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발사프로젝트:총괄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로켓 발사에 대한 업무 전체적인 시야를 갖고 세부사항 조율.

외부기관과 협조 전, 파악하고 있어야 할 정보 및 전략[편집 | 원본 편집]

로켓의 스펙[편집 | 원본 편집]

공역허가 등 행정협조를 위해서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스펙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 크기(높이, 외경)
  • 무게(연료x)
  • 사용하는 화약의 종류, 양
  • 최대 높이
  • 발사대 사출속도
  • 발사각
  • 사용 면적
  • 연소시험 결과

행정[편집 | 원본 편집]

필요요소 설명 비고
장소 물색
  • 예상 최대고도만큼 안전 반경 확보.
장소 사용 허가 정부24에서 해당 주소지에 따른 토지(임야)대장 등본 발급(열람)을 통해 땅주인의 주소를 얻고 사용 허가를 득하기.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HighCtgCD=A09005&CappBizCD=13100000026&tp_seq=03
공역 허가 발사 지역 사용 허가 및 임시 공역 발효 여부(NOTAM) 확인(항공교통본부 공역총괄과)

필요시 담당 관제기관 유선통보

총포화약법 총포화약법에 개정은 없었는지 확인.

쏴도 된다는 근거만 빠르게 찾자.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총포화약법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지자체 협조 경찰서, 소방서로의 공문 연계가 있도록.

어차피 전화해봐야 공문 보내라고 하니, 해당 지역 경찰서, 소방서로 공문을 보낸다. 시청까지 하자.

+ 요청사항으로 안전관리에 대한 피드백 요청하면 좋을듯. 화재 및 인명피해 발생시 메뉴얼에 대한 조언.

산림청(1588-3249)과는 관련이 없다고 답변 받음.

로켓 발사 당일 준비물 총괄[편집 | 원본 편집]

발사를 위한 준비물[편집 | 원본 편집]

필요요소 설명 비고
발사 큐시트 아래와 같은 내용들 점검.
안전장비
  • 안전모, 보안경, 보호장갑,
  • 소화기
  • 방벽. 폭발했을 때 파편을 막을 벽.(로켓 주변에 설치. 보통 두꺼운 아크릴 판.),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로켓의 추락 대비.
    주변에 몸을 숨길 장소가 없다면 인공 엄폐물을 준비하도록.
우천대비 우산 및 우의
촬영 촬영은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
유선 점화장치
  • 최소 50m는 떨어져 안전하게 발사할 수 있도록.
  • 2~3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하시면 오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불발될 상황을 고려하여 여분 더 준비하면 좋음.

점화 실패 시엔 3분 정도는 지켜보다 접근한다.

낙하산 성공적인 로켓 회수, 인명, 재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 실험을 꼼꼼하게 진행한다.
유의사항 각종 전자기기의 핀은 납땜을 해서 가속도를 견디게 해준다.
발사시퀀스 임무 부여: 실험장 통제를 총 관리하는 책임자 1인, 로켓 모터 설치 및 관리 요원 1인 , 점화장치 관리요원 1인, 주변 통제요원 1인 등 최소 4인의 관리 요원이 있어야 한다.

체계적으로 준비 후 기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비상상황 대처요령 발생할 수 있는 대처 요령 세우기. 혹은 노하우 받기.

FAQ[편집 | 원본 편집]

  • 어째서 로켓의 발사각도는 85도 정도로 하는지? => 발사자의 안전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