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원주천탐사 화학,재료,공학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역할분담[편집 | 원본 편집]

김동영: ppt제작

권지환: 실험

함동진: 발표

윤서진: 식물 채집

사전조사[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의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 하류의 수질은 2등급이다. 상류의 수질 등급은 1등급이다.

섬강으로 이어진다.

탐구[편집 | 원본 편집]

탐구주제[편집 | 원본 편집]

단위면적안에 특정생물이 얼마나 있고 그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본다

탐구목적[편집 | 원본 편집]

하천의 식물생태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탐구방법[편집 | 원본 편집]

준비물[편집 | 원본 편집]

리트머스 종이, 증류수, 수질오염측정기, 거름종이, 컵, 삽, 체집관

탐구내용[편집 | 원본 편집]

흙의 산성도를 측정한다.

탐구과정[편집 | 원본 편집]

1. 강상류 부분에서 분포하는 식물들을 채집하여 정리한다

2. 강하류 부분에서 분포하는 식물들을 채집하여 정리한다

3.강 상류에서만 사는 식물 강하류에서만 사는 식물 두곳에서 모두 사는 식물로 분리한다

4. 강 하류와 강 상류의 수질을 확인한다

5. 강하류와 강상류의 식물 분포가 왜그렇게 되었는지 식물이 잘 사는환경을 조사하여 알아본다

탐구결과[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 탐사 용존산소량(mg/L) 수질ph농도 alkalinity ppm hardness ppm nitrite(NO2-)ppm nitrite(NO3-)ppm 중금속 ppb
상류 라벤더, 민들레 10.59 7.5 80 25 0 20 20
중상류 붓꽃, 민들레, 냉이씨앗 10.69 7.5 80 25 20 20
중류 안개꽃, 암모비움, 민들레, 싱아씨앗, 칡 10.75 7.5 80 75 20 20
중하류 민들레, 향나무 10.78 8 80 0 20 20
하류 민들레 10.78 8 80 25 20 20

탐구결과: 하류쪽으로 내려 갈 수록 용존산소량이 높아지고 ph농도 또한 높아졌다

오차분석: 처음에는 하류로 내려갈 수록 물의 깨끗함을 보여주는 수치중 하나인 용존산소량아 더 낮게 측정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하류로 갈 수록 용존산소량이 다소 높았다. 이 부분에서 결과가 이렇게 나타나는 이유는 움직인 거리가 그리 많지 않아서 많은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할분담

김동영: ppt제작

권지환: 실험

함동진: 발표

윤서진: 식물 채집

사전조사

원주천의 역사

원주천 하류의 수질은 2등급이다. 상류의 수질 등급은 1등급이다.

섬강으로 이어진다.

탐구

탐구주제

단위면적안에 특정생물이 얼마나 있고 그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본다

탐구목적

하천의 식물생태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탐구방법

준비물

리트머스 종이, 증류수, 수질오염측정기, 거름종이, 컵, 삽, 체집관

탐구내용

흙의 산성도를 측정한다.

탐구과정

1. 강상류 부분에서 분포하는 식물들을 채집하여 정리한다

2. 강하류 부분에서 분포하는 식물들을 채집하여 정리한다

3.강 상류에서만 사는 식물 강하류에서만 사는 식물 두곳에서 모두 사는 식물로 분리한다

4. 강 하류와 강 상류의 수질을 확인한다

5. 강하류와 강상류의 식물 분포가 왜그렇게 되었는지 식물이 잘 사는환경을 조사하여 알아본다

탐구결과

원주천 탐사

용존산소량(mg/L)

수질ph농도

alkalinity ppm

hardness ppm

nitrite(NO2-)ppm

nitrite(NO3-)ppm

중금속 ppb

상류

라벤더, 민들레

10.59

7.5

80

25

0

20

20

중상류

붓꽃, 민들레, 냉이씨앗

10.69

7.5

80

25

20

20

중류

안개꽃, 암모비움, 민들레, 싱아씨앗, 칡

10.75

7.5

80

75

20

20

중하류

민들레, 향나무

10.78

8

80

0

20

20

하류

민들레

10.78

8

80

25

20

20

탐구결과: 하류쪽으로 내려 갈 수록 용존산소량이 높아지고 ph농도 또한 높아졌다

오차분석: 처음에는 하류로 내려갈 수록 물의 깨끗함을 보여주는 수치중 하나인 용존산소량아 더 낮게 측정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하류로 갈 수록 용존산소량이 다소 높았다. 이 부분에서 결과가 이렇게 나타나는 이유는 움직인 거리가 그리 많지 않아서 많은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