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원주천탐사 프로그래밍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역할분담[편집 | 원본 편집]

이준석: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여승민: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박상훈: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사전조사[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편집 | 원본 편집]

길이 28.5km, 유역 면적 150.33㎢. 북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강원도 원주시 금대리에서 발원하여, 주산리에서 섬강에 합류하는 국가하천이며, 한강의 제2 지류이고 , 섬강의 제1지류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A3%BC%EC%B2%9C

https://namu.wiki/w/%EC%9B%90%EC%A3%BC%EC%B2%9C

탐구[편집 | 원본 편집]

탐구주제[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 토양 산성도 측정

탐구목적[편집 | 원본 편집]

원주천 상류, 중류, 하류의 오염도 차이와 그 원인을 조사하고 산성도 차이에 따라 식물의 생장 정도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탐구방법[편집 | 원본 편집]

준비물[편집 | 원본 편집]

PH시험지, 페트리접시, 수질오염측정기, 삽, 증류수

탐구내용[편집 | 원본 편집]

1) 원주천 흙의 산성도를 조사해 식물의 생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본다

2) 수질오염측정기를 이용해 원주천 상류, 중류, 하류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고 식물 생장정도를 비교해본다

탐구과정[편집 | 원본 편집]


  1. 원주천의 흙을 페트리접시에 담는다
  2. 흙에 증류수를 뿌려 PH시험지를 이용하여 산성도를 측정한다
  3. 산성도에 따른 식물의 생장정도를 비교한다

탐구결과[편집 | 원본 편집]


PH시험지(PH) 수질PH측정기(PH)
풀 많음 5 7.6
풀 없음 6 8.9
물가 6 7.6
다리 밑 6 8.8
잔디 5 7.9
잔디 2 4 7
차도 6 8.1
나무 밑 4.5 7.1

식물의 생장속도는 산성도에 관계없이 모두 비슷했다.

생장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산성도 이외에도 다양하기 때문

PH시험지로 측정한 값은 대부분 5~6 사이로 나왔고

식물은 약산성과 중성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식물이 대체로 잘 성장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보완할 점[편집 | 원본 편집]

PH시험지와 수질 PH측정기의 값의 차이가 컸는데

먼저 PH 시험지의 경우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실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질 PH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첨가한 증류수의 양에 따라 측정값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보완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편집 | 원본 편집]

역할분담

이준석: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여승민: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박상훈: 토양 산성도 측정 및 기록, 수질 오염 측정

사전조사

원주천

길이 28.5km, 유역 면적 150.33㎢. 북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강원도 원주시 금대리에서 발원하여, 주산리에서 섬강에 합류하는 국가하천이며, 한강의 제2 지류이고 , 섬강의 제1지류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A3%BC%EC%B2%9C

https://namu.wiki/w/%EC%9B%90%EC%A3%BC%EC%B2%9C

탐구

탐구주제

원주천 토양 산성도 측정

탐구목적

원주천 상류, 중류, 하류의 오염도 차이와 그 원인을 조사하고 산성도 차이에 따라 식물의 생장 정도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탐구방법

준비물

PH시험지, 페트리접시, 수질오염측정기, 삽, 증류수

탐구내용

1) 원주천 흙의 산성도를 조사해 식물의 생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본다

2) 수질오염측정기를 이용해 원주천 상류, 중류, 하류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고 식물 생장정도를 비교해본다

탐구과정


  1. 원주천의 흙을 페트리접시에 담는다

  2. 흙에 증류수를 뿌려 PH시험지를 이용하여 산성도를 측정한다

  3. 산성도에 따른 식물의 생장정도를 비교한다

탐구결과


PH시험지(PH)

수질PH측정기(PH)

풀 많음

5

7.6

풀 없음

6

8.9

물가

6

7.6

다리 밑

6

8.8

잔디

5

7.9

잔디 2

4

7

차도

6

8.1

나무 밑

4.5

7.1

식물의 생장속도는 산성도에 관계없이 모두 비슷했다.

생장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산성도 이외에도 다양하기 때문

PH시험지로 측정한 값은 대부분 5~6 사이로 나왔고

식물은 약산성과 중성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식물이 대체로 잘 성장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보완할 점

PH시험지와 수질 PH측정기의 값의 차이가 컸는데

먼저 PH 시험지의 경우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실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질 PH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첨가한 증류수의 양에 따라 측정값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보완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