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보존법칙: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r /> | <br /> | ||
{{15개정 중3 | {{15개정 과학 중3}} | ||
==배우는 이유== | ==배우는 이유==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 ||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왜 그럴까;;;? | |||
철도 탈 수 있을까? 철이 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25번째 줄: | 29번째 줄: | ||
!학문적 | !학문적 | ||
이유 | 이유 |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 | | ||
수많은 화학적 계산에 대한 기초. | *화학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 ||
*수많은 화학적 계산에 대한 기초. | |||
|- | |- | ||
!너희들은? | !너희들은? | ||
| | |과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나의 지식을 쌓기위해 배워야합니다. | ||
상식이니깐. | |||
배워야 할 것 같아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물질의 질량이 어떻게 되는지는 나중에도 쓰일 것 같아서요. | |||
|} | |} | ||
==도입== | ==도입== | ||
50번째 줄: | 59번째 줄: | ||
==수업요약== | ==수업요약== | ||
똥을 싸면 몸무게가 가벼워진다. 그러나.. 전체 질량의 합은 변하지 않는다.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개념 | !개념 | ||
88번째 줄: | 98번째 줄: |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
#구리 40g과 산소 10g이 결합하여 산화 구리가 만들어졌을 때 산화 구리의 질량은 몇g일까?(4반 박준수의 문제) | |||
#철수가 살면서 돼지를 30마리 먹었다 그때 지구의 질량 상태를 서술하시오.(1반 김동영의 문제) | |||
# | # | ||
==학생들의 질문== | ==학생들의 질문== | ||
=== | |||
===질량보존법칙 관련 질문=== | |||
{| class="wikitable" | |||
!질문 | |||
!대답 | |||
|- | |||
|반응물과 생성물을 모두 고려하면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되나요? | |||
|넹넹~ | |||
|- | |||
|연소할 때 공기와 함께 날아갈때 왜 원자의 수는 변하지 않나요 ? | |||
|원자가 공기중으로 퍼지는 거지, 원자가 사라지거나 생기지 않으니까요. | |||
|- | |||
|무게는 달라져도 질량은 같은게 맞나요? | |||
|질량이 달라지면 무게가 달라지죠; 무게가 달라졌다는 건 질량이 달라졌다는 거 아닐까요? | |||
|- | |||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질량은 보존되는데 부피는 달라지겠죠? | |||
|네, 부피는 달라질 수 있죠! | |||
|- | |||
|헬륨은 물질인가요? | |||
|네, 물질이죠~ 만질 수 있잖아요? 다만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서 위로 떠요~ | |||
|- | |||
|질량보존의법칙이 우주에서도 성립하나요 | |||
|ㅇㅇ 모든 곳에서! | |||
|- | |||
|화학 반응 전후에 물질의 총질량은 왜 변하지 않고 보존되나요 | |||
|입자 자체가 사라지거나 생기거나, 종류가 바뀌거나 하지 않으니, 이들을 다 더한 입자의 종류, 갯수는 일정하죠. 그래서 질량도 변하지 않아요. | |||
|} | |||
===질량보존법칙 예시===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질문 | !질문 | ||
!대답 | !대답 | ||
|- | |- | ||
| | |종이가 타서 아예 없어져도 질량이 보존되나요 | ||
| | |네. 공기중에 입자들이 퍼져나간 거니까,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하면 질량은 유지돼요. | ||
| | |- | ||
|만약 책 같은걸 태우고 가두면 처음질량과 태우고 난 후 질량과 같을까요? | |||
|네, 밀폐된 공간에서라면요. | |||
|- | |||
|밀폐된 공간에서는 뭘 태워도 질량보존이 되나요? | |||
|네. 물론이죠~ | |||
|- | |||
|철은 왜 안타나요? | |||
|철 타요. | |||
|- | |||
|왜 철덩어리는 안타나요 | |||
|철덩어리보다 철솜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서 잘 타죠. | |||
철덩어리도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타요! | |||
|- | |||
|철처럼 연소하면 질량이 늘어나는거 무엇이 있을까요 | |||
| rowspan="2" |금속계열은 거의 다 무거워진다고 보면 돼요~ | |||
|- | |||
|모든걸 태우면 가볍나요? | |||
|- | |||
|왜 철은 연소하면 질량이 늘어나나요. | |||
|산소원자가 더 달라붙어서요~ | |||
|- | |||
|실생활에서 쉽게 찾을수있는 질량보존법칙은 뭐가 있을까요? | |||
|상한 우유가 부피는 달라지더라도 질량은 일정한 것, 요리를 해서 화학변화를 일으켜도 질량은 일정한 것. | |||
|- | |- | ||
| | |플라스틱을 연소시키면 어덯게 되나요? | ||
| | |플라스틱을 이루고 있는 성분들이 산소와 결합해서 나오겠죠오~ | ||
|- | |- | ||
| | |살빠지면 지방은 어디로 가나요? | ||
| | |똥, 땀, 호흡, | ||
| | |} | ||
===질량보존법칙이 적용되지 않을 때=== | |||
{| class="wikitable" | |||
!질문 | |||
!대답 | |||
|- | |- | ||
| | |질량 보존 법칙이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 ||
| | |거시적 관점에서 그럴 일은 없어요. | ||
|- | |- | ||
| | |질량보존의 법칙을 이용하면 질량은 절대 줄어들지 않나요? | ||
| | |깊이 들어가면(상대론) 원자간 결합할 때 아주 조금의 질량변동이 생기는데, 거시적 관점에선 무시해도 돼요. | ||
|- | |- | ||
| | |물질이 반응할때 질량이 변할때가 하나는 있을거 같은데 없는 건가요? | ||
| | |밀폐된 공간에서라면 없어요. 예외라고 하면.. 핵폭탄. | ||
|- | |- | ||
| | |태양은 질량 보존이 되나요? | ||
| | |안되요, 핵융합, 분열을 할 땐 질량보존이 안되요~ | ||
| | |} | ||
===관련 질문=== | |||
{| class="wikitable" | |||
!질문 | |||
!대답 | |||
|- | |- | ||
| | |똥을 태우면 질량이 낮아지나요? | ||
| | |네. 캠핑카 같은 경우에 똥을 태워서 처리하는 방식도 써요! | ||
|- | |- | ||
| | |수증기가 모여 구름을 만듭니다 그럼 이때 구름에서 번개가 친다고 가정하면 질량이 갑자기 늘어났다가 사라지는 건가요? | ||
| | |질량변동과 상관 없습니다~ 입자들이 모이고 흩어진다고 해서 전체질량이 변하진 않으니까요. | ||
|- | |- | ||
| | |공기는 왜 지구를 빠져나가지 않나요? | ||
| | 중력 때문에 빠져나가지 않는건아요 아니면 빠져나가나요? 보존 되는지 떠나가는지 알려주시고 왜 그런지도 알려주세요. | ||
|우리는 공기 안에서 살고 있죠. 공기로 인한 압력을 견디면서. 이 압력은 공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거에요. | |||
중력이 기체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주고 있습니다. | |||
|- | |- | ||
| | |공기의 질량은 얼마인가요 | ||
| | |대기층의 부피에 대기의 밀도를 곱하면 대강 나올 것 같아요~ | ||
|- | |- | ||
| | |액체도 공기중으로 가서 질량이 보존되나요? | ||
| | |네, 액체가 증발하면 공기의 무게가 커지겠죠~ | ||
| | |} | ||
===기타=== | |||
{| class="wikitable" | |||
!질문 | |||
!대답 | |||
|- | |- | ||
| | |이번 단원을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분자식, 원소기호를 외우는 것은 필수겠죠? | ||
| | |당근! | ||
|- | |- | ||
| | |라부아지에가 누구죠 | ||
| | |과학자 아저씨. | ||
|- | |- | ||
| | |라부아지에는 남자인가요 | ||
| | |네 | ||
|- | |- | ||
| | |다이아몬드 태운사람 부자인가요? | ||
| | |부자였을듯. | ||
|- | |- | ||
| | |수증기와 산소가 합쳐지면 무엇인가요? | ||
| | |굳이 합친다면... 과산화수소(<chem>H2O2</chem>) | ||
|- | |- | ||
| | |질량이.0인 물건이 있나요? | ||
|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어요~ | ||
|- | |- | ||
| | |질량과 에너지를 교환할수 있나요?(질량을 에너지로 바꿀수 있나요?) | ||
| | |네 | ||
|- | |- | ||
| | |사람의 몸은 물이 거의 70~80퍼센트를 차지하는데 수분을 다 날려버리면 몸무게도 똑같이 70~80퍼센트가 줄어드나요? | ||
| | |네. 죽겠지만, 몸무게도 줄죠. | ||
|- | |- | ||
| | |에너지와 원자는 별개인가요? 그리고 만약 태양에서 지구로 플레어가 발생하면 우리 지구쪽으로 태양에너지가 오는데 원자도 같이 오는건가요? | ||
| | |에너지와 원자는 별개입니다. | ||
플레어가 터지면 그 터지는 힘 때문에 입자들도 함께 날아오죠. | |||
|- | |- | ||
| | |고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않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 ||
액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 |||
| | 기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없고(정확히는 느낄 수 없고)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br />그럼 플라즈마는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있으며, 눈에 보이나요? 아님 그냥 이론인가요? | ||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물질입니다. 아마 불처럼 보이지 않을까 싶네요~ | |||
|- | |- | ||
| | |원소 기호를 어떻게 잘 외우나요? | ||
| | |이 노래 추천합니다. | ||
https://www.youtube.com/watch?v=eM25xmxjSrI&t=44s | |||
|- | |- | ||
| | |피카츄를 연소시키면 전기는 어떻게 되나요 | ||
| | |호오, 구분되어 있던 이온들이 만나면서 전하를 한번에 교환해서 불이 튈 것 같네요. | ||
|- | |- | ||
| | |지구의 오존층이 제거될 가능성이 있나요? | ||
| | |ㅇㅇ 오존층이 많이 사라져 문제가 많잖아요~? | ||
|- | |- | ||
| | |전여친이 제 마음을 태울 때 제 마음에 질량은 어떻게 변하나여 | ||
| | |마음은 무거워지죠. 왜냐하면 근심과 걱정이 쌓이기 때문이죠. | ||
|- | |- | ||
| | |질량이 0인 물건이 있나요? 혹시 선생님 여자친구? | ||
|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습니다. | ||
|- | |- | ||
| | |다이아몬드는 얼마인가요 | ||
| | |몰라 임마. 결혼반지 알아볼 때 공부하세요. | ||
|} | |} | ||
===해결해주지 못한 질문=== | |||
{| class="wikitable" | |||
!질문 | |||
!대답 | |||
|- | |||
|질량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 | |||
|질량과 무게를 구분한 사람이겠죠. 최초는...누구일까요?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
|} | |||
=더 나아가기= | =더 나아가기= |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
235번째 줄: | 301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낮아진다, 줄어든다,(산소가 없어져서), | ||
| | |헬륨이나 수소같은 경우에 지구를 빠져나가기도 해요. 하지만, 이외의 무거운 분자들은 지구에 빠져나가지 않고 머무른답니다~ | ||
우주 밖에서 들어오는 운석의 질량을 생각한다면 지구의 질량은 크게 변하지 않아요. | |||
|- | |||
|줄어든다 우주로 발사체를 보내서 | |||
|오, 인간이 우주로 무언가를 날려보내기도 하니까! 좋은 발상이에요! | |||
|- | |||
|안변한다. | |||
변하지 않는다 (지구 중력권으로 하나의 밀폐된 공간일거같다) | |||
|네, 정석대로의 답변이네요. | |||
|- | |||
|오존층이 존재하는 한 보존된다 | |||
|오존층이 무언가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진 못해요; 단지 오존이 발생하는 지점을 오존층이라고 부를 뿐! | |||
|- | |- | ||
| | |석유랑 가스를 사용해도 지구 내부에서 다른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것이므로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 ||
| | |훌륭훌륭~ | ||
|- | |- | ||
| | |그대로 일거 같다 대기권 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 ||
| |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 들어왔다 할 수는 있어도, 지구 중력권 밖으로 나가진 못하죠~ ㅎ | ||
|- | |- | ||
| | |입자가 지구를 출입하지 않는다면 일정하다. | ||
| | |네. 이런 가정을 한다면 완벽한 대답이 되겠네요~ | ||
|- | |- | ||
! colspan="2"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colspan="2"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252번째 줄: | 330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원자의배열은달라지더라도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아서 | ||
| | |오, 훌륭 | ||
|- | |- | ||
| | | | ||
266번째 줄: | 344번째 줄: | ||
!선생님코멘트 | !선생님코멘트 | ||
|- | |- | ||
| | |뚜껑을 안닫아서, 공기중으로 산소와 결합해 날라간 분자 때문에, 공기 중으로 날라가서 | ||
| | |네, 반응 후에 발생한 기체의 질량까지 고려하면 전체 질량은 변하지 않아요! | ||
|- | |- | ||
| | | |
2021년 12월 20일 (월) 02:28 기준 최신판
틀:15개정 과학 중3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석유를 태우면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나무를 태우고, 석유를 사용하면서 지구의 질량은 계속 가벼워질까?!
우유가 상하면 부풀어오른다. 이때 우유의 질량은 어떻게 변할까? 나무를 태우면 가벼워진다. 왜 그럴까;;;? 철도 탈 수 있을까? 철이 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
---|---|
직업적
이유 |
|
학문적
이유 |
|
너희들은? | 과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나의 지식을 쌓기위해 배워야합니다.
상식이니깐. 배워야 할 것 같아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물질의 질량이 어떻게 되는지는 나중에도 쓰일 것 같아서요. |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실험영상[편집 | 원본 편집]
내용 | 영상 |
---|---|
기체발생 | |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똥을 싸면 몸무게가 가벼워진다. 그러나.. 전체 질량의 합은 변하지 않는다.
개념 | 설명 |
---|---|
질량보존법칙 | 1789년 라부아지에가 '화학개론'이라는 책에서 언급.(주석을 가열할 때 질량이 커지지만, 밀폐된 용기에서 주석을 가열하면 질량이 커지지 않았다.)
앙금생성반응, 기체발생반응 모두에서 성립한다. ∵화학반응을 해도 입자가 사라지지 않으므로.(분자의 종류, 수가 변하지 않는다.) |
기체발생의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예시 | 설명 |
---|---|
나무의 연소 | 연소 후에 가벼워진다.
(나무+산소)의 질량 = (재+이산화탄소+수증기)의 질량 광합성과 반대방향으로의 변화. |
강철솜 연소 | 연소 후에 무거워진다.
(강철솜+산소)의 질량 = 산화철의 질량 |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구리 40g과 산소 10g이 결합하여 산화 구리가 만들어졌을 때 산화 구리의 질량은 몇g일까?(4반 박준수의 문제)
- 철수가 살면서 돼지를 30마리 먹었다 그때 지구의 질량 상태를 서술하시오.(1반 김동영의 문제)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량보존법칙 관련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반응물과 생성물을 모두 고려하면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되나요? | 넹넹~ |
연소할 때 공기와 함께 날아갈때 왜 원자의 수는 변하지 않나요 ? | 원자가 공기중으로 퍼지는 거지, 원자가 사라지거나 생기지 않으니까요. |
무게는 달라져도 질량은 같은게 맞나요? | 질량이 달라지면 무게가 달라지죠; 무게가 달라졌다는 건 질량이 달라졌다는 거 아닐까요? |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질량은 보존되는데 부피는 달라지겠죠? | 네, 부피는 달라질 수 있죠! |
헬륨은 물질인가요? | 네, 물질이죠~ 만질 수 있잖아요? 다만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서 위로 떠요~ |
질량보존의법칙이 우주에서도 성립하나요 | ㅇㅇ 모든 곳에서! |
화학 반응 전후에 물질의 총질량은 왜 변하지 않고 보존되나요 | 입자 자체가 사라지거나 생기거나, 종류가 바뀌거나 하지 않으니, 이들을 다 더한 입자의 종류, 갯수는 일정하죠. 그래서 질량도 변하지 않아요. |
질량보존법칙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종이가 타서 아예 없어져도 질량이 보존되나요 | 네. 공기중에 입자들이 퍼져나간 거니까,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하면 질량은 유지돼요. |
만약 책 같은걸 태우고 가두면 처음질량과 태우고 난 후 질량과 같을까요? | 네, 밀폐된 공간에서라면요. |
밀폐된 공간에서는 뭘 태워도 질량보존이 되나요? | 네. 물론이죠~ |
철은 왜 안타나요? | 철 타요. |
왜 철덩어리는 안타나요 | 철덩어리보다 철솜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서 잘 타죠.
철덩어리도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타요! |
철처럼 연소하면 질량이 늘어나는거 무엇이 있을까요 | 금속계열은 거의 다 무거워진다고 보면 돼요~ |
모든걸 태우면 가볍나요? | |
왜 철은 연소하면 질량이 늘어나나요. | 산소원자가 더 달라붙어서요~ |
실생활에서 쉽게 찾을수있는 질량보존법칙은 뭐가 있을까요? | 상한 우유가 부피는 달라지더라도 질량은 일정한 것, 요리를 해서 화학변화를 일으켜도 질량은 일정한 것. |
플라스틱을 연소시키면 어덯게 되나요? | 플라스틱을 이루고 있는 성분들이 산소와 결합해서 나오겠죠오~ |
살빠지면 지방은 어디로 가나요? | 똥, 땀, 호흡, |
질량보존법칙이 적용되지 않을 때[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질량 보존 법칙이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 거시적 관점에서 그럴 일은 없어요. |
질량보존의 법칙을 이용하면 질량은 절대 줄어들지 않나요? | 깊이 들어가면(상대론) 원자간 결합할 때 아주 조금의 질량변동이 생기는데, 거시적 관점에선 무시해도 돼요. |
물질이 반응할때 질량이 변할때가 하나는 있을거 같은데 없는 건가요? | 밀폐된 공간에서라면 없어요. 예외라고 하면.. 핵폭탄. |
태양은 질량 보존이 되나요? | 안되요, 핵융합, 분열을 할 땐 질량보존이 안되요~ |
관련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똥을 태우면 질량이 낮아지나요? | 네. 캠핑카 같은 경우에 똥을 태워서 처리하는 방식도 써요! |
수증기가 모여 구름을 만듭니다 그럼 이때 구름에서 번개가 친다고 가정하면 질량이 갑자기 늘어났다가 사라지는 건가요? | 질량변동과 상관 없습니다~ 입자들이 모이고 흩어진다고 해서 전체질량이 변하진 않으니까요. |
공기는 왜 지구를 빠져나가지 않나요?
중력 때문에 빠져나가지 않는건아요 아니면 빠져나가나요? 보존 되는지 떠나가는지 알려주시고 왜 그런지도 알려주세요. |
우리는 공기 안에서 살고 있죠. 공기로 인한 압력을 견디면서. 이 압력은 공기의 무게 때문에 생기는 거에요.
중력이 기체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잡아주고 있습니다. |
공기의 질량은 얼마인가요 | 대기층의 부피에 대기의 밀도를 곱하면 대강 나올 것 같아요~ |
액체도 공기중으로 가서 질량이 보존되나요? | 네, 액체가 증발하면 공기의 무게가 커지겠죠~ |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이번 단원을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분자식, 원소기호를 외우는 것은 필수겠죠? | 당근! |
라부아지에가 누구죠 | 과학자 아저씨. |
라부아지에는 남자인가요 | 네 |
다이아몬드 태운사람 부자인가요? | 부자였을듯. |
수증기와 산소가 합쳐지면 무엇인가요? | 굳이 합친다면... 과산화수소() |
질량이.0인 물건이 있나요?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어요~ |
질량과 에너지를 교환할수 있나요?(질량을 에너지로 바꿀수 있나요?) | 네 |
사람의 몸은 물이 거의 70~80퍼센트를 차지하는데 수분을 다 날려버리면 몸무게도 똑같이 70~80퍼센트가 줄어드나요? | 네. 죽겠지만, 몸무게도 줄죠. |
에너지와 원자는 별개인가요? 그리고 만약 태양에서 지구로 플레어가 발생하면 우리 지구쪽으로 태양에너지가 오는데 원자도 같이 오는건가요? | 에너지와 원자는 별개입니다.
플레어가 터지면 그 터지는 힘 때문에 입자들도 함께 날아오죠. |
고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않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액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있고 눈에 보입니다.
기체는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하고 만질 수 없고(정확히는 느낄 수 없고)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물질입니다. 아마 불처럼 보이지 않을까 싶네요~ |
원소 기호를 어떻게 잘 외우나요? | 이 노래 추천합니다. |
피카츄를 연소시키면 전기는 어떻게 되나요 | 호오, 구분되어 있던 이온들이 만나면서 전하를 한번에 교환해서 불이 튈 것 같네요. |
지구의 오존층이 제거될 가능성이 있나요? | ㅇㅇ 오존층이 많이 사라져 문제가 많잖아요~? |
전여친이 제 마음을 태울 때 제 마음에 질량은 어떻게 변하나여 | 마음은 무거워지죠. 왜냐하면 근심과 걱정이 쌓이기 때문이죠. |
질량이 0인 물건이 있나요? 혹시 선생님 여자친구? | 물질이라면 질량이 0일 수 없습니다. |
다이아몬드는 얼마인가요 | 몰라 임마. 결혼반지 알아볼 때 공부하세요. |
해결해주지 못한 질문[편집 | 원본 편집]
질문 | 대답 |
---|---|
질량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 | 질량과 무게를 구분한 사람이겠죠. 최초는...누구일까요? 조사해 오면 세특에 써줄게요. |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라부아지에의 업적, 그가 했던 실험들을 조사해서 선생님께 알려주면 세특에 기입해줄게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답[편집 | 원본 편집]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불을 사용해오고 최근엔 엄청난 량의 석유와 가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낮아진다, 줄어든다,(산소가 없어져서), | 헬륨이나 수소같은 경우에 지구를 빠져나가기도 해요. 하지만, 이외의 무거운 분자들은 지구에 빠져나가지 않고 머무른답니다~
우주 밖에서 들어오는 운석의 질량을 생각한다면 지구의 질량은 크게 변하지 않아요. |
줄어든다 우주로 발사체를 보내서 | 오, 인간이 우주로 무언가를 날려보내기도 하니까! 좋은 발상이에요! |
안변한다.
변하지 않는다 (지구 중력권으로 하나의 밀폐된 공간일거같다) |
네, 정석대로의 답변이네요. |
오존층이 존재하는 한 보존된다 | 오존층이 무언가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진 못해요; 단지 오존이 발생하는 지점을 오존층이라고 부를 뿐! |
석유랑 가스를 사용해도 지구 내부에서 다른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것이므로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 훌륭훌륭~ |
그대로 일거 같다 대기권 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 들어왔다 할 수는 있어도, 지구 중력권 밖으로 나가진 못하죠~ ㅎ |
입자가 지구를 출입하지 않는다면 일정하다. | 네. 이런 가정을 한다면 완벽한 대답이 되겠네요~ |
화학반응 전후로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원자의배열은달라지더라도 원자의 종류와 수는 변하지 않아서 | 오, 훌륭 |
물건을 태우면 가벼워진다. 화학변화 전후로 질량은 보존된다고 했는데, 태우고 남은 물건은 왜 처음보다 가벼운 걸까? | |
답변 | 선생님코멘트 |
뚜껑을 안닫아서, 공기중으로 산소와 결합해 날라간 분자 때문에, 공기 중으로 날라가서 | 네, 반응 후에 발생한 기체의 질량까지 고려하면 전체 질량은 변하지 않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