩어리를 떨어뜨려 망치로 쓰곤 하죠. | |
공기 저항이 없을때 물체가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자유낙하 운동이라 하는데 공기 저항이 있을때의 이러한 운동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 딱히 지칭하는 명칭은 없지만.. 그냥 낙하라고 하면 될 것 같아요~ | |
우주는 왜 진공상태인가요? | 너무 넓어서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많은거죠.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의 중력에 의해 잡아당기게 되어 뭉쳐있게 됩니다. | |
물체가 떠러지면 점점 속도가 무한으로 커지나요? | 떨어지는 데엔 끝이 있지만.. 만약 무한하게 떨어질 수 있다면 무한으로 속력이 커지겠지요. | |
달 10km 높이에서 컨테이너를 떨어제지는 속도보다 보다 지구 10km높이 휴대폰을 떨어지는 빠른가요? | 해봐야 알 것 같은데.. 휴대폰의 공기저항에 대해 조사한 자료가 있을까;;? | |
무거운 물체랑 가벼운 물체 랑 떨어지는 속도가 한치의 오차도 없이 떨어지나요? | 네. 공기저항이 없다면. | |
무겁지만 면적이 넓은 물체와 면적이 좁고 가벼운 물체를 동시에 자유낙하 시켰을 때 가벼운것이 먼저 떨어지게 면적의 비율과 무게를 조절하면 가벼운게 먼저 떨어지나요? | 네. 중력대 공기저항 비율로 떨어지는 속도가 결정되는거니까, 충분히 가능해요. | |
호기심 | 자유낙하에서 출발 속도를 빠르게 던지면 속도가 줄어드나요 빨라지나요? | 공기저항과 중력의 크기가 같아지면 등속운동을 하게 되서 최종 속도는 어차피 같겠지만.. 더 빠르게 낙하할 수 있죠! |
달에도 중력이 있나요?
달과 지구의 중력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
달이 지구의 1/6 정도라고 해요~ | |
태양에도 중력이있나요? | 당연, 태양도 질량덩어리잖아요? | |
우주에서 지구에 대한 정지궤도로 물체를 던진다면 달처럼 계속하여 지구를 중심으로 돌까요?
그리고 만약 질량이 달라도 속력은 같을 까요? |
네, 달도 지구의 위성이잖아요? 인공적으로 만든 위성도 위치와 속도만 제대로 잡아주면 달처럼 돌아요~
중력가속도는 어떤 물체에서든 같기 때문에 질량이 달라도 가속도는 같답니다~ 만약, 질량에 따라 속력이 다르다면.. 우주정거장은 무거워서 속력이 빠른데, 사람은 가벼워서 속력이 느려.. 다들 벽에 부딪혀 죽지 않을까요? | |
달에선 중력이 없지않나요? 어떻게 달에서 물건이 떨어지나요? | 달에도 중력은 있어요! 어떤 물체든 질량을 갖고 있으면 중력이 있어요! 심지어 제게도 여러분을 당기는 만유인력이 있습니다! | |
가속이 가장 잘 붙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가속을 주는 힘 외의 다른 힘들을 제거해주는 거겠죠. 공기저항이라든가, 마찰이라든가~ | |
무중력에서도 물건을 떨어뜨리면 떨어지는건가요? | 무중력에서 물건을 떨어뜨리면 가속되진 않지만, 처음에 떨어뜨린 속도로 떨어져요~ 지난번 시간에 배웠듯,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등속운동을 해요~ | |
중력에 대하여 설명할때 크다고해요, 세다고해요? | 문맥에 따라 이해하면 될 것 같은데, 둘 다 맞는 말이죠. | |
지구에서 볼링공과 깃털을 동시에 떨어트리면 무조건 볼링공이 먼저 떨어지는데 달에서 똑같은 실험을하면 둘이 동시에 떨어지는건가요? | 네, 공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저항을 받지 않아요.
지구에서 깃털이 늦게 떨어지는 이유는 공기저항 때문이잖아요~! | |
중력을 제일 먼저 발견한 사람이 누군가요? | 물체를 땅으로 당기는 힘을 발견..했다기엔 아이때부터 볼 수 있잖아요? 모든 물체는 땅으로 떨어진다는.. 누가 발견했다고 보긴 어렵고..
땅의 중력과, 하늘의 별들을 움직이는 하늘의 힘이 근본적으로 같음을, 모든 물체는 만유인력을 갖고 있음을 발견한 건 뉴턴이에요. | |
가속도가 늘어나는 이유. | 가속도가 늘어난다고요??? 오늘 우리는 가속도가 변하지 않는 운동에 대해 한 건데.. 힘이 커지면 가속도가 커져요. | |
달에 왜 공기가 없나요. | 달엔 중력이 작아서 공기분자들이 달을 빠져나가버리고 말아요. | |
달에는 왜 중력이 약하죠 | 달의 질량이 작아서요~ | |
중력 가속도가 9.8m/s^2인이유 | 중력은 만유인력의 한 형태이죠. 즉, 중력은 행성의 질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구의 질량과 지구의 반지름에 의해 9.8m/s^2이 되죠. 고등학생이 되면 중력가속도 값을 구하는 방법을 배울거에요~ | |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의 차는 어느정도임니까 | 1학년 때 나와서 다 잊어버렸죠~ 1/6 정도 된다고 해요~ | |
비도 하늘에서 떨어지는데 왜 아프지 않나요? | 공기저항 때문에 속도를 제대로 못내기 때문이죠~ | |
진공상태가 되면 공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더 빨리 떨어져야하는데 왜 달에선 늦게 떨어지나요. | 그만큼 중력이 약해서요~ | |
달은 지구보다 높이 있어서 중력의 영향을 조금 받는건가요? 아니면 대기권 문제로 조금 받는건가요 ? | 달은 질량이 작아서 중력의 크기가 작아요~ | |
우주에선 모든 물건이 속력이 같나요? | 대기가 없을 때, 낙하하는 속도가 같을 뿐, 행성마다 떨어지는 속도는 다 달라요~ | |
속력이랑 속도가다른가요? | 네, 비슷하지만 달라요. 속도는 빠르기 뿐 아니라 방향까지 포함해요. 속도가 더 큰 개념인데, 고등학교에 가면 배울거에요~ | |
가속을 잘하는 방법이 있나요? | 공기저항을 줄이면 잘 되겠죠. 그래서 자전거 경주에서 그렇게 얇은 자전거를 타고, 타이즈를 입는 거에요~ | |
중력이 젤 무거운곳은 태양계중 어딘가요 | 태양계 안에선... 태양이요. | |
중력이 있는 행성과 적은 행성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중력이 없는 행성도 있나요?
달이나 지구 이외에 태양계 행성들 중에 중력이 있는 곳이 있나요? |
행성의 질량 차이요~ 중력이 없는 행성은 없어요~ 저도 중력을 가졌는걸요오~ | |
화성은 중력이 지구와 똑같나요? | 아뇨, 행성의 질량과 크기가 다르니, 중력도 다르죠. 지구 중력의 37.5%밖에 안된다네요. | |
화성의 중력가속도는 얼만가요 그리고 멀리 떨어진 행성의 중력가속도는 어떻게 구하나요? | 멀리 떨어진 행성 주변의 위성들이 도는 속도를 보고 측정하거나, 해당 위치로 로봇을 보내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죠~ | |
중력의 영향을 받지않는 물체가 있나요 ? | 그런 물체 발견하면 노벨상. | |
왜 가속도의 단위는 m/s2 인가요? | 속도의 단위가 m/s 이고,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게 가속도라서 시간으로 한 번 더 나누잖아요? 그래서 m/s^2. | |
모양이 완전히 똑같지만 질량이 달라도 동시에 떨어지나요? | 네, 공기저항을 안받는다면요. | |
우주는 얼마나 넓은 가요? | 글쎄요, 학자마다 말하는 게 달라서요. 제 대답은.. 네 꿈의 크기만큼. | |
그러면 지구처럼 중력이 큰 행성이있나요? | 네, 지구보다 중력이 더 큰 행성도 있죠. | |
물체가 떨어지는 속도는 어떻게 재나요? | 스피드건이나 레이저 등으로 측정할 수 있죠. | |
비행기가 낙하할 때 잠시 중력이 낮아지나요? | 아뇨, 어떻게 이런 질문을 떠올렸죠? | |
중력이 엄청 강하면 몸이 찌러지나요? | 네 | |
가속도의 단위는 /s만 있나요? | 단위는 써넣기 나름이죠. km/s^2을 쓸 수도 있고.. | |
중력이 아예 없다면 어떻게되나요? | 우주와 비슷한 환경이 되겠죠~ 공기도 우주로 도망갈테고.. | |
태양계에서 중력이 가장 큰 행성은 무엇인가요. | 목성이요. 검색하면 행성별 중력을 찾을 수 있어요~ | |
가속을 최대한 늘리는법은용?? | 힘을 세게 가해주거나 공기저항을 없애는 방식으로 디자인하면 되겠죠~ | |
기타 | 자유낙하운동말고 다른운동이 있나요? | 네. 원운동, 왕복운동 등 이름붙이기 나름이죠~ |
개미가 50층에서 떨어지면 살아요? | 몰라요. | |
헛소리 | 시험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 오리엔테이션에서 말했어요; |
잠은 잘 자셨나요? | 이런거 안물어보면 좋겠는데.. 요새 잠을 늦게 잤어요; 위키의 데이터를 담아둔 DB를 건들다가 계속 망가뜨려서요;; | |
달에 가보셨나요 | 아뇨. 집이 좋습니다. | |
우주가보셨나요 | 우주는 항상 나를 보고 있죠. | |
너무 졸리네요.. | 세수하고 오세요. | |
우주에서 오줌넣으면 날라다니나요? | 네, 그렇겠죠.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 높은 곳에서 던지면 어떤 게 먼저 떨어질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무거운 물체 | 보통 무거운 물체가 먼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쉬워요~
같은 물체를 줄로 묶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러면 줄로 묶어 탄생한 새로운 물체는 기존 물체보다 무거워졌죠. 줄로 묶은 물체가 물로 묶기 전보다 빨리 떨어질까요?? |
가벼운 물체 | 일반적으로 공기저항 때문에 무거운 물체가 먼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궁금궁금! |
동시에 떨어진다. | 이 말은 사실 진공상태에서만 맞는 말이에요. 공기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가 동시에 떨어집니다. |
동시에 떨어진다 (이때 동시에 떨어지는 이유는 중력가속도는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 중력가속도가 질량에 비례한다기보단 중력이 질량에 비례해 중력가속도는 모든 물체에서 같아요! |
진공 : 동시에 떨어진다.
진공 X : 공기 저항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것이 빨리 떨어진다. 공기저항이 없다면 동시에 떨어진다. 가벼운물체가 깃털처럼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는 물체가 아니라면 둘다 같이 떨어집니다. |
적절한 답이네요. |
떨어뜨린 물체가 가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중력가속으로 인한 가속 9.8m/s제곱 때문에.
가속하는 방향으로 중력의 힘을 받기 때문이다. 일정한 크기의 중력을 계속 받기 때문이다. |
네 중력으로 인해 힘을 받기 때문이죠. 힘을 받으면 물체는 가속한다고 1학년 때 배웠습니다~ |
공기의 힘을 받기 때문에 | 공기의 힘을 받으면 오히려 가속이 방해되지 않을까요? |
힘을 받기 때문 | 어떤 힘을 받았는지 써주었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지구와 달에서 물체의 낙하속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달로가면 진공상태가 되기때문
달에는 공기저항이 없어서 |
진공상태가 되면 공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더 빨리 떨어져야 하는데, 달에선 늦게 떨어지잖아요? ㅎㅎㅎ 왜 달에선 느리게 떨어질까요? |
중력의 크기가 달라서 인가요?
중력이 달라서이다. 달은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
네, 중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지구보다 달의 질량이 작아서 중력이 작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 네, 행성의 질량에 따라 행성 위에서의 중력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
지구에는 중력이 있기때문에
지구에는 중력이라는것이 있지만 달은 무중력이기 때문이다 |
달에도 중력은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