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 일명 발명대회.
과정[편집 | 원본 편집]
- 학교당 출품 수: 1점 이상 권장, 10점 이내. 크기 제한이 있음. 너무 크면 유의.
- 일반적으로 도대회를 거쳐 전국대회로.
- 본선에 오르면 발명품을 제작할 수 있는 비용이 교사에게 주어진다.(비용은 매년 14~20만원까지 상황에 따라 달라짐. 전국대회 출품하게 되면 도에서 재료비를 지원해주는 경우 있음.)
특혜[편집 | 원본 편집]
- 입상 시, 지역장학금에서 우선순위에 속할 수 있음.
- 각종 자기소개서 기입에 활용할 수 있음.
선배들의 한마디[편집 | 원본 편집]
출품연도 | 한마디 |
---|---|
2022 |
|
일정[편집 | 원본 편집]
아직 요강이 안나왔다면 과거의 일정들로 대략 파악이 가능할 터.
시도 대회 일정[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시도 대회 문서 |
---|---|
강원도 | 강원도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 |
전국대회 일정[편집 | 원본 편집]
구 분 | 2025 |
---|---|
개최요강 발표 | 2025. 1월 |
대회 출품작
지도교원 협의회 |
6. 8.(토) |
출품원서접수 | 7. 2.(수) |
선행기술조사 | 7. 21.(월) ~ 7. 30.(수) |
예비(서면)심사 | 7. 21.(월) ~ 7. 30.(수) |
작품 반입 | 8. 10.(일) ~ 8. 11.(월) |
면담 심사 | 8. 12.(화) |
결과 발표 | 8. 28.(목) |
개관식/시상식 | 10. 15.(수) |
전시기간 | 8. 15.(금) ~ 8. 30.(토) |
작품반출 | 8. 31.(일) ~ 9. 1.(월) |
포상[편집 | 원본 편집]
시도 포상은 시도 대회 문서 참고.
학생 준비[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인 준비[편집 | 원본 편집]
- 제작동기.
- 다양한 시제품과 탐구일지.
- 시제품의 장점
- 시제품의 단점
- 발명품 평가
- 제작하면서 어려웠던 점
- 발전가능성
교사 준비[편집 | 원본 편집]
주의[편집 | 원본 편집]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시험기간이 끼어서 시간 자체가 아주 부족함. 대회에 제출하기 전부터 제작에 시간을 조금씩 써야 함. 매일 아이들의 진행과정, 전체적인 조망을 지켜봐주어야 한다!
주기적으로 준비할 시간을 주어 대비하게 하면 좋다.
- 전체일정 배부(금액사용은 5월 말까지지만, 보고서 작성이 5월 중순 즈음임에 유의!)
- 선배의 예시 배부.
- 제목, 선행기술조사에 힘을 쏟도록.
물품 구입[편집 | 원본 편집]
설명 | 유의사항 | |
---|---|---|
예산사용 | 교사의 계좌로 입금된다. | 매년 지원금액은 달라짐. 실질적으로 사야 하는 물건들 목록을 뽑아낸 후 적절히 구매할 준비를 하자.(엄격하게 딱 맞출 필요는 없다. 그럴 수도 없고..)
|
물품구매 | 학교에서 만드는 게 아니라면 학생의 집으로 직접 배송될 수 있게 하자. | |
집행내역서 | 사용한 내역서를 제출한다. | 내역서는 수합해서 발명품 제출 시에 함께 제출한다.
반환작업이 복잡하므로 지원금액보다 초과하게 써서 잔액이 0원이 되게끔 만든다. |
과학노트[편집 | 원본 편집]
학생이 직접 작성한 것... 꾸준히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제출한다.
작품설명서 작성요령[편집 | 원본 편집]
요령 | 설명 |
---|---|
내용
작성요령 |
|
문서형식
맞추기 |
아이들이 문서편집을 잘 하지 못한다. 예전과 달리, 한글, 워드 등의 작성을 할 일이 거의 없어져서;; 기본적인 한글 사용법과 문서작성법에 대해 알려주어야 할 터.
작품설명서 서식은 이곳을 참고하자.(https://blog.naver.com/id8436/222316898339)
|
제출 동영상[편집 | 원본 편집]
해야 할 것 | 제한(하지 말아야 할 것) |
---|---|
|
|
아이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메시지 | 메시지 |
---|
점검[편집 | 원본 편집]
- 아이들이 문서편집에 대한 이해가 적다보니, 양식을 무시하고 적는 경우도 많다. 이럴 경우를 대비해 대회에서 요구한 양식표와 과거 우수사례, 아이들의 문서까지 3개의 문서를 보며 아이들 것을 점검해가면 좋다.
- 과학 보고서 작성 문서를 참고하여 교육도 함께 하면 좋다.
단톡방 들어오기[편집 | 원본 편집]
모두가 빠르게 연락할 수 있도록.
과거예시[편집 | 원본 편집]
선배들의 예시.
노트북 or 컴퓨터 준비[편집 | 원본 편집]
파일을 작성할 기기 준비하기.(6대까지는 과학부에서 빌려줄 수 있음.)
작성안내[편집 | 원본 편집]
가. ‘제작 동기 및 목적’, ‘작품 설명 및 그림’, ‘제작 방법’, ‘활용 전망 및 기대효과’, ‘선행기술조사’ 등으로 작성하되, 위 내용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할 수도 있으나, 선행기술조사는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나. 작품 내용을 설명할 때 작품의 아이디어(차이점, 구성, 특징, 장점 등)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그림이나 사진 등을 삽입하여 작성한다.
다. 작품의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작성하며, 주의할 점은 아이디어가 향후 실물 제작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마. 선행기술조사 검색 필수사이트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http://www.science.go.kr/)
◦ 대한민국 학생발명전시회 (http://www.kosie.net/)
◦ 특허정보검색서비스 KIPRIS (www.kipris.or.kr)
◦ 네이버 전문정보 (http://academic.naver.com/)
◦ 기타 사이트(구글, 다음 등 위 목록에 없는 사이트 검색 결과)
바. 특허 출원 내용 기록: 해당자만 추가 기록함
준비![편집 | 원본 편집]
- 선행자료 조사: 이동률의 제출물이 참고할만하다.
- 제목 구체화: 한번에 발명품의 특징을 알 수 있게 제목을 최대한 구체화 해보자.
본선(전국대회)[편집 | 원본 편집]
선행기술조사 사이트는 설명회 자료 참고해보자.
- 제출해야 할 서류가 많다. 제출서류는 따로 첨부파일이 아니라, 대회 요강에 포함되어 있다.
- 중복되는 내용도 많으니, 작품설명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한 후, 이를 요약한 작품설명표, 더 요약한 작품요약서 형태로 줄여가면 일을 여러번 하지 않아도 된다.
작품 제작을 할 수 있는 지원금을 더 제공하는데, 도대회 결과를 받은 후 바로 만들지 않으면 상당히 빠듯하다.(22년의 경우, 6월 20일에 제작비 지원신청서 제출 공문이 왔고, 7월1일까지 서류제출이었다. 설치는 8월 21, 면담심사는 23일.)
면접준비[편집 | 원본 편집]
- 본선 이후 은상 이상의 수상자들은 따로 면접을 보기도 한다.
- 대회에서 준비해 주는 것은 작품요약표 뿐. 각 물건의 이름표, 시제품 등 전시물은 발표자가 준비해야 한다.
- 면담은 개인당 2회, 작품당 8분(설명3분, 질의응답 5분) 이내.
- 발명일지를 꾸준히 작성하여 면접 때 전시해둔다. 상위 입상을 하기 위해선 2달정도에 걸쳐 20회 이상 작성하면 좋다.

예상질문[편집 | 원본 편집]
나오는 질문은 뻔한 편. 애초에 어필할 수 있는 요소를 다 쏟아놓고 오자.
나왔던 질문 | 질문 |
---|---|
2021년 |
|
2022년 |
|
대통령상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팁[편집 | 원본 편집]
- 가장 첫 순서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들 발표하는 걸 들으며 대응할 수 있다.
- 시선은 심사자들을 향해, 옆집 아저씨에게 이야기하듯.
- 실패한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곁들여지면 좋다.
- **할 것 같습니다.라는 애매한 표현보다 **할 수 있습니다.형태로 말해보자.
학부모가 인솔하는 경우[편집 | 원본 편집]
대전까지 가야 해 부담이 큰데, 학부모가 직접 인솔해 가시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내부결재를 내서 사건, 사고가 생겼을 때 공제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조치해두자.
제 43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작품설치 및 면담심사 참여 일정 운영 계획
|
하위 항목은 가) 1) 등으로 바꾸어서 정리하면 깔끔할듯.
당일 준비[편집 | 원본 편집]
인솔 선생님은 13~15시까지 대기해야 한다. 차나 근처 카페에서 대기하면 OK.
다른 학생들 발표할 동안 기다려야 하는데, 2시간 정도 멍하니 있어야 하니, 책을 가져오는 등 할 걸 챙겨오는 편이 좋다.
식사[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해결한 후 12:30에 입장한다.
돌아올 때 유의[편집 | 원본 편집]
다른 학교의 작품 설명표와 바꾸어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원주 내라면 모를까, 다른 도시라면 가져오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