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물체를 보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실험영상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실험영상=== | ===실험영상===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실험 | ||
! | !영상 | ||
|- | |- | ||
|빛이 없다면..? | |빛이 없다면..?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 ||
=== 심화질문 === | ===심화질문=== | ||
# 르브르 박물관에선 더 잘 보기 위해 조명이나 플래시를 터뜨리는 것을 금지한다. 왜 잘 보기 위한 행동을 금지하는 걸까?! | #르브르 박물관에선 더 잘 보기 위해 조명이나 플래시를 터뜨리는 것을 금지한다. 왜 잘 보기 위한 행동을 금지하는 걸까?! | ||
# | # |
2020년 9월 9일 (수) 00:17 판
틀:15개정 과학 중1 단원 보기
배우는 이유
흥미적
이유 |
들어가기 전에 생각해 보세요.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
|
---|---|
직업적
이유 |
물체를 보는 과정을 이해하면 안경, 망원경, 현미경 등을 만들어 다양한 관찰을 할 수 있다. |
학문적
이유 |
인류는 물체를 보는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 빛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만들거나 - 레이저를 만드는 등 문명의 큰 발전을 이루었다. |
도입
학습
실험영상
실험 | 영상 |
---|---|
빛이 없다면..? | 당연히 아무것도 보이지 않죠~? 일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업요약
개념 | 설명 |
---|---|
광원 | 스스로 빛을 내는 태양, 촛불, 형광등 따위를 광원이라고 한다. |
물체를 보는 과정 | 물체를 보기 위해선 3가지가 필요하다.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 닿은 후 반사되어 눈에 들어와 보이게 된다. 셋 중에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우리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 |
질문
전개질문
- 물체와 눈 사이에 벽을 두면 물체를 볼 수 있을까? 있다면 이유는? 없다면 이유는?
- 달은 빛을 내는가?
도착질문
- 광원과 물체 사이에 벽을 두어도 다른 부분이 뚫려있으면 물체를 볼 수 있다. 광원을 막아뒀는데도 어떻게 볼 수 있는 걸까?
- 태양이 지면 빛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밤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태양이 지고 나서도 하늘은 제법 밝고, 조명 없이도 볼 수 있는데, 왜 그런 것일까?
답
보기 전에 먼저 풀어보세요~
더 나아가기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심화질문
- 르브르 박물관에선 더 잘 보기 위해 조명이나 플래시를 터뜨리는 것을 금지한다. 왜 잘 보기 위한 행동을 금지하는 걸까?!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