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증산작용: 두 판 사이의 차이

학교의 모든 지식. SM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
|
*
*
|-
!배워야 할 것
|식물은 식물체 속이 수증기로 변하여 잎의 기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중산작용을 한다
|-
|-
!너희들은?
!너희들은?
|
|가족들과 숲에 가서 걸을 때 잘난척하려고
 
증산작용은 식물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고 그 사실을 안다면 더 활용할 수 있기에
 
산에 갔을 때 왜 시원한지 알고 있으면 인싸 가능
 
식물에서 증산작용이 일어나 수분이 나온다는 걸 알고 식물에서 물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
|}
==도입==
==도입==
47번째 줄: 56번째 줄:


*증산작용이 일어나야 식물체 내의 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
*증산작용이 일어나야 식물체 내의 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
*식물의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물의 기화열 흡수로 온도를 낮춘다.)
*식물 내부 체액의 농도 조절.(사람의 피도 물과는 다르잖아?)
*식물이 먹는 물 중, 광합성에 쓰이는 물보다 증산작용으로 날려버리는 물이 훨씬 많다.
*식물이 먹는 물 중, 광합성에 쓰이는 물보다 증산작용으로 날려버리는 물이 훨씬 많다.
사람이 오줌 누는 것과 같다.


===잎의 구조===
===잎의 구조===
66번째 줄: 79번째 줄:
|엽록체 때문에 초록색을 띄며, 모양변화에 따라 기공을 여닫는다.
|엽록체 때문에 초록색을 띄며, 모양변화에 따라 기공을 여닫는다.
|}
|}
ps. 물이 없을 때 살아남기?


*
*잎에 비닐을 묶어 물을 얻는다.
*선인장 먹기.


===전개질문===
===전개질문===


#겨울에 나무들이 낙엽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


===도착질문===
===도착질문===
86번째 줄: 101번째 줄:
|-
|-
|개념
|개념
|증산작용을 안하는 식물도있나요
|선인장....마저도 증산작용을 해요. 선인장의 경우엔 오히려 줄기에서 증산작용이 일어난다고 하네요~
|-
|
|
|
|선인장은 물이 많지 않아서 증산작용을 잘 하지 못할 텐데 더운 사막의 온도는 어떻게 조절 하나요
|줄기에서 증산작용 함.
그리고 선인장은 의외로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요. 물은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아요.
|-
|-
|
|
|
|기공만있다면모두 증산작용이 일어나나요?
|
|네. 기공이 있으면 기체교환, 증산작용은 필연적이죠.
|-
|-
|
|
|
|겨울이 되면 식물 몸 속의 물이 얼나요???
|
|아뇨. 생명활동을 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나무의 경우엔 껍질로 보호해서 물이 어는 건 방지합니다.
나무 외의 작은 식물들은 뿌리만 살려두어 다음 년도에 다시 올라오거나, 죽죠.
|-
|-
|
|
|
|해초도 증산작용을 하나요?
|
|해초는 다른 방법으로 CO2를 흡수하는 듯해요. 자세히 조사해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
|공변게포는 왜 두개일까
|
|1개면 열리지 않고, 3개면 비효율적. 쓸데없이 복잡해짐.
|-
|-
|
|
|
|나무가 증산작용을 못하면 어떻게되나요
|
|사람의 피가 내부에서만 순환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될듯. 피가 탁해지듯, 나무 내부의 물에 불순물이 쌓이고, 순환이 안되니 물이 썩을 수도 있죠.
|-
|-
|
|
|
|요 작은 기공에도 엽록소가 있어서 광합성을 하는데, 식물에서 광합성을 안 하는 부분은 어디인가요?(구체적 부위를 알려주세요)
|
|뿌리! 씨앗, 꽃?
|-
|-
|
|
|
|식충식물도 증산작용을 하나요???
|
|네. 잎 있잖아?
|-
|-
|
|
|
|상식적으로 기공은 잎사귀의 윗면에 있는 것이 유리할 것 같은데 왜 기공은 뒷면에 있나요?
|
 
증산작용을 하는데 기공이 왜 잎 앞면이 아니라 뒷면에 있나요?
|아마, 원치 않는 상황에서도 증발이 너무 잘 되서 그럴 듯해요.
|-
|-
|
|
|
|식충식물이 곤충을 안먹어도 그냥 식물처럼 흙,햇빛,물 등만으로도 살 수 있나요?
|
|살 수는 있을걸? 사람도 단백질 안먹어도 살아는 있잖아요? 근손실이 오지만, 살 수는 있어요.
|-
|-
|
|
|
|식물이 증산작용을 하면 우리한테 도움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
|숲이 시원. 깨끗한 식물을 먹을 수 있음.
|-
|-
|
|
|
|공변세포를 발견한 사람은? 그리고 증산작용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
|오, 역사적인 부분은 선생님도 잘 모름;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
|여름엔 증산작용이 많아지나요?
|
|네. 여름에 일단 비가 많이 오니 흡수하는 물도 많고, 온도가 높아서 증산작용이 잘 일어나요.
|-
|-
|
|
|
|고구마도 증산작용 하나요
|
|고구마도 잎이 있죠.
|-
|-
|
|
|
|나무잎을 뜯으면 몇일안에 시드나여
|
|그건 케바케
|-
|-
|
|
|
|기공을 최대한 닫고 있을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요?
|
|몰라. 케바케.
|-
|-
|
|
|
|잎에 공면세포가 없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
 
증산 작용이 없다면 식물은 어떻게 되나요?
|니 코랑 입 막으면 무슨 일이 생기나요?
|-
|-
|
|
|
|잎이 있어서 증산작용을하는데 나무에 잎이 없으면 어캐 하나요?
|
|줄기에서 하거나... 죽죠.ㅜㅜ
|-
|-
|
|
|
|식물 증산작용을 안하고 얼마나 살 수 있나요?
|
|식물의 종마다 다르고, 식물의 크기마다 다르겠지만... 조사가 필요하겠네요.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
|식물은 광합성에 쓰는 물보다 버리는 물이 더 많은데 왜 그렇게 많이 빨아들이나요?
|
|사람도 흡수하는 물보다 그냥 배출하는 물이 많은데 왜 그럴까요?
|-
|-
|
|
|
|집을 나무로 덮어놓으면 춥나요?
|
|죽은 나무라면 따뜻하지 않을까???? 살아있는 나무라면... 적절한 온도가 유지가 될거에요. 증산작용으로 시원해지기도 하지만, 식물의 생명활동으로 기본적인 온도가 유지되죠.
|-
|-
|
|
|
|먼지 때문에 기공이 막히면 어떻게 되나요
|
|못나오지. 근데 먼지는 너무 커서 기공을 막기엔....
|-
|-
|
|
|
|나무는 증산작용울 안하고 살 수 있나요?
|
|님 오줌 안싸고 살기 가능?
|-
|-
|
|
|
|정글이 습한 이유도 증산 작용 때문인가요? 다른 이유는 없나요?
|
|주로 증산작용 때문이죠~
|-
|-
|
|
|
|나무가 한 평생 살아가면서 물이 얼마나 많이 필요한가요
|
|나무의 종류마다 다르겠지요.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214번째 줄: 239번째 줄:
|-
|-
|호기심
|호기심
|
|나무는 밑에만 있어도 살수 있나요? 나무 밑둥
|
|잎이 없으면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죽어요. 마치 사람의 턱과 소화에 필요한 기관들을 날려버리면 살아갈 수 없듯.
|-
|-
|
|
|
|이끼도 광합성을 하나요
|
|함.
|-
|-
|
|
|
|나무는 동면을 하나요?
|
|네. 낙엽 버리고 겨울모드로 들어가는 게 동면이죠.
|-
|-
|
|
|
|사람에게 기공이 있으면 증산 작용을 할수있나요
|
|사람은 코 2개 있어서 거길로 공기가, 수증기가 드나들죠.
+ 땀구멍. 피부로도 숨을 쉬죠.
|-
|-
|
|
|
|집에서 나무를 키우면 나무가 증산작용을해 집이 시원해 지나요?
|
|
|-
|-
|
|
|
|증산작용안하는 식물이 있나요
|
증산작용을 아예 하지 않는 식물이 있나요?
 
설마 증산작용을 안하는 식물은 당연히 없겠죠??
|없을걸. 해초는 어떨지 모르겠네.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
|식물에 표피가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
|사람한테 표피가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세균감염에 취약해짐. 그럼 주금.
|-
|-
|
|
|
|만약 식물의 뿌리가 물이 아닌 다른 액체를 빨아들여도 기공을 통해 배출되나요?
|
|네, 물에 섞여 함께 이동하는 액체라면 가능할듯.
|-
|-
|
|
|
|나무가 물이아닌 다른액체도 흡수하나요?
|
|물분자보다 작은 물과 비슷한 성질의 무언가라면 흡수할듯? 에탄올???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
|피톤치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
|조사해오면 세특 써드림.
|-
|-
|
|
|
|정수기에 콜라를 넣으면 정수가 되서 물이 되나요?
|
|아마 그럴듯? 실험 해보고 결과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
|-
|
|
290번째 줄: 319번째 줄:
|-
|-
|기타
|기타
|시간여행을 할때는 과거가 더 가능성이 있나요 미래가 더 가능성이있나요
|시간여행....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래로는 갈 수 있지만, 과거로 가는 방법은 이론적으로도 쉽지 않음.
|-
|
|
|
|차를 직접운전하면 멀미가 안나는데 다른자리에 타면 왜 멀미를하나요?
|운전자는 차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죠. 하지만, 동승자는 예상할 수 없어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에서 차이가 일어납니다.
|-
|-
|
|
|
|골격의 성장이 멈추지 않을 수도 있나요
|
|네. 그래서 거인증이 생기죠.
|-
|-
|헛소리
|헛소리
332번째 줄: 365번째 줄:
=답=
=답=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2" |
! colspan="2" |왜 나무들은 겨울이 되면 낙엽을 만들어 잎을 떼어낼까?
|-
|-
!답변
!답변
!선생님코멘트
!선생님코멘트
|-
|-
|
|물을 아끼기 위해
|
 
비가오지 않아 물을 버릴 잎이 필요하지 않다
|간단하지만, 너무 간단하다.
|-
|-
|
|기공에서 미세하게 수분이 빠져 나가 비가 거의 오지 않고 건조한 겨울의 날씨에 충분한 수분량을 유지 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잎을 떨어뜨린다.
|
 
겨울에는 수분을 흡수하기 힘들기 때문에 수분이 빠져나가는 잎을 낙엽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잘 썼어요~
|-
|-
|
|겨울은 추워서 기공이 닫힌다 즉 안에 있는 물이 밖으로 못 나가는데 이럼 안에 고인물이 쌓여 다른 물을 흡수 못한다. 그리하여 잎을 버려 물을 비운다.
|
|겨울엔 특수한 상황으로, 증산작용과 광합성을 포기하고 생존모드로 들어갑니다.
|-
|-
|
|떨켜라는 특별한 조직이 생겨서 잎이 떨어진다
|
|오, 좋은 지식이지만.. 왜 낙엽을 만드느냐.
|-
|-
|
|인간의 노화처럼 낙엽도 노화돼서?
|
|그니까, 잎이 왜 노화되어야 하느냐 이말이지.
|-
|-
|
|낙엽이 지는 나무가 겨울에 잠을 자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결국 낙엽은 식물이 온도와 수분 부족에 적응해서 생긴 현상이다
|
|네, 곰과 뱀처럼 겨울잠이라고 생각하면 좋아요.
|-
|-
|
|잎이얼기때문이다
|
|네, 얼기도 하죠. 하지만, 핵심은 수분의 부족.
|-
|-
|
|
364번째 줄: 401번째 줄:
|
|
|-
|-
! colspan="2" |
! colspan="2" |숲이 시원한 이유는 무엇일까?(햇빛 차단 외의 이유)
|-
|-
!답변
!답변
!선생님코멘트
!선생님코멘트
|-
|-
|
|증산작용 때문에
|
|너무 간단하죠.
|-
|-
|
|기화열을 사라지게 해서?
|
|기화열을 흡수해서.
|-
|-
|
|식물이 증산작용으로 내보내는 물 덕분에 숲이 시원하다.
|
|
|-
|-
|
|증산작용을 할 때 물이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
 
식물이 증산작용 할 때 물이 증발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시원해진다
|비교적 구체적임. 잘 썼다.
|-
|-
|
|증상작용하면 기화열을 흡수해서
|
기화열을 흡수해서
|과학적 원리까지 파악해 잘 썼네요.
|-
|-
|
|식물의 증산작용 => 물이 빠져나감 => 물이 수증기가 되면서 열을 흡수 => 숲의 기온 하강
|
|
|-
|-
|
|

2022년 5월 20일 (금) 14:19 기준 최신판



배우는 이유[편집 | 원본 편집]

흥미적

이유

출발질문(마지막까지 학습한 후에 대답해보세요~)[편집 | 원본 편집]

  1. 왜 나무들은 겨울이 되면 낙엽을 만들어 잎을 떼어낼까?
직업적

이유

  • 식물의 잎이 하는 역할에 대한 이해.
학문적

이유

배워야 할 것 식물은 식물체 속이 수증기로 변하여 잎의 기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중산작용을 한다
너희들은? 가족들과 숲에 가서 걸을 때 잘난척하려고

증산작용은 식물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고 그 사실을 안다면 더 활용할 수 있기에

산에 갔을 때 왜 시원한지 알고 있으면 인싸 가능

식물에서 증산작용이 일어나 수분이 나온다는 걸 알고 식물에서 물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도입[편집 | 원본 편집]

학습[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실험 영상
잎을 떼고 물에 담가둔 식물과, 잎이 있는 상태로 물에 담가둔 식물을 비교해보면 줄어든 물의 양이 다르다.
기공

수업요약[편집 | 원본 편집]

증산작용[편집 | 원본 편집]

蒸찔 증. 散흩을 산.

식물 속의 물이 잎의 기공을 통해 빠져나가는 현상.

  • 증산작용이 일어나야 식물체 내의 물의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
  • 식물의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물의 기화열 흡수로 온도를 낮춘다.)
  • 식물 내부 체액의 농도 조절.(사람의 피도 물과는 다르잖아?)
  • 식물이 먹는 물 중, 광합성에 쓰이는 물보다 증산작용으로 날려버리는 물이 훨씬 많다.

사람이 오줌 누는 것과 같다.

잎의 구조[편집 | 원본 편집]

tmtyxokotNjcdRqrj6ggqtzZt3.jpg

구조 설명
표피 잎의 위아래로 위치.

엽록체가 없어 투명하다.(잎을 분해했을 때 투명한 얇은 층)

기공 공변세포 2개로 이루어진 공기구멍.

이산화탄소나 산소 등 필요한 기체가 드나드는 구멍이다.

공변세포 엽록체 때문에 초록색을 띄며, 모양변화에 따라 기공을 여닫는다.

ps. 물이 없을 때 살아남기?

  • 잎에 비닐을 묶어 물을 얻는다.
  • 선인장 먹기.

전개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

도착질문[편집 | 원본 편집]

  1. 숲이 시원한 이유는 무엇일까?(햇빛 차단 외의 이유)

학생들의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하지 않은 질문[편집 | 원본 편집]

분류 질문 대답
개념 증산작용을 안하는 식물도있나요 선인장....마저도 증산작용을 해요. 선인장의 경우엔 오히려 줄기에서 증산작용이 일어난다고 하네요~
선인장은 물이 많지 않아서 증산작용을 잘 하지 못할 텐데 더운 사막의 온도는 어떻게 조절 하나요 줄기에서 증산작용 함.

그리고 선인장은 의외로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요. 물은 비열이 커서 온도가 잘 변하지 않아요.

기공만있다면모두 증산작용이 일어나나요? 네. 기공이 있으면 기체교환, 증산작용은 필연적이죠.
겨울이 되면 식물 몸 속의 물이 얼나요??? 아뇨. 생명활동을 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나무의 경우엔 껍질로 보호해서 물이 어는 건 방지합니다.

나무 외의 작은 식물들은 뿌리만 살려두어 다음 년도에 다시 올라오거나, 죽죠.

해초도 증산작용을 하나요? 해초는 다른 방법으로 CO2를 흡수하는 듯해요. 자세히 조사해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공변게포는 왜 두개일까 1개면 열리지 않고, 3개면 비효율적. 쓸데없이 복잡해짐.
나무가 증산작용을 못하면 어떻게되나요 사람의 피가 내부에서만 순환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될듯. 피가 탁해지듯, 나무 내부의 물에 불순물이 쌓이고, 순환이 안되니 물이 썩을 수도 있죠.
요 작은 기공에도 엽록소가 있어서 광합성을 하는데, 식물에서 광합성을 안 하는 부분은 어디인가요?(구체적 부위를 알려주세요) 뿌리! 씨앗, 꽃?
식충식물도 증산작용을 하나요??? 네. 잎 있잖아?
상식적으로 기공은 잎사귀의 윗면에 있는 것이 유리할 것 같은데 왜 기공은 뒷면에 있나요?

증산작용을 하는데 기공이 왜 잎 앞면이 아니라 뒷면에 있나요?

아마, 원치 않는 상황에서도 증발이 너무 잘 되서 그럴 듯해요.
식충식물이 곤충을 안먹어도 그냥 식물처럼 흙,햇빛,물 등만으로도 살 수 있나요? 살 수는 있을걸? 사람도 단백질 안먹어도 살아는 있잖아요? 근손실이 오지만, 살 수는 있어요.
식물이 증산작용을 하면 우리한테 도움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숲이 시원. 깨끗한 식물을 먹을 수 있음.
공변세포를 발견한 사람은? 그리고 증산작용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오, 역사적인 부분은 선생님도 잘 모름;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여름엔 증산작용이 많아지나요? 네. 여름에 일단 비가 많이 오니 흡수하는 물도 많고, 온도가 높아서 증산작용이 잘 일어나요.
고구마도 증산작용 하나요 고구마도 잎이 있죠.
나무잎을 뜯으면 몇일안에 시드나여 그건 케바케
기공을 최대한 닫고 있을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가요? 몰라. 케바케.
잎에 공면세포가 없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증산 작용이 없다면 식물은 어떻게 되나요?

니 코랑 입 막으면 무슨 일이 생기나요?
잎이 있어서 증산작용을하는데 나무에 잎이 없으면 어캐 하나요? 줄기에서 하거나... 죽죠.ㅜㅜ
식물 증산작용을 안하고 얼마나 살 수 있나요? 식물의 종마다 다르고, 식물의 크기마다 다르겠지만... 조사가 필요하겠네요.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식물은 광합성에 쓰는 물보다 버리는 물이 더 많은데 왜 그렇게 많이 빨아들이나요? 사람도 흡수하는 물보다 그냥 배출하는 물이 많은데 왜 그럴까요?
집을 나무로 덮어놓으면 춥나요? 죽은 나무라면 따뜻하지 않을까???? 살아있는 나무라면... 적절한 온도가 유지가 될거에요. 증산작용으로 시원해지기도 하지만, 식물의 생명활동으로 기본적인 온도가 유지되죠.
먼지 때문에 기공이 막히면 어떻게 되나요 못나오지. 근데 먼지는 너무 커서 기공을 막기엔....
나무는 증산작용울 안하고 살 수 있나요? 님 오줌 안싸고 살기 가능?
정글이 습한 이유도 증산 작용 때문인가요? 다른 이유는 없나요? 주로 증산작용 때문이죠~
나무가 한 평생 살아가면서 물이 얼마나 많이 필요한가요 나무의 종류마다 다르겠지요.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호기심 나무는 밑에만 있어도 살수 있나요? 나무 밑둥 잎이 없으면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죽어요. 마치 사람의 턱과 소화에 필요한 기관들을 날려버리면 살아갈 수 없듯.
이끼도 광합성을 하나요 함.
나무는 동면을 하나요? 네. 낙엽 버리고 겨울모드로 들어가는 게 동면이죠.
사람에게 기공이 있으면 증산 작용을 할수있나요 사람은 코 2개 있어서 거길로 공기가, 수증기가 드나들죠.

+ 땀구멍. 피부로도 숨을 쉬죠.

집에서 나무를 키우면 나무가 증산작용을해 집이 시원해 지나요?
증산작용안하는 식물이 있나요

증산작용을 아예 하지 않는 식물이 있나요?

설마 증산작용을 안하는 식물은 당연히 없겠죠??

없을걸. 해초는 어떨지 모르겠네.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식물에 표피가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사람한테 표피가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세균감염에 취약해짐. 그럼 주금.
만약 식물의 뿌리가 물이 아닌 다른 액체를 빨아들여도 기공을 통해 배출되나요? 네, 물에 섞여 함께 이동하는 액체라면 가능할듯.
나무가 물이아닌 다른액체도 흡수하나요? 물분자보다 작은 물과 비슷한 성질의 무언가라면 흡수할듯? 에탄올??? 조사해서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피톤치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조사해오면 세특 써드림.
정수기에 콜라를 넣으면 정수가 되서 물이 되나요? 아마 그럴듯? 실험 해보고 결과 알려주면 세특 써드림.
기타 시간여행을 할때는 과거가 더 가능성이 있나요 미래가 더 가능성이있나요 시간여행....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래로는 갈 수 있지만, 과거로 가는 방법은 이론적으로도 쉽지 않음.
차를 직접운전하면 멀미가 안나는데 다른자리에 타면 왜 멀미를하나요? 운전자는 차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죠. 하지만, 동승자는 예상할 수 없어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에서 차이가 일어납니다.
골격의 성장이 멈추지 않을 수도 있나요 네. 그래서 거인증이 생기죠.
헛소리

더 나아가기[편집 | 원본 편집]

교과 내용이 너무 쉬워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보세요~


보기 전에 먼저 생각해보세요~

원자들마다 전자들이 배치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

수업 후, 흥미로운 것[편집 | 원본 편집]

시간이 남을 때에만 보세요~


[편집 | 원본 편집]

왜 나무들은 겨울이 되면 낙엽을 만들어 잎을 떼어낼까?
답변 선생님코멘트
물을 아끼기 위해

비가오지 않아 물을 버릴 잎이 필요하지 않다

간단하지만, 너무 간단하다.
기공에서 미세하게 수분이 빠져 나가 비가 거의 오지 않고 건조한 겨울의 날씨에 충분한 수분량을 유지 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잎을 떨어뜨린다.

겨울에는 수분을 흡수하기 힘들기 때문에 수분이 빠져나가는 잎을 낙엽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잘 썼어요~
겨울은 추워서 기공이 닫힌다 즉 안에 있는 물이 밖으로 못 나가는데 이럼 안에 고인물이 쌓여 다른 물을 흡수 못한다. 그리하여 잎을 버려 물을 비운다. 겨울엔 특수한 상황으로, 증산작용과 광합성을 포기하고 생존모드로 들어갑니다.
떨켜라는 특별한 조직이 생겨서 잎이 떨어진다 오, 좋은 지식이지만.. 왜 낙엽을 만드느냐.
인간의 노화처럼 낙엽도 노화돼서? 그니까, 잎이 왜 노화되어야 하느냐 이말이지.
낙엽이 지는 나무가 겨울에 잠을 자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결국 낙엽은 식물이 온도와 수분 부족에 적응해서 생긴 현상이다 네, 곰과 뱀처럼 겨울잠이라고 생각하면 좋아요.
잎이얼기때문이다 네, 얼기도 하죠. 하지만, 핵심은 수분의 부족.
숲이 시원한 이유는 무엇일까?(햇빛 차단 외의 이유)
답변 선생님코멘트
증산작용 때문에 너무 간단하죠.
기화열을 사라지게 해서? 기화열을 흡수해서.
식물이 증산작용으로 내보내는 물 덕분에 숲이 시원하다.
증산작용을 할 때 물이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식물이 증산작용 할 때 물이 증발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시원해진다

비교적 구체적임. 잘 썼다.
증상작용하면 기화열을 흡수해서

기화열을 흡수해서

과학적 원리까지 파악해 잘 썼네요.
식물의 증산작용 => 물이 빠져나감 => 물이 수증기가 되면서 열을 흡수 => 숲의 기온 하강
답변 선생님코멘트
답변 선생님코멘트

각주[편집 | 원본 편집]