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sharp: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C sharp}} == 선언 == 각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 class="wikitable" |+ !public !void !name !() !{명령} |- !'''사용권한''' !'''타입'''...) |
잔글 (→선언)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C sharp}} | {{C sharp}} | ||
== 선언 == | == 개요 == | ||
C#에선 메소드라고도 부른다. | |||
<br /> | |||
==선언== | |||
각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 각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public | |- | ||
!void | !'''사용권한''' | ||
!'''반환할 데이터 타입''' | |||
!'''이름''' | |||
!'''인자값''' | |||
!'''명령문''' | |||
|- | |||
|public | |||
|void | |||
{| class="wikitable" | |||
|+ | |||
!타입 | |||
!설명 | |||
|- | |||
|void | |||
|반환할 타입이 없다. | |||
(조작만 할 뿐. 바깥의 변수를 조작한다.) | |||
인자를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 |||
|- | |||
|일반 | |||
|int, float, string 등의 반환타입을 기입. | |||
|} | |||
|name | |||
|(타입 변수명) | |||
|{명령 | |||
return 변수명;} | |||
|} | |||
데이터를 반환하는 경우엔 반드시 return이 필요하다. | |||
{| class="wikitable" | |||
|- | |- | ||
!'''사용권한''' | !'''사용권한''' | ||
16번째 줄: | 44번째 줄: | ||
!'''인자값''' | !'''인자값''' | ||
!'''명령문''' | !'''명령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용 === | |||
변수명=함수명(); | |||
<br /> | |||
=== 지역변수 === | |||
함수 안에서 정의된 변수로, 함수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
=== 전역변수 === | |||
함수 바깥에서 정의되어 모두가 사용할 수 있다. |
2020년 9월 2일 (수) 21:54 판
C#에 대한 지식들을 모았다. 틀:C sharp
개요
C#에선 메소드라고도 부른다.
선언
각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사용권한 | 반환할 데이터 타입 | 이름 | 인자값 | 명령문 | ||||||
---|---|---|---|---|---|---|---|---|---|---|
public | void
|
name | (타입 변수명) | {명령
return 변수명;} |
데이터를 반환하는 경우엔 반드시 return이 필요하다.
사용권한 | 타입 | 이름 | 인자값 | 명령문 |
---|---|---|---|---|
사용
변수명=함수명();
지역변수
함수 안에서 정의된 변수로, 함수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전역변수
함수 바깥에서 정의되어 모두가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