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비열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1. 여름에 바다에 가면 모래는 뜨거운데, 바닷물은 차갑다. 같은 태양 아래 있는데 왜 이렇게 다를까?
직업적

이유

  • 물질 관리, 각종 공학계열에서 사용되는 기초지식.
  • 열, 난방 등을 다루는 데 기초.
학문적

이유

  • 화학, 물리, 공학계열에서 사용되는 기초지식.
너희들은? 겨울에 철을 만질때 왜 다른것보다 차가운지 알수있기 때문 => 이건 비열이랑은 관련이 적고, 전도랑 관련이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비열을 이용해 빨리 익혀야 하는 물질이 있을 때 비열이 낮은 물질을 알아보고 사용할 수 있다.

배워야 할 것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영상
비열에 따라 다르게 올라가는 온도
1주일간 온도변화 2022-10월 말 일교차가 클 때..

https://www.dogdrip.net/dvs/d/22/10/07/gcm/932da52086fe030f74e8530f93ab3e25.mp4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핵심개념[편집 | 원본 편집]

개념 설명 예시
열용량 어떤 물질의 온도를 1˚C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단위는 J/˚C 많은 물을 끓이기 어렵다.
열량 단위는 cal, J 등. 열에너지의 양.
비열 比견주다, 熱덥다.

어떤 물질 1kg의 온도를 1˚C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단위는 J/(kg ˚C)

해양성 기후는 대륙성 기후보다 연교차가 적다.

상대비열표[편집 | 원본 편집]

물질 설명
0.11
모래 0.19
알루미늄 0.12
콘크리트 0.21
콩기름 0.47
얼음 0.5
에탄올 0.57
1

참고로 물의 비열은 4.184 J/g•K이다.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한국인에겐 냄비근성이 있다고 한다. 무슨 의미일까?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비열이 낮으면 좋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비열이 낮아서 유익한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가 있을까?
  2. 사람의 몸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다. 체온유지의 관점에서 물로 구성된 것에 어떤 이점이 있을까?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질문 대답
개념 어떤 물질을 늘린 모습과 그대로인 모습의 어떤 물질은 비열이 같을까요 늘려 놓으면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입자의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비열은 낮아지지 않을까 싶네요,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물질이 종류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데 필요한 열량이 모든 물체가 다 같으면 어떤일이 생기나요? 비열이 모두 같아지면.... 다같이 온도가 빠르게 변하거나 다같이 온도가 느리게 변하겠군요.

냄비를 철로 만들 필요 없이, 녹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만들게 될지도!?

보일러에 물 대신 기름이나 포르말린 같은 느낌의 액체를 사용하게 될지도!?

비열을 발견한 과학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우? 너무 당연한 거라.. 잘 모르겠네;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압력에 따라서 비열은 변하죠? 네. 압력이 크면 입자들이 더 뭉치잖아요. 그럼 온도를 올리기 더 힘들어질 수도 있지요.
기체도 비열이 있나요 ㅇㅇ 모든 물질에.
호기심 비열이 가장 큰 물질은 무엇인가요? 교과서에선 물이 비열이 가장 큰 것으로 나오지만, 암모니아의 비열은 물보다 더 큽니다. 이외 수소, 헬륨 등의 비열이 물보다 큰데(물보다 큰 건 그리 많진 않습니다), 같은 부피에서 물보다 비열이 큰 물질은 들어본 적이 없어요~

하여간 결론! 단위질량당 비열이 가장 큰 물질은 수소입니다.(2022년 기준) 아마 원자가 가벼운 만큼 입자의 수가 많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겠네요. 분자 갯수별로 봤을 때 가장 큰 것은 물입니다.(2022년 기준)

바닷물은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는다 했는데 그러면 비열이 작으면 어떻게 되나요? 바닷물의 비열이 작으면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나라들의 일교차가 커질거에요.

물이 빨리 식어서 보일러에 물을 안쓸듯; 몸의 온도가 너무 빠르게 변해서 의복문화가 더 발전할듯. 하지만, 디자인적으로는 퇴화하지 않을까?

고문으로 옷 벗기기를 쓸 수 있을듯.

핵폭탄이 터졌을때 땅에 있는것 보다 물에 있을때 살 가능성이 높나요? 물이 비열이 더 크니까요. ㅇㅇ.

비열도 크고, 방사선도 조금은 막아줍니다. 그래서 물에 있는 편이 더 안전.

만약에 돌이 비열이 엄청 낮으면 가스버너로도 마그마로 만들수 있나요 지금도 가스 버너로 마그마 만들 수 있지 않나???
물의 비열이 큰 이유가 있나요 수소결합. 고등학교 가서 배우세요~
돌은 비열이 크나요? 물보단 작지만, 철보단 크죠. 상대적이라 말하기 어려울듯.
돌판은 잘 식지 않는데 그럼 잘 달궈지지도 않는데 왜 돌판에 구워요? 돌판 잘 식는데;;? 열전도도 빠르고.

+ 기분.

돌판이 잘 안식는다는 의견이 있는데, 물에 비해선 잘 식고, 철판에 비해선 잘 안식어서 음식점에서 돌판에 음식을 서빙하기도 하죠~ 그런 의미에선 잘 안식어요~

손톱과손가락의온도는같나요? 모르겠는데;;;?
비열이 가장 작은 물질은 뭔가요?

비열이 가장 자궁 물질은 무엇인가요?

모르겠는데;;;? 조사 세특.
아까 본 영상에서 바다 온도가 비교적 높은곳과 낮은곳이 있는데 그걸 보고 바다 높이차이를 알 수 있을까요? ㅇ완전하진 않아도 어느 정도 예상해 볼 순 있겠죠.
우리 몸에 물이 70말고 90이면 어떻게 되나요. 문어인간? 뼈 대신 물이 차려나???
퀘이사가 밀도가 압축이 된 것인데 거기서 하나의 블랙홀이 더 합쳐지면 어떻게 돼나요? 블랙홀 + 질량 = 블랙홀
기타
헛소리 비열해지는 방법이 궁금해요 넌 지금 충분히 비열해.
비열한사람들은 비열이 낮나요 비열이 높다고 생각해. 사람이 안변하거든.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여름에 바다에 가면 모래는 뜨거운데, 바닷물은 차갑다. 같은 태양 아래 있는데 왜 이렇게 다를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빛의 굴절 자신감이 넘치는군요. 다리를 굴절.시키고 싶다.
모래가 바닷물보다 비열이 낮기 때문이다. 굳.
물은 모래보다 더 비열해가지고 온도가 쉽게 변하지않는다. 더 비열하면 온도가 쉽게 안변한다. 굿.
같은 양의 열을 받아도 온도가 변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베리굿.
한국인에겐 냄비근성이 있다고 한다. 무슨 의미일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우리는 냄비의 민족이기 때문이다. 냄비의 민족이 뭔데';
냄비는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 근성이라는 뜻일 것 같다. 아주 굉장히 훌륭한 추론입니다만, 냄비는 비열이 작아요...
빨리 닳아오르고 빨리 식는 냄비처럼 한국인도 빨리 흥분하고 빨리 식는 그런 의미이지않을까,, 꿋. 아주 정확합니다.
하나의 이슈가 생기면 벌 마냥 몰려서 비판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아무일 없이 행동하는 한국인을 비판하는 말

군중들이 어떤이슈에대해서 빨리흥분하다 쉽게 잊어버리는현상

군중들이 빨리 끓어오르고 빨리 식는 현상을 비유한 것

비열이 낮으면 좋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비열이 낮아서 유익한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가 있을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고기를 구울 때 불판이 데펴지는 시간을 줄여 고기를 빨리 억을 수 있다. 굿. 훌륭.
기름이 빨리 끓어서 치킨을 빨리 먹을수 있다! 굿. 조금 맥락이 다르긴 하지만 굿.
양은냄비 낫 베드~
철을 녹여서 모양을 잡을때 빨리 녹는다 이거죠??
핫팩 핫팩은 비열이라기 보단 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건데;;;
문고리를 빠르게 가열하여 강도를 퇴치할 수 있다. 굿.
사람의 몸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다. 체온유지의 관점에서 물로 구성된 것에 어떤 이점이 있을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온도가 유지된다

물이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온도가 변화가 덜 일어난다

온도 유지에 유리합니다.
물은 비열이 높은 편이어서 우리 몸의 온도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하는데 쓰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