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 일명 발명대회.

과정[편집 | 원본 편집]

  • 학교당 출품 수: 1점 이상 권장, 10점 이내. 크기 제한이 있음. 너무 크면 유의.
  • 일반적으로 도대회를 거쳐 전국대회로.
  • 본선에 오르면 발명품을 제작할 수 있는 비용이 교사에게 주어진다.(비용은 매년 14~20만원까지 상황에 따라 달라짐. 전국대회 출품하게 되면 도에서 재료비를 지원해주는 경우 있음.)

특혜[편집 | 원본 편집]

  • 입상 시, 지역장학금에서 우선순위에 속할 수 있음.
  • 각종 자기소개서 기입에 활용할 수 있음.

선배들의 한마디[편집 | 원본 편집]

출품연도 한마디
2022
  • 시간을 많이 내서 준비하자.
  • 제대로 안할 거라면 하지 말자.
  • 과하다 싶을 정도로 준비하자.
  • 유사작품과의 차이점 강조(도대회 금상 수상자)
  • 면접 전에 들어올 질문을 많이 생각하자.
  • 혼날 것 생각해서 안혼나게 준비하자.
  • 작품설명서 무조건 많이 써라.

일정[편집 | 원본 편집]

아직 요강이 안나왔다면 과거의 일정들로 대략 파악이 가능할 터.

시도 대회 일정[편집 | 원본 편집]

구분 시도 대회 문서
강원도 강원도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전국대회 일정[편집 | 원본 편집]

구 분 2025
개최요강 발표 2025. 1월
대회 출품작

지도교원 협의회

6. 8.(토)
출품원서접수 7. 2.(수)
선행기술조사 7. 21.(월) ~ 7. 30.(수)
예비(서면)심사 7. 21.(월) ~ 7. 30.(수)
작품 반입 8. 10.(일) ~ 8. 11.(월)
면담 심사 8. 12.(화)
결과 발표 8. 28.(목)
개관식/시상식 10. 15.(수)
전시기간 8. 15.(금) ~ 8. 30.(토)
작품반출 8. 31.(일) ~ 9. 1.(월)

포상[편집 | 원본 편집]

시도 포상은 시도 대회 문서 참고.

학생 준비[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인 준비[편집 | 원본 편집]

  • 제작동기.
  • 다양한 시제품과 탐구일지.
  • 시제품의 장점
  • 시제품의 단점
  • 발명품 평가
  • 제작하면서 어려웠던 점
  • 발전가능성

교사 준비[편집 | 원본 편집]

주의[편집 | 원본 편집]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시험기간이 끼어서 시간 자체가 아주 부족함. 대회에 제출하기 전부터 제작에 시간을 조금씩 써야 함. 매일 아이들의 진행과정, 전체적인 조망을 지켜봐주어야 한다!

주기적으로 준비할 시간을 주어 대비하게 하면 좋다.

  • 전체일정 배부(금액사용은 5월 말까지지만, 보고서 작성이 5월 중순 즈음임에 유의!)
  • 선배의 예시 배부.
  • 제목, 선행기술조사에 힘을 쏟도록.

물품 구입[편집 | 원본 편집]

설명 유의사항
예산사용 교사의 계좌로 입금된다. 매년 지원금액은 달라짐. 실질적으로 사야 하는 물건들 목록을 뽑아낸 후 적절히 구매할 준비를 하자.(엄격하게 딱 맞출 필요는 없다. 그럴 수도 없고..)
  • 범용공구 구입 불가.
    공구 등 대회가 끝나고 난 후에도 활용할 수 있는 물품은 살 수 없다.
    연구개발서비스(시험,분석,검사), 제작의뢰비로 사용 가능.
  • 사용증빙서류는 반드시 챙기기.
    사용액과 사용내역에 대한 내용이 있는 신용카드영수증+간이영수증 등
  • 주어진 예산은 남기면 안된다.
    마지막 모자란 금액은 교사의 사비로 결재하여 주어진 예산을 초과 사용한다.
물품구매 학교에서 만드는 게 아니라면 학생의 집으로 직접 배송될 수 있게 하자.
집행내역서 사용한 내역서를 제출한다. 내역서는 수합해서 발명품 제출 시에 함께 제출한다.

반환작업이 복잡하므로 지원금액보다 초과하게 써서 잔액이 0원이 되게끔 만든다.

과학노트[편집 | 원본 편집]

학생이 직접 작성한 것... 꾸준히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제출한다.

작품설명서 작성요령[편집 | 원본 편집]

요령 설명
내용

작성요령

  • 글을 쓰기 전에 목차를 먼저 완성하게끔 유도해서 작성하게 하자.
  • 무기명 파일, 목차 등은 수정할 때마다 기계적으로 노동을 해야 하니, 제출 직전에 제작하여 제출하도록 하자.


설명서 작성 시 권장사항

  1. 작품의 착안점이 포함되도록 할 것
  2. 제안된 작품이 기성품 또는 유사품에 비해
    - 무엇이 새로운가?
    - 어떤 장점이 있는가?
    - 어떤 우수성(차별화)이 있는가? 를 명기
  3. 인용자료 및 참고자료는 반드시 명시. ※ 선행기술조사 내용이 있는 경우 첨부 권장


사진을 찍을 땐 배경을 잘 설정해 작품이 잘 보이게 하자.

문서형식

맞추기

아이들이 문서편집을 잘 하지 못한다. 예전과 달리, 한글, 워드 등의 작성을 할 일이 거의 없어져서;; 기본적인 한글 사용법과 문서작성법에 대해 알려주어야 할 터.

작품설명서 서식은 이곳을 참고하자.(https://blog.naver.com/id8436/222316898339)


과학 보고서 작성 문서를 참고하자.

제출 동영상[편집 | 원본 편집]

해야 할 것 제한(하지 말아야 할 것)
  • 3분 이내에 작품의 핵심을 정확히 설명해야 한다.
  • 작품의 착안점과 차별화된 장점을 강조해서.
  • 움직이는 작품이라면 시연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 3분을 넘기지않는다.
  • 영상의 편집은 허용하지 않는다.
  • 본인 외의 사람이 출연하지 않아야 한다.
  • 출품자의 인적을 알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배제한다.(교복을 입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메시지 메시지
초기 인프라 작성해야 할 것.

1. 학생 연락처.

아래 링크에 작성하기.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rhNoiIOLcrYJFTc9P0yvquOX-za8bGwJSw0ItK8gg4/edit?usp=sharing


2. 출품계획서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 작성하기.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t:/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b4x3rdxxhRNgf2rOaXuL4YBX9sJStdSUi-Vd6GoxWSwxA?e=u5kVZS


3. 출품계획서 제출

위에서 다운받은 양식으로 작성하여 아래 링크에 업로드하기.(이름은 예시처럼 바꿔서)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f:/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qyFbMWJXSRDsQLyqmYQkYQBYqr8KwXLQig-XoI7GHoj_A?e=T8U2z5

작성에 도움 줄 것들 작성에 도움 줄 것들.

1. 한글 설치파일.(교육용이므로 외부유출 금지)

다운로드받은 후에 압출 풀고 설치하세요~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u:/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S5uCsPVeGpLrQM6XHZT8o4BQRgVDpnFm34iSst28RWm7g?e=cq4eUU


2. 발명 노하우 문서.

http://id8436.iptime.org:8080/mediawiki/index.php/%EB%B0%9C%EB%AA%85%ED%92%88_%EB%8C%80%ED%9A%8C


3D프린터 참고 사이트

1. https://www.tinkercad.com/dashboard

틴커캐드에서도 우측 위 보면 다른 사람들이 만든 것들 검색 가능해요~

2. https://www.thingiverse.com/

다른 사람들이 만든 모델은 여기가 짱이지.


유의사항.

1. 학교 3D프린터는 15cm이하만 출력 가능.(보정 구조물까지 고려하여 가로세로높이 다 14.5cm 안쪽으로!)

2. 학교 인터넷은 느려서 학교에서 작업하면 많이 답답함;

작품 제작 합격자들 할 일.

축하해요~ 이제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데, 여기에 대한 필요 물품을 기입해야 해요~

- 4.6(화) 저녁까지 작성해야 합니다.(제출기한이 빠듯하거든요;;)

- 인당 150,000원까지의 재료비 사용이 가능합니다.(깎일 수도 있음.)

1. 실제 물품 구입 준비.

아래 1번 링크에서 실제로 구매할 것들을 G마켓에서 찾아 링크를 기입합니다.

2. 작품제작비 신청서 작성.

- 2번 링크에서 신청서 양식을 받아 작성해보세요~(완전 자세할 필요는 없음, 15만원 다 채울 필요도 없음.)

3. 작품제작비 신청서 올리기.

3번 링크의 위치에 각자의 이름이 포함시켜 신청서를 올려주세요~!

4. 본선 제출 문서.

각종 문서들은 제출하면 담당선생님께 연락드려서 피드백 받도록 하세요~

5. 3D 모델링.

본인이 할 수 있다면 상관 없지만, 업체에 맡겨 제작해보고 싶은 학생들은 이 톡방에 따로 알려주세요~!

이제 핵심 임무는 발명품 제작입니다.

- 원하는 학생들에게 매일 과학2실을 개방하겠습니다.

- 가능하면 매일 남아 발명품제작을 진행하길 바래요.(계획, 재료구매 등 바쁠거에요)

- 3D모델링 맡기고 싶은 사람은 부담 없이 이곳에 써주세요~(이번주 안에 인원 파악을 위해서..!)


1. 물건 기입 링크.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p_ehyRWEHJidTT1CvoC0Zi5yonVxt6Ci_tr48o7bvBw/edit?usp=sharing


2. 작품제작비 신청서 등 양식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f:/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nWRQnPq2xJDg9zqwb-GOX0BoOtu2KwnJrQN-w18Pnkptg?e=AUPMHB


3. 작품제작비 신청서 올리기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f:/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gWaex4RebpCjKsCA8_aFTUBaBkQbVjcyNgVukjVlxxJsg?e=9zzazh


4. 본선대회 제출 문서들

https://k100001311-my.sharepoint.com/:f:/g/personal/id8436_wjm_gwe_ms_kr/Ehz_jUx354BCqgIvbLQaTiMB9CCdGu7oScVUV5N5XB913Q?e=HMqpd2

점검[편집 | 원본 편집]

  • 아이들이 문서편집에 대한 이해가 적다보니, 양식을 무시하고 적는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를 대비해 대회에서 요구한 양식표와 과거 우수사례, 아이들의 문서까지 3개의 문서를 보며 아이들 것을 점검해가면 좋다.
  • 과학 보고서 작성 문서를 참고하여 교육도 함께 하면 좋다.

단톡방 들어오기[편집 | 원본 편집]

모두가 빠르게 연락할 수 있도록.

과거예시[편집 | 원본 편집]

선배들의 예시.

노트북 or 컴퓨터 준비[편집 | 원본 편집]

파일을 작성할 기기 준비하기.(6대까지는 과학부에서 빌려줄 수 있음.)

작성안내[편집 | 원본 편집]

가. ‘제작 동기 및 목적’, ‘작품 설명 및 그림’, ‘제작 방법’, ‘활용 전망 및 기대효과’, ‘선행기술조사’ 등으로 작성하되, 위 내용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할 수도 있으나, 선행기술조사는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나. 작품 내용을 설명할 때 작품의 아이디어(차이점, 구성, 특징, 장점 등)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그림이나 사진 등을 삽입하여 작성한다.

다. 작품의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작성하며, 주의할 점은 아이디어가 향후 실물 제작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마. 선행기술조사 검색 필수사이트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http://www.science.go.kr/)

◦ 대한민국 학생발명전시회 (http://www.kosie.net/)

◦ 특허정보검색서비스 KIPRIS (www.kipris.or.kr)

◦ 네이버 전문정보 (http://academic.naver.com/)

◦ 기타 사이트(구글, 다음 등 위 목록에 없는 사이트 검색 결과)

바. 특허 출원 내용 기록: 해당자만 추가 기록함

준비![편집 | 원본 편집]

  • 선행자료 조사: 이동률의 제출물이 참고할만하다.
  • 제목 구체화: 한번에 발명품의 특징을 알 수 있게 제목을 최대한 구체화 해보자.

본선(전국대회)[편집 | 원본 편집]

선행기술조사 사이트는 설명회 자료 참고해보자.

  • 제출해야 할 서류가 많다. 제출서류는 따로 첨부파일이 아니라, 대회 요강에 포함되어 있다.
  • 중복되는 내용도 많으니, 작품설명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한 후, 이를 요약한 작품설명표, 더 요약한 작품요약서 형태로 줄여가면 일을 여러번 하지 않아도 된다.


작품 제작을 할 수 있는 지원금을 더 제공하는데, 도대회 결과를 받은 후 바로 만들지 않으면 상당히 빠듯하다.(22년의 경우, 6월 20일에 제작비 지원신청서 제출 공문이 왔고, 7월1일까지 서류제출이었다. 설치는 8월 21, 면담심사는 23일.)

면접준비[편집 | 원본 편집]

  • 본선 이후 은상 이상의 수상자들은 따로 면접을 보기도 한다.
  • 대회에서 준비해 주는 것은 작품요약표 뿐. 각 물건의 이름표, 시제품 등 전시물은 발표자가 준비해야 한다.
  • 면담은 개인당 2회, 작품당 8분(설명3분, 질의응답 5분) 이내.
  • 발명일지를 꾸준히 작성하여 면접 때 전시해둔다. 상위 입상을 하기 위해선 2달정도에 걸쳐 20회 이상 작성하면 좋다.
전시 예시

예상질문[편집 | 원본 편집]

나오는 질문은 뻔한 편. 애초에 어필할 수 있는 요소를 다 쏟아놓고 오자.

나왔던 질문 질문
2021년
  1. 발명품에 들어간 과학적 원리
  2. 기존 제품에 비해 차별한 장점
  3. 무슨상 받을 것 같고 그 이유는?
2022년
  • 발명품의 가장 획기적인 것은 무엇이었나?
  • 발명품의 가장 큰 특징은?
  • 이것이 편리성을 높이는가
  • 경제성이 있는가
  • 만들며 가장 힘들었던 점.
  • 태엽 등 작동에 관한 질문.
  • 온오프 기능 없냐.
  • 질문보다 조언이 주류.
  • 조언, 지적이 대다수(주름에 광고를 넣으면 어떨까? 주름을 위에 두면 어떨까? 다른 심사위원은 위에 두면 안된다고.. 반도체를 써라. 초음파 센서보단 촉각 감지센서가 어떨까?)
  • 외부 유사작품 보여주며 지적.
  • 15분동안 혼남.

대통령상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 가장 첫 순서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들 발표하는 걸 들으며 대응할 수 있다.
  • 시선은 심사자들을 향해, 옆집 아저씨에게 이야기하듯.
  • 실패한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곁들여지면 좋다.
  • **할 것 같습니다.라는 애매한 표현보다 **할 수 있습니다.형태로 말해보자.

학부모가 인솔하는 경우[편집 | 원본 편집]

대전까지 가야 해 부담이 큰데, 학부모가 직접 인솔해 가시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내부결재를 내서 사건, 사고가 생겼을 때 공제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조치해두자.

제 43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작품설치 및 면담심사 참여 일정 운영 계획
  1. 관련 : 원주중학교-1234(2022.07.21.)
  2. 제 43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작품설치 및 면담심사 참여 일정을 다음과 같이 운영하고자 합니다.
    1. 심사일정
      1. 작품설치 : 2022.08.20.(토) ~ 8.21(일), 09:30~17:00
      2. 면담심사 : 2022.08.24.(수), 10:00~17:00
    2. 심사장소 : 국립중앙과학관 ~~~~~~~
    3. 참여학생 : 원주중학교 2학년 ***
    4. 인솔자 : 학생 학부모

하위 항목은 가) 1) 등으로 바꾸어서 정리하면 깔끔할듯.

당일 준비[편집 | 원본 편집]

인솔 선생님은 13~15시까지 대기해야 한다. 차나 근처 카페에서 대기하면 OK.

다른 학생들 발표할 동안 기다려야 하는데, 2시간 정도 멍하니 있어야 하니, 책을 가져오는 등 할 걸 챙겨오는 편이 좋다.

식사[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해결한 후 12:30에 입장한다.

돌아올 때 유의[편집 | 원본 편집]

다른 학교의 작품 설명표와 바꾸어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원주 내라면 모를까, 다른 도시라면 가져오기 어렵다.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분류에 속하는 문서

이 분류에는 문서 1개만이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