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의 마무리. 설문 안한 거 있는 사람에게... 구제의 기회를. 안한 것 체크해서 하도록...!!
심판의 때가 다가온다아아아~~~~
설문 안한사람 내용 안내하자.
다음주 중에 안한 사람은 다다음주에 안한 갯수당 30분 해서 남김. 만약 너무 대충했다? 기만죄로.... 추후에 내 맘대로 갈굴거임.
과학부장들은 아이들에게 안한 내용 안내하고, 다 한 친구들 체크해서 선생님께 가져다드리기. 만약 안한 친구 걸 했다고 한 경우.... 다다음주 매일 남김.
3X 만들기 활동.
참고 : 배상민 교수의 IDIM.
알파벳을 정해두면 오히려 힘들 수 있으니, 3가지 키워드로 정하는 게 좋겠다. 학생들과 함께 삶의 방향을 진지하게 논의하는 시간. 표로 만들어서 공유하는 것도 좋겠다.
본인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데에도 좋겠지만, 면접 준비에도 쓸만할듯. 공자는 15세에 이립이라 하였던가...? 이렇게 전체적인 것 하나와, 교과 관련 키워드로? '과학은 어떤 가치를 위해 추구한다고 생각하는지?' 라벨지에 출력해서 붙이게 하면 좋을듯...?
28세의 윤한이를 떠올리며 준비한 수업. 대학 때 '대학의 네임벨류'보단 '좋아하는 과'를 선택하길 바랬던 일.. 시간을 잘 쓸 수 있길... 빨리 직업을 갖는 것의 장점을... 아키하바라도 젊을 때 가야지.. 덕질도 젊을 때..!
게다가, 회사, 대학교, 고등학교 면접을 볼 때 자신을 소개하는 틀이 될 수도 있다.
7.19
7.20
나의 '깨진 유리창' 수업에서 보완할 점을 찾았다. '교실의 유리창을 깨는 사소한 행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묻고 직접 써내게 하는 것.
만다라트... 하면서 위두랑에 내 진로 수업 내용 위키, 사용자 문서로 옮기자.
학기말엔 역시 스펀지 혹은 호기심천국 같은 예전 예능이 보기 좋더라...
과학도우미
학기
1반
2반
3반
1학기
20120전*구
20225채*성
20309석*기
2학기
20120전*구
20225채*성
20309석*기
처벌 대상자
혹시나 방과 후에 남아서 받는 벌을 이용해서 학원을 안간다든가, 다른 해야 할 일에 지장을 주는 경우 허용하지 않겠음.
과학의 날 안한 사람.
1반
24 조*오(4시간 이것저것 해야 함. 혹시, 도망가면 휴대폰 1일 압수.)
5 김*훈(1시간 30분)
도우미 남*련(10분 도와줌)
이하랑 친구를 위해 봉사 20분.
2반
조형주, 이지호 안한 과제가 많아 일 한 번 시키는 걸로 끝내자.
3반
21 이*용(3시간) +휴대폰 가져다 달라고 함. 30분 더.
8 변*호(3시간 이것저것 해야 함. 혹시, 도망가면 휴대폰 1일 압수.)
최지호 안한 과제가 많아 한 번 더 일 시키면 좋겠다.
학급 체크
1반
학번
횟수
횟수
죄송하다
비고
20101
10.24
11.28
교사를 우롱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정직하지 못하고 섬세하지 못한 모습을 보임.
20102
11.7
아이들에게 수업시간에 사진을 보여줌. 이유는 알 수 없음.(9.26)
20103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
20104
20105
10.27
11.29
20106
지하수에 대해 배울 때 '정수과정 중 미생물의 문제 없이 식음이 가능한 이유가 뭔가요?'라고 묻는 등 수업 참여도가 높고 기존의 지식과 현재 배운 지식이 충돌할 때 나타나는 불편을 민감하게 감지하고 해소하고자 하는 열정이 있음.
20107
10.4
용해도에 대해 배우고 난 후 '염화나트륨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해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점에 의문을 느껴 물질마다 온도의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른 이유에 대해 조사하여 제출함. '용매에 용해도가 비슷한 물질들을 동시에 용해시키면 각 물질의 용해도만큼 모두 녹을까?'에 대한 의문을 느껴 조사하며 공통이온에 대해 알게 됨. 수업에 대한 높은 참여도를 토대로 배운 개념에 대한 적절한 과학적 질문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의문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또한 갖춘 학생임.
20108
10.28
20109
20110
9.22
20111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
20112
8.24
10.24
20113
10.11
20114
수업 중 교사의 발문에 적극적으로 대답하며 수업 분위기 개선에 도움을 주는 학생임. 수업 중 제시된 질문에 대하여 여타 학생들에 비해 성실하게 답하며 필요한 지식을 검색 등으로 찾아내는 일에 유능함. 열팽창에 대해 배우고 '금을 가열하여 부피를 늘려 팔면 부자가 될 수 있나요'라고 묻는 등 수업시간마다 참신하고 재미있는 질문을 하여 수업을 즐겁게 함.
20115
8.30
9.29
20116
9.27
11.18
20117
9.19
분별 깔때기를 이용한 액체의 분리를 배우며 윗쪽 마개를 왜 열어주어야 하는지 질문하는 등 여타 학우들이 발견하지 못한 디테일한 면을 발견하고 질문하며 섬세한 관찰력과 과학적 궁금증을 적극적으로 해소하려는 태도를 보임.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
비열에 대해 배우고 난 후 '비열이 가장 큰 물질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갖게 됨. 이 의문을 토대로 다양한 물질들의 비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는 중에 자료의 출처를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암모니아, 수소, 헬륨 등이 물보다 비열을 크다는 사실을 알게 됨.
수업이 끝난 후에도 교사를 찾아와 당일 배운 내용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해소하려는 성실함을 보이며 개념과 관련한 다양한 상황을 상정해보며 학우들과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모습을 보임. 주변 학우들이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을 펼치게 유도하여 자발적으로 과학적 토론을 이끌어내는 편임.
20118
11.28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
20119
10.21
20120
11.21
20121
10.28
비열에 대해 배우고 난 후 비열이 압력의 영향을 받는지 질문하는 등 배운 개념이 적용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 생각하는 창의적인 모습을 보임.
20122
저항에 대해 배우고 난 후 '모양이나 재료 말고도 저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나요?'라고 묻는 등 새로이 배운 내용을 더 확장하여 탐구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임.
20123
20124
10.14
11.28
20125
11.28
20126
11.14
9.30 교실바닥에서 볼펜 세워서 ㅈㅇ이를 유혹함.
20127
20128
20129
10.4
20130
2반
학번
횟수
횟수
비고
20201
크로마토크래피를 통한 물질의 분리에 대해 배우고 난 후 크로마토그래피의 역사에 대해 조사하여 제출함. 평소 차분하고 내향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궁금증이 생길 땐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관련자료를 조사하는 등 과제집착력이 강하고 성실한 모습을 보임.
20202
20203
9.15
20204
20205
20206
9.8
11.24
'해왕성에선 다이아몬드 비가 내린다'라는 소식을 접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함. 여러 신문사의 기사들을 참고하여 조사를 수행하였고 이의 활용방안을 생각함. 궁금한 사항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조사하고 다양한 상황을 생각하여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등 앎에 대한 갈망이 있고 상상력이 풍부한 학생임. 지식의 양 면에서 부족함도 있지만 수업 중 다양한 질문을 통해 빠른 성장을 보임.
20207
8.30
9.27
20208
20209
10.19
20210
20211
8.30
10.12
20212
20213
10.24
20214
20215
8.29
20216
12.1
20217
10.6
20218
20219
20220
교사의 발의에 대해 매번 성실하게 답하며 수업이 끝난 후에도 찾아와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우주에 있는 원자들이 어떻게 생겨난 건가요'라고 묻는 등 지적 호기심이 왕성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
20221
열의 이동에 대해 배우고 난 후 '지구의 열이 우주로도 나가나요?'라고 묻는 등 수업과 연관된 적절한 질문을 해주어 수업 진행에 도움을 주는 고마운 학생임.
20222
20223
20224
9.13
10.12
20225
9.14
11.7
'최초의 원소는 무엇인가요', '제일 최근에 발견한 원소는 무엇인가요', '콩 말고 단백질을 제공하는 식물이 있나요', '달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등 1학기 때 품었던 20여개의 질문에 대하여 조사한 후 제출함. 과학에 보이는 열정이 크고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질문을 만들어내어 스스로 이해를 심화함. 조금이라도 의문이 생기면 교사를 찾아와 논의하는 성실함을 보이며 학우, 교사와의 과학 토론을 즐기는 모습을 보임.
20226
20227
20228
10.5
20229
20230
12.05
20231
9.15
3반
학번
횟수
횟수
죄송 카운트
비고
20301
20302
9.28
20303
20304
9.1
11.2
20305
매번 정돈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 전에 보드마커를 정리하고, 수업 중에도 많은 질의로 매끄러운 수업을 돕는 고마운 학생임. 과학적 대화에 흥미를 느끼며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의욕을 보임.
교사도 알지 못했던 과학적 사실을 다수 알고 있으며 교사의 발의에 누구보다도 성실하게 답하는 학생임.
수학과 과학에서 많이 쓰이는 그래프는 누가 언제 발명했는지 궁금증을 느껴 그래프의 발명자에 대하여 조사함. 그래프 발명자의 생애와 그래프 아이디어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할 수 있었는지 조사하여 제출함. 이로부터 다시 좌표계에 대한 궁금증을 품게 되어 좌표계를 만든 데카르트에 대해서도 연이어 조사하여 제출함. 하나의 의문을 토대로 다음 의문을 품어 스스로 조사하며 발전해가는 학생임.
20306
9.13
10.24
20307
11.23
20308
20309
혼합물의 분리에 대해 배울 때 교과서에서 휘발유의 끓는점이 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게 아니라 범위로 소개되어 있는 것에 의문을 느끼고. 휘발유 또한 순물질이 아니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등 하나의 개념을 배우고 나면 금방 예외상황을 떠올려 이의를 제기하고 학급에 개념의 이해를 심화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고마운 학생임.
조석에 대해 배울 때 달의 타원궤도에 대해 언급하며 '달의 거리에 따라 조석현상이 달라질 수 있는지' 질문함. 본인이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에 배운 내용을 접합하는 능력이 뛰어남.
20310
9.13
10.27
20311
수학과 과학에서 많이 쓰이는 그래프는 누가 언제 발명했는지 궁금증을 느껴 그래프의 발명자에 대하여 조사함.
20312
11.21
12.05
20313
20314
20315
11.21
11.28
규랑 장난쳐서 죄송.(9.27)
동전의 앞면과 뒷면의 통계를 알고 싶었는지 과학시간에 동전을 던짐(11.21)
뭐가 맨날 죄송하데; 뒤돌아봐서 용제랑 잡담함.(11.22)
20316
20317
8.22
9.1
20318
11.24
20319
9.13
20320
20321
9.1
20322
순물질과 혼합물을 배우며 '왜 물질들을 섞었을 때 새로운 성질이 나타나지 않고 각각의 성질을 그대로 지닌 채인가요?'라고 묻는 등 개념을 학습할 때 깊은 사고를 통해 좋은 질문을 하고 이를 다시 생각의 트리거로 삼는 등 과학적 사고의 수준이 높음. 개념을 배운 후 서술형 문제를 풀 때 여타 학생에 비해 성실하게 자세한 풀이를 써내려가는 모습을 보이며 매 시간의 집중도가 높음.
20323
11.23
20324
20325
9.15
10.5
화장실 못가는데 감;;
20326
20327
11.1
열팽창의 예시를 찾아보라 지시했을 때 여타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안내되는 예시를 답하는 반면, 독자적인 조사로 참신한 답을 찾아내는 의욕과 성실함을 갖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